메뉴 건너뛰기

 

한인 시니어들의 정신건강은 여전히 사각지대다.

미국 사회전반에 우울과 불안 등 정신건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도 팔 걷고 나서 다양한 예방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는 영어가 불편하다 보니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정신질환은 부끄러운 것'이라는 선입견과 편견 때문에 도움 요청 조차 잘 안하기 때문. 그러다보니 심각한 우울증 또는 불안증세를 겪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한인 시니어 수도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다.

 

Caregiver-Assistance-for-Elderly.jpg

 

 

 

◆한인 시니어 우울증 원인=노인 우울증은 은퇴 후 찾아오는 경제력 및 삶의 목표 상실을 비롯해 가족·친구와의 사별, 만성통증이나 투병과 같은 건강문제 등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원인 외에도 한인 노인들의 우울증은 한인사회 특유의 정서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한인 신경정신과 전문의 및 심리상담 전문가들에 따르면 ▶은퇴 전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은퇴 후엔 자녀가 부모를 봉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한인 시니어들의 경우 은퇴 후 자녀에게 정신적, 경제적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자녀와 함께 살아도 손자·손녀 및 가사를 돌보느라 자신만의 시간도 없고 친구를 사귈 수 없는 상황이거나 ▶경제적으로 힘든 자녀들이 소셜시큐리티 연금을 받는 부모에게 의존해 살 때 생활고 및 피로감으로 인해 노인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어르신들의 "죽고 싶다"는 말은 괜한 노년의 넋두리가 아니다. 가족과 사회에 외치는 절규다. 

상담 전문가는 시니어 우울증을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우선 '더 살아서 뭐하나'라는 희망상실형(Hopeless)이다. 늙고 병들어 타인에게 의존하게 되면서 자아가 약해진다. 자신의 의지대로 몸을 움직일 수 없을 때 이 증상은 더 심해진다. 막장 속의 컴컴한 소외감. 

 

다음은 '내 편이 없다'는 고립형(Helpless)이다. 가족과 떨어져 홀로 사는 노인이 가장 취약하다. 이들은 위급한 상황에 닥쳤을 때 자신을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사실에 절망한다. 시니어 우울증은 단순히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다. 질병·외로움·빈곤·소외감 등 신체·정서·경제·사회적 여건이 숙성되지 않으면 이런 악순환은 반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지금의 중장년도 그 늪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우울증 대처는 미약=노인 우울증은 슬픔이나 절망감과 같은 감정 변화 외에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통증, 수면 장애, 운동 및 언어·기억력 감퇴 등과 같은 신체 증세로도 나타난다. 

 

그러나 이런 우울증 증세가 심각하게 일상생활을 위협해도 대다수 한인 시니어들은 '늙으면 당연하다'거나 '말해봤자 창피하기만 하다'며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것이 현실. 그러나 우울증이 장기화되고 심각해지면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전미 자살자 통계에 따르면 2017년 미국 내 한인 자살자 수는 223명이며 이 중 41명이 65세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우울증을 앓는 한인 시니어들 스스로 상담가나 전문의를 찾는 경우는 드물다. 대개 증세가 심각해져 가족의 손에 이끌려 오는 경우가 대부분. 

 

조만철 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우울증을 앓는 노인들 중 일부는 병원 방문을 권유해도 한사코 거부하기도 한다"며 "이럴 땐 가족이라도 전문의를 찾으면 환자 대처법 및 전문 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또 에린 김 임상사회복지사는 "우울증 증세는 치매와 혼동되기도 하고 치매를 일으키는 위험요소 중 하나이므로 우울증 증세가 있다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도움 요청 어떻게=카이저병원 수잔 정 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정신질환 중에서 우울증은 치료가 잘 되는 병"이라며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상담을 받으면 얼마든지 좋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인 시니어들은 자신의 우울증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은 물론 심리상담을 받는 것도 꺼려해 우울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 일부 시니어들은 우울증 치료는 비용이 많이 든다거나 상담을 받으려 해도 한국어서비스가 없다고 생각해 우울증을 방치하기도 한다. 

비영리단체 SSG(Special Service for Groups)의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인 APTCT의 노인 전담팀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의 60%가 한인이다. APTCT의 제프리 박씨는 "상담을 해보면 거의 모든 한인 시니어가 우울증세를 겪고 있고 죽음,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LA카운티 정신건강국 김재원 코디네이터는 "한인 시니어들은 우울증은 혼자서 이겨낼 수 있다거나 혹은 치료비용이 많이 든다 생각해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비영리기관 및 LA카운티 핫라인에서는 한국어 무료상담은 물론 일부 기관에선 경우에 따라 출장 상담도 제공한다"고 조언했다. 

 

 

▶LA카운티 정신건강국 핫라인: (800)854-7771(한국어 선택) ▶디디허시 자살예방센터 한국어서비스: (877)727-4747(오후 4시30분~오전 12시30분) ▶아태상담치료센터: (213)252-2100 ▶한인가정상담소: (213)389-6755 ▶SSG실버 (213)553-1884

[미국은퇴자협회(AARP)] 중장년 인식개선 동영상

美 노부부 71년 해로하고 같은 날 12시간차로 생 마감

전문가들 "상심증후군 왔을 수도"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옥철 특파원 = 미국 조지아주의 한 노부부가 71년간 해로한 뒤 같은 날 12시간 차이로 생을 마감한 사연이 알려져 화제다. 16일(현지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퇴역 군...

, 조회 수 339

은퇴하면 뭐하지? 퇴직하면서 관리해야 할 7가지 자산

퇴직하고 뭘 할까 고민하던 끝에 제가 달려간 곳은 도서관과 마을 서점입니다. 퇴직, 은퇴, 정년, 신노년시대, 퇴직이후의 삶, 100세 시대, 나이드는 법, 귀농귀촌귀어, 시니어리포트 등 은퇴와 관련된 책들을 한 30여 권 읽었...

, 조회 수 393

후암동 쪽방촌 사람들, 암 시한부 선고 그래도 희...

쪽방촌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고시원, 비닐하우스, 쪽방 등 비주택에 살고 있는 가구가 39만 가구(2015년 통계청 조사), 이중 서울 쪽방에만 3600여명의 사람들이 거주 중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노숙인, 쪽방 지원단체 프레...

, 조회 수 330

시니어 우울증 악순환,반드시 예방하자

한인 시니어들의 정신건강은 여전히 사각지대다. 미국 사회전반에 우울과 불안 등 정신건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도 팔 걷고 나서 다양한 예방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는 영어가 불편...

Nugurado, 조회 수 374

배우자의 세금 납부 기록으로 메디케어 혜택을 받...

미국에서 몇 십년을 살았지만 본인은 일을 하지 않고 배우자만 일을 했을 경우 메디케어 혜택과 소셜 연금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경우들이 많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메디케어혜택은 배우자의 세금 보고가 10년 이상 즉 40크레딧 ...

, 조회 수 339

가장 좋은 보험은 가족 사랑입니다.

푸르름이 세상에 가득 차기 시작하는 5월이다. 이 5월을 우린 가정의 달이라고 한다. 어린이 날 어버이 날이 들어 있어 그런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난 보험을 하면서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 모습 저 모습을 보게 된다. 어떤 고객...

, 조회 수 346

노후 재앙은 정말 순식간! 은퇴 세대가 피해야 하...

저금리 시대에 은퇴 세대가 피해야 하는 3가지 유혹 - 왜 저금리 시대에 은퇴 세대가 가장 큰 피해를 보나? - 은퇴 세대가 피해야 하는 3가지 유혹 분석 - 추천하는 은퇴 자금 유용 방법

, 조회 수 346

장수인들의 건강비법…매일 걷고 친구와 수다 떨기

Image: monkeybusinessimages/iStock 세계 장수인들의 건강비결은 매일 30분 정도 걷는 것이 좋다. 백세시대에 백세까지 장수하는 것은 더 이상 신기한 일이 아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00년~2014년 사이 미국 ...

, 조회 수 340

한인 거주지 포함 고령화 심화…38세 이상 인구 절...

베이비부머세대 65세 돌파 아시안도 중간연령 높아져 미 전역에서 인구 중간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센서스국의 20일 발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8년 사이 미국 전 지역에서 주민들의 중간연령이 높아진 것으...

, 조회 수 344

“50년 세월 흘러 만나니 더 반갑네요”

▶ 김권식 박사의 백령도 야학 학생 미국 초청 김권식(맨 오른쪽) 박사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한 백령도 야학 학생들이 미니애폴리스 공항에서 함께 했다. “게이트 앞에서 기다리는데 정말로 오시나 그런 생각을 했어요. ...

, 조회 수 346

미국인 40% 이상 "연금이 주소득"

연금신청 이것은 알고하자 최대한 빨리 최대 액수를 받고 싶다는 것이 소셜연금과 관련된 독자들의 질문 중 가장 많았다. 또한 63세가 넘어 일을 지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경우도 많았다. 관련...

, 조회 수 355

불만스런 은퇴생활을 개선하자

가슴 뛰는 일 자문해 비전 목록 작성할 만 건강, 경제적 한계가 되레 버킷리스트 동기 될 수도 현재 은퇴생활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은퇴생활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내려놓고 자신에게 의미있는 은퇴 비전을 다시 세워 볼 필요가...

, 조회 수 329

알아두면 쓸모있는 ‘시니어 할인혜택’

▶ 유명 호텔 10∼20%할인…항공권·렌트카·샤핑·외식 등 다양 시니어라면 휴가철을 맞아 다양한 시니어 할인을 이용해 여행을 다녀올수도 있다. 업체들 중 상당수는 55세 이상부터 혜택을 제공하...

, 조회 수 422

나눔터와 해태아메리카, 시니어센터에 2천달러 기부

재활용품 기부 판매 단체 나눔터 관계자들과 후원업체인 해태 아메리카 임직원들이 기부금을 전달한 뒤 시니어센터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에 나서고 있다.<사진제공=시니어센터> 재활용품을 기부 받아 판매 수익금으로 불우이웃...

, 조회 수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