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htm_2015050912361720102011.jpg

 

꿈·여행·사랑. 혈관의 아드레날린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세 가지 단어다. 이 단어를 듣고도 무덤덤하다면 그는 이미 늙었다. 아무리 나이가 젊다고 해도 그렇다.

 

열정이 있는 사람을 분별하는 나만의 방법이 있다. 그것은 가방이다. 며칠 전이었다. 내가 가르치는 대학교에서 복도를 지나다 한 여학생과 마주쳤다. 그녀는 가방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바람에 소지품이 와르르 쏟아져 어쩔 줄 몰라 했다. 나는 물건 줍는 것을 도와주다 색다른 것을 보게 되었다. 연필로 쓰고 지우다가 몇 번이고 고쳐 쓴 노래 가사와 곡이었다. 치열한 내적 전투의 생생한 흔적이었다. 

 

그녀는 실용음악과 학생이었다. 아직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은 작품인 듯 당황해 했다. 인사와 함께 총총히 사라지는 그 학생의 뒷모습을 보고 나는 흐뭇했다. 그녀는 언제일지 모르는 전성기, K-POP의 주인공이 될 날을 조용히 준비하고 있었다. 아직 완성이 안 된 그녀의 작품은 분명 꿈을 실현시켜줄 마법의 도구가 될 것이다. 

 

노트와 수첩은 정신적 결사체

 

나는 대학교 강의와는 별도로 저녁 시간에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일명 ‘파스텔’이라는 파워 스토리텔링 강좌를 이끌고 있다. 강연을 끝내면 지친 목을 달래기 위해 가끔 근처 카페로 가는데 그날은 적지 않은 수강생들이 나를 따라왔다. 생맥주를 나누며 자연스레 트랜스 미디어 시대, 글과 말 그리고 이미지가 섞인 융합 스토리텔링으로 화제가 옮겨지자 여성 수강생 몇 명이 가방 안에서 뭔가를 꺼냈다.

 

아날로그 식 노트였다. 몰스킨 같은 브랜드 수첩도 있었지만 이름 없는 국산 공책도 있었다. 그들은 수첩의 빈 공간 위에 그림을 그리고 뭔가 글을 적어 놓고 있었다. 디지털 문명과 함께 죽어가던 종이 수첩이 어떻게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는지 그제야 이해가 되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고흐와 피카소, 헤밍웨이가 즐겨 사용했다는 전설의 수첩 몰스킨을 극적으로 살려낸 것은 극성스런 마니아들이었다. 몰스킨은 이제 할리 데이비슨과 어깨를 겨루는 가장 충성도가 높은 브랜드가 되어서 연간 1000만 권 이상이 팔린다고 할 정도다. 디지털 시대라지만 어떤 아날로그 제품은 오히려 시장이 더 늘어났다. 하긴 꿈을 표현하는데 디지털이면 어떻고 아날로그면 또 어떤가. 그들에게 노트와 수첩은 단순한 물질이 아니다. 정신적 결사체인 것이다. ‘창조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표현하는 플랫폼’이라는 몰스킨의 모토처럼 말이다.

 

흥미로웠던 것은 한 젊은 남성의 소지품이었다. 개인 비용으로 참가하는 문화강좌에 가보면 압도적으로 여자 수강생이 높은데 놀란다. 술집에서 남자들이 호연지기를 뿜어내고 있을 때 여성들은 열심히 자기개발을 한다. 그런 점에서 그 남성 수강생은 예외였다. IT회사에 근무하기 때문에 업무용 노트북 컴퓨터를 들고 다니지만, 동시에 편지지를 항상 가방 안에 넣어 다닌다고 했다.

 

아날로그면 어떻고 디지털이면 어떤가 

 

편지지? 의외였다. 지금은 편지를 잃어버린 세대가 아니던가. 커피를 마시다가, 또 누구를 기다리는 동안, 문득 누군가와 얘기하고 싶어지면 그 자리에서 편지를 쓴다고 했다. 어느 조용한 카페에서 커피를 앞에 두고 만년필로 글을 쓰고 있을 그의 모습이 그려졌다.

 

그림을 그리건 편지를 보내건 모두 남모를 꿈을 꾸고 있다는 의미다. 또 다른 피카소, 헤밍웨이가 되고 싶은 것이다. 그러자 수강생 가운데 가장 연장자가 조심스레 말을 이어받았다.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지만 60대가 아닐까 싶었다. 누구보다 가장 먼저 강의실에 도착하고, 가장 적극적으로 과제를 해내는 분이다.

 

“사실 몇 번이고 고민했습니다. 이 나이에 젊은이들에 섞여 뭔가 배운다는 게 어색해서 올까말까 망설였어요. 아, 그런데 지금 너무 행복해요. 뭔가 다시 배운다는 것 말이죠. 정말 잘한 결정입니다. 하하하!”

 

또래의 다른 이들이 골프가방 아니면 등산용 배낭이 전부일 때 그는 공부 가방을 챙겨서 강남에서 강북까지 달려왔다. 큼직한 옛 공책 위에 손 글씨를 써내려가는 그의 모습은 멋이 있었다. 무엇인가에 몰입한 얼굴은 흡사 쾌활한 청년의 모습이었다. 

 

그냥 얻어지는 2막 인생은 없다. 나는 중년들이 손가방에 영양제와 콜레스테롤 억제하는 약봉지만 넣어 다니지 말고 꿈도 함께 넣어 다녔으면 좋겠다. 나의 쾌활한 수강생처럼 말이다. 우리 사회에서 가방은 배움을 의미한다. 10대들의 백팩에는 무거운 입시용 책들로 가득하고, 20대의 가방에는 취업용 서적과 서류가 들어있다. 그러다가 직장에 들어가서 1~2년이 지나면 남자들의 손에서는 갑자기 가방이 사라진다. 손에서 가방이 떠나는 것과 함께 배움도 뚝 끊어진다. 

 

평생교육 시대다. 제 2의 인생에 안착하는 비결은 새로운 몰입 대상을 빨리 확보하는 거다. 미술 작가들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감수성은 더욱 섬세해진다고 한다. 게다가 미술은 근본적으로 육체운동을 수반하기에 건강에도 좋다고 권유한다. 무엇이든 상관없다.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다는 것은 한편 슬픈 일이지만, 또 다른 면에서 평소 꿈꿔왔던 일을 본격적으로 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나는 요즘 30년 모아두었던 자료를 다시 뒤져 책 쓰는 작업하느라 흥분되어 있다. 내 손길이 닿기만을 기다리며 목을 길게 빼고 있는 자료들에게 더 이상 미안해 하지 않아서 좋다. 

 

He Story보다는 I Story에 더 공감 

 

 

나는 나이를 ‘나의 이야기’의 준말이라고 다르게 정의하고 싶다. 나이가 들수록 들려줄 나만의 이야기가 풍요로워진다는 뜻이다. 흔히 ‘내 인생을 소설로 쓰면 열권’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그렇지 않다. 구슬도 꿰매야 보석이니까. 우리는 모두 가슴 속에 쓰지 않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직 쓰여 지지 않은 책이다. 이제 그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을 때다. 뒷담화하고 살기에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남의 이야기인 히스토리(He Story)보다는 아이 스토리(I Story)에 사람들은 더 공감하는 법이다. 

 

아무 것도 적혀있지 않은 빈 공간을 마주하는 것은 두렵다. 동시에 설레는 일이기도 하다. 우선 필요한 부문만을 뽑아서 초록으로 담아도 충분하다. 글을 쓰든 스케치를 하던 그것은 자유다. 소중한 내 인생의 이야기를 담아보는 거다. 무에서 유로 창조자가 되는 연습을 해보자.

 

어떤가. 수퍼 시니어의 수퍼 스토리. 멋지지 않은가. 

 

50대 중반되며, 알게되는 5가지

미국 삶속에 모습 이모저모 꼭 알고 살아야 할 정보

, 조회 수 421

구인광고....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

채용정보 지역 : Los Angeles/CA 직종 : 서비스 근무형태 : Full/Part Time 경력 : 무관 연봉/급여 : 협의 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Part / Full time) – Aroma Spa & Sports, Koreatown in Los Angeles...

, 조회 수 710

한만희_웃음강사로 자리잡기까지 했던 '노가다' 생...

왜 웃음강사가 되려고 했을까? 망신을 딛고 웃음치료 강사로 자리잡기까지 생계를 위해 했던 '노가다' 생활 힘들지만 나름 퇴직 후 중년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조회 수 376

쓰죽회란?

“쓰죽회”라는 모임이 있다. 가진 것 다 쓰고 죽자는 취지로 모인 사람들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가진 돈을 다 쓰지 못하고 죽는다. 일본의 어느 회사 이야기다. 은퇴자들 중 퇴직할 때는 평균자산이 25만 불이었다....

, 조회 수 379

은퇴 후, 느긋한 삶을 동경하지만 실천을 못하는 ...

“요즘 밭일로 바쁘실 때죠?” 지난봄 도서관의 한국 역사 강의실에서 70대 어르신과 눈이 마주친 김에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그맘때쯤이었나, 큰 비닐봉지에 한가득 상추를 건네주셨던 기억이 새로워서였다. 그때는...

, 조회 수 354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1. 인생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생은 좋습니다. 2. 의심이 들 때는 그저 약간만 앞으로 전진하십시오. 3. 인생은 매우 짧습니다. 즐기십시오. 4. 당신이 아플 때 당...

, 조회 수 359

가슴 속에 쓰지 않은 이야기 ...

꿈·여행·사랑. 혈관의 아드레날린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세 가지 단어다. 이 단어를 듣고도 무덤덤하다면 그는 이미 늙었다. 아무리 나이가 젊다고 해도 그렇다. 열정이 있는 사람을 분별하는 나만의 방법이 ...

Nugurado, 조회 수 324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준비...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 31.5% "맞선 자리서 지나치게 인색한 남자" 남성 33.1% "주제파악 못하는 여자는 질색" 준비된 재혼만이 성공한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 4쌍 가운데 1쌍...

, 조회 수 702

'시니어 할인 혜택, 절약하기 연습

뷔폐 등에서 10% 할인 보통 55세만 되어도 수혜대상 있어 앱 등을 활용하면 정보 더 많아 버리기 쉬운 일상의 메일들을 곰곰히 보다보면 그냥 스쳐 지나가기엔 너무 아까운 혜택들이 많이 보인다. 베이비부머들이 급증하고 강력...

, 조회 수 835

갱년기 우울감 극복하려면…오늘 잘 한 일 적어보기

갱년기를 거치며 남녀 구분 없이 성 호르몬이 급감하다보면 이유 없이 우울해지거나 감정기복이 커진다. 또 수면의 질과 집중력도 떨어지면서 매사에 짜증이 늘기도 한다. 최근 AARP가 게재한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우울감...

, 조회 수 321

다큐 시선 - 퇴사하고 오겠습니다_#001

10명의 퇴직자가 자신의 퇴직 경험을 말합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이야기보따리에서 인터뷰한 퇴직자분들의 이야기를 모아 단편 다큐멘터리로 만들었습니다. 1차로 베이비부머 세대와의 만남을 통해 퇴직에 대한 감정과 ...

, 조회 수 355

부모님의 상속 -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한국의 상속

오늘은 한국의 부동산 상속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여러 구독자님들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40-50대 정도 되신분들은 이민 오신후, 한국의 부모님들이 노령에 따른 유산에 대한 상속을 받으시게 될 시기가 됩니다. ...

, 조회 수 418

미국생활 50대 이후 분들한테 꼭, 필요한 은퇴,소...

미국에서 사시면서, 50대중반 이후가 되시면, 각종 연금,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카드, 세금보고등 여러 관공서의 행정적인 처리와 내 개인정보 열람등이 필요하실 일이 많으시게 되죠. 연금을 얼마나 받을수 있을지? , 내 주...

, 조회 수 326

[중장년재취업가이드]2강_퇴직 후 스트레스 관리 ...

, 조회 수 366

[스팟] 일하면서 받는 미망인 연금 헤택…65세까지...

Q. 남편이 55세 때 직장을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그 이후 재혼하지 않았고요. 저는 현재 63세이며 직장을 통해 소득이 있습니다. 사회보장국 기준으로는 연 1만5000달러 이상을 벌 경우 미망인 연금이 줄어드...

, 조회 수 332

여길 계속 다니면 곧 죽겠구나 싶어 대기업 그만뒀...

<편집자 주> 작년 3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대기업에 입사한 김모씨는 입사 1년 만에 사직서를 냈다. 김씨의 부모님은 “그것도 못 참으면 무슨 일을 하겠느냐”며 화를 냈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

, 조회 수 528

“실패자·낙오자는 옛말, 요즘은 회사 그만두는 사...

유행처럼 번지며 퇴사자 수두룩 퇴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라져 “퇴사 후 내 삶을 찾게 됐다” 유튜브에 ‘퇴사’를 검색하면 ‘퇴사 후 6개월’, ‘퇴사 여행’, ‘퇴사 1분 전’ 등 퇴사 관련 영상 수천개가 뜬다. 영상 속에선 “시원...

, 조회 수 340

퇴사 후 고통 안 겪으려면…” 프로 이직러의 따끔한...

퇴사 후 항상 장밋빛 인생이 펼쳐지진 않아 충분한 진로 탐색과 확신이 있을 때 결정해야 “자신의 적성 잘 따져보고 다양한 실행 경험해보는 게 필요” "처음엔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현실은 아니었어요. 중고신입이라는 ...

, 조회 수 1171

50플러스재단,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의 인생 재설계를 지원하는 50플러스캠퍼스의 2018년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50플러스캠퍼스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만 50세~64세대를 대상으로 상담, 교육, 일자...

, 조회 수 438

"회사도 인생도, 마지막을 결정하는 건 꿈의 ...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을 "똥더미를 치우는 일 같다"고 표현한다. 일은 산더미고, 매일매일 새로운 문제가 터진다. 그런 것들을 처리하다 보면 ‘왜 창업했는지’ 같은 큰 그림과 방향성은 잊히게 마련이다. 그런 사소한 일상 속에...

, 조회 수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