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요즘 밭일로 바쁘실 때죠?” 지난봄 도서관의 한국 역사 강의실에서 70대 어르신과 눈이 마주친 김에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그맘때쯤이었나, 큰 비닐봉지에 한가득 상추를 건네주셨던 기억이 새로워서였다. 그때는 중국 역사 강좌였는데, 밭일을 끝내고 오는 길이라며 잔뜩 가져온 상추를 몇 사람에게 나눠주셔서 감사히 받아먹었었다. “이제는 쬐금만 해요. 요새 밭에 들어가면 흙냄새와 함께 열기가 확 올라오는 게 밭일이 좀 힘들어야지.”

 

내가 속한 독서회 회원 가운데 한 분도 꽤 너른 텃밭을 일구고 사신다. “시간 나면 와서 파 좀 뽑아가요. 뽑을 새가 없어서 파가 그냥 버려질까 아깝네.” 좋아라고 답은 해놓고 결국 못 가고 말았다. 마트에서 그리 싱싱하지도 않은 파 네댓 줄기를 3천 원 가까이 주고 살 때면 밭에서 직접 뽑아 먹는 즐거움을 놓친 게 아쉽다. 하지만 씨 뿌려 키운 수고를 한 분의 아쉬움에 견줄 수 있을까. 지난해만도 상추며 미나리며 이것저것 주셔서 황공했는데 올해는 힘에 부치시나 보다.

 

서울에서 차로 2시간여 거리에 텃밭 딸린 전원주택을 두고 두 집 살림을 하는 언니네와 퇴직한 선배 교수님 댁은 더 고달파 보인다. 텃밭 규모가 작지 않아서 한해 농사를 시작하는 봄엔 더한 듯하다. 남편분들이 밭일을 기꺼이 도맡다시피 하면서도 칠순과 팔순이 코앞인지라 녹록치 않아 한다는 얘길 듣는다. 듣는 것과 겪는 건 천지차일 터, 이따금 수확물을 선물 받는 나 같은 사람은 텃밭을 가꾸는 낭만과 무공해 채소를 먹는다는 즐거움이 앞선다. 땀 흘리는 고됨은 뒷전이기 십상이다.

 

“너두 한번 생각해봐”

 

그런데 홀로 사는 친구는 무슨 맘을 먹고 전원생활을 한다며 서울에서 리 단위의 시골로 이사를 갔담? 30여 년 직장생활을 끝내고 친구는 퇴직금을 쏟아 텃밭이 집 면적의 2배는 되는 전원주택을 지었다. 이미 친구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던 지인의 집 건너에 땅이 매물로 나오자 “일을 저질렀다”고 했다. 지난 겨울 친구가 새집에 들자마자 찾아갔다. 자가용으로는 2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경기도란다. 하지만 시외버스를 타고 가서 마중 나온 친구의 차로 동네 끄트머리까지 깊숙이 들어가자니 쉽게 갈 수 있는 곳은 아니었다.

 

2015071603312_0.jpg

 

▲친구 집 거실 창으로 보이는 뜰과 산자락의 나무들.

50평 규모의 2층 벽돌집은 친구의 취향대로 단순하고도 우아하게 꾸며져 있었다. 천정이 높은 거실, 아일랜드 부엌, 낮은 뒷산자락과 닿아있어서 나무들이 병풍처럼 둘러선 뜰, 집보다 면적이 2배는 됨직한 텃밭. 바깥일이 없던 철이라 친구가 외롭지나 않을까 걱정하며 돌아왔다. 봄이 되면서 다시 가보려고 카톡을 띄웠더니 친구의 답이 썰렁했다. 안부를 길게 물은 나와는 달리 답이 몇 글자에 불과했다. 외로운 나머지 혹시 우울증을 겪고 있는 건 아닌가?

 

웬걸, 친구는 의욕에 차있었다. 오히려 넘치는 게 문제였다. 조금 높은 울타리 관목 밑까지 손보다가 그만 굴러 떨어진 바람에 매일 침을 맞으러 다니고 있다니 말이다. “문자 그런 거 보내지 말고 통화로 해. 밭일하다가 흙 묻은 손으로 답 쓰기 어려워.” 답이 짧았던 이유였고, 밭일에 빠져있다는 얘기였다. 그새 뜰엔 어린나무들이며, 밭의 절반엔 묘목들이 줄줄이 서있어 놀라워했더니, 키우기가 쉽대서 일꾼을 불러 블루베리를 심은 거란다. 두서넛이 팀으로 다니는 일꾼의 일당이 1백만 원이요, 웬만한 정원수 또한 그 가격대라는 데 더 놀랐다.

 

친구는 멋모르고 촘촘히 뿌린 씨앗에서 나온 싹들을 솎아서 샐러드를 만들었다. 아직 쌈 채소로는 먹을 수 없었지만, 산에서 뜯어온 취와 두릅, 이웃이 줬다는 실파로 부친 파전으로도 점심상은 푸짐했다. 이사 온 후 가장 아쉬웠던 맛있는 빵도 이젠 직접 구워 먹는다며 내놓은 계피케이크는 디저트로 훌륭했다. 뜰에 마련한 널찍한 나무 탁자에 무공해 음식을 한상 차려 놓고 이웃한 지인 부부와 그들을 통해서 알게 된 이들과 느긋하게 즐기노라면 “이런 게 사는 거구나” 싶다면서 친구는 내 옆구리를 찔렀다. “너두 한번 생각해봐.”

 

 

느긋한 삶의 기쁨 추구 ‘킨포크’

 

그러잖아도 얼마 전부터 등장한 ‘킨포크’에 관심이 가긴 했다. 4년 전 미국 포틀랜드에 사는 한 남자의 블로그에서 시작된 킨포크는 작가·화가·농부·사진작가 등이 모여 만든 작은 모임의 이름이다. 이들은 텃밭에서 키워낸 것들로 ‘스트레스 없는 요리’를 만들어 함께 먹고 조리법을 공유하며 느긋한 삶을 추구했다. 그 이야기를 담은 잡지 ‘킨포크’가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키면서 느긋한 삶의 기쁨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대명사가 됐다. 사실 새로울 게 없는 것이, 텃밭을 가꿔 건강한 밥상을 차려 먹는 삶이 예전엔 당연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이제는 도시생활에 찌든 몸과 마음을 힐링하는 최고의 삶으로 여겨지면서 킨포크란 낯선 단어로 뜨고 있는 것이다. 일본 오키나와의 세계적인 장수마을 오기미촌 노인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장수의 비결로도 새삼 조명 받고 있다. 그러니 힘들어도 쉽사리 텃밭을 놓지 못하고들 있는가 보다. 더구나 친구는 여자 혼자서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어차피 늙어갈수록 여성 비중이 높아져서 고령 가구 넷 중 하나는 ‘여홀로’ 산다지 않는가. 애초 킨포크 모임처럼 ‘이웃사촌’이 멀리 있는 친지들보다 친구에겐 힘이 되어주고 있는 듯했다.

 

새 생활에 몸이 지치지 않을까, 걱정과는 달리 머리 아픈 게 사라지고, 잠을 푹 자게 됐고 친구의 전원생활 예찬은 끝이 없었다. 그럼에도 내 경우는 친구처럼 일 저지르기가 쉽지는 않다. 가족과 함께 움직여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적어도 4가지는 살펴 노후 보금자리를 정하라는 전문가의 조언도 새겨봐야 한다. 첫째가 주택 소유나 임대, 유지 관리비 등의 경제성, 둘째는 의료와 여가, 시장, 교통 등의 지역사회 환경, 셋째는 각종 위기 상황에 대비한 가족과 친지, 이웃과의 거리, 넷째로 생활이 편리한 실내 구성이다.

 

한 은퇴연구소가 60대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40% 이상이 주거지를 옮길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나도 그중 한 사람이건만 이것저것 생각할수록 어디로 갈지 마음먹기가 쉽지 않을 성싶다. 우선은 친구 집에 가는 것부터 차를 갖고 다니지 않는 나로선 큰맘을 먹어야만 한다

50대 중반되며, 알게되는 5가지

미국 삶속에 모습 이모저모 꼭 알고 살아야 할 정보

, 조회 수 421

구인광고....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

채용정보 지역 : Los Angeles/CA 직종 : 서비스 근무형태 : Full/Part Time 경력 : 무관 연봉/급여 : 협의 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Part / Full time) – Aroma Spa & Sports, Koreatown in Los Angeles...

, 조회 수 710

한만희_웃음강사로 자리잡기까지 했던 '노가다' 생...

왜 웃음강사가 되려고 했을까? 망신을 딛고 웃음치료 강사로 자리잡기까지 생계를 위해 했던 '노가다' 생활 힘들지만 나름 퇴직 후 중년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조회 수 376

쓰죽회란?

“쓰죽회”라는 모임이 있다. 가진 것 다 쓰고 죽자는 취지로 모인 사람들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가진 돈을 다 쓰지 못하고 죽는다. 일본의 어느 회사 이야기다. 은퇴자들 중 퇴직할 때는 평균자산이 25만 불이었다....

, 조회 수 379

은퇴 후, 느긋한 삶을 동경하지만 실천을 못하는 ...

“요즘 밭일로 바쁘실 때죠?” 지난봄 도서관의 한국 역사 강의실에서 70대 어르신과 눈이 마주친 김에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그맘때쯤이었나, 큰 비닐봉지에 한가득 상추를 건네주셨던 기억이 새로워서였다. 그때는...

Nugurado, 조회 수 354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1. 인생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생은 좋습니다. 2. 의심이 들 때는 그저 약간만 앞으로 전진하십시오. 3. 인생은 매우 짧습니다. 즐기십시오. 4. 당신이 아플 때 당...

, 조회 수 359

가슴 속에 쓰지 않은 이야기 ...

꿈·여행·사랑. 혈관의 아드레날린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세 가지 단어다. 이 단어를 듣고도 무덤덤하다면 그는 이미 늙었다. 아무리 나이가 젊다고 해도 그렇다. 열정이 있는 사람을 분별하는 나만의 방법이 ...

, 조회 수 324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준비...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 31.5% "맞선 자리서 지나치게 인색한 남자" 남성 33.1% "주제파악 못하는 여자는 질색" 준비된 재혼만이 성공한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 4쌍 가운데 1쌍...

, 조회 수 702

'시니어 할인 혜택, 절약하기 연습

뷔폐 등에서 10% 할인 보통 55세만 되어도 수혜대상 있어 앱 등을 활용하면 정보 더 많아 버리기 쉬운 일상의 메일들을 곰곰히 보다보면 그냥 스쳐 지나가기엔 너무 아까운 혜택들이 많이 보인다. 베이비부머들이 급증하고 강력...

, 조회 수 835

갱년기 우울감 극복하려면…오늘 잘 한 일 적어보기

갱년기를 거치며 남녀 구분 없이 성 호르몬이 급감하다보면 이유 없이 우울해지거나 감정기복이 커진다. 또 수면의 질과 집중력도 떨어지면서 매사에 짜증이 늘기도 한다. 최근 AARP가 게재한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우울감...

, 조회 수 321

다큐 시선 - 퇴사하고 오겠습니다_#001

10명의 퇴직자가 자신의 퇴직 경험을 말합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이야기보따리에서 인터뷰한 퇴직자분들의 이야기를 모아 단편 다큐멘터리로 만들었습니다. 1차로 베이비부머 세대와의 만남을 통해 퇴직에 대한 감정과 ...

, 조회 수 355

부모님의 상속 -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한국의 상속

오늘은 한국의 부동산 상속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여러 구독자님들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40-50대 정도 되신분들은 이민 오신후, 한국의 부모님들이 노령에 따른 유산에 대한 상속을 받으시게 될 시기가 됩니다. ...

, 조회 수 418

미국생활 50대 이후 분들한테 꼭, 필요한 은퇴,소...

미국에서 사시면서, 50대중반 이후가 되시면, 각종 연금,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카드, 세금보고등 여러 관공서의 행정적인 처리와 내 개인정보 열람등이 필요하실 일이 많으시게 되죠. 연금을 얼마나 받을수 있을지? , 내 주...

, 조회 수 326

[중장년재취업가이드]2강_퇴직 후 스트레스 관리 ...

, 조회 수 366

[스팟] 일하면서 받는 미망인 연금 헤택…65세까지...

Q. 남편이 55세 때 직장을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그 이후 재혼하지 않았고요. 저는 현재 63세이며 직장을 통해 소득이 있습니다. 사회보장국 기준으로는 연 1만5000달러 이상을 벌 경우 미망인 연금이 줄어드...

, 조회 수 332

여길 계속 다니면 곧 죽겠구나 싶어 대기업 그만뒀...

<편집자 주> 작년 3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대기업에 입사한 김모씨는 입사 1년 만에 사직서를 냈다. 김씨의 부모님은 “그것도 못 참으면 무슨 일을 하겠느냐”며 화를 냈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

, 조회 수 528

“실패자·낙오자는 옛말, 요즘은 회사 그만두는 사...

유행처럼 번지며 퇴사자 수두룩 퇴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라져 “퇴사 후 내 삶을 찾게 됐다” 유튜브에 ‘퇴사’를 검색하면 ‘퇴사 후 6개월’, ‘퇴사 여행’, ‘퇴사 1분 전’ 등 퇴사 관련 영상 수천개가 뜬다. 영상 속에선 “시원...

, 조회 수 340

퇴사 후 고통 안 겪으려면…” 프로 이직러의 따끔한...

퇴사 후 항상 장밋빛 인생이 펼쳐지진 않아 충분한 진로 탐색과 확신이 있을 때 결정해야 “자신의 적성 잘 따져보고 다양한 실행 경험해보는 게 필요” "처음엔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현실은 아니었어요. 중고신입이라는 ...

, 조회 수 1171

50플러스재단,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의 인생 재설계를 지원하는 50플러스캠퍼스의 2018년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50플러스캠퍼스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만 50세~64세대를 대상으로 상담, 교육, 일자...

, 조회 수 438

"회사도 인생도, 마지막을 결정하는 건 꿈의 ...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을 "똥더미를 치우는 일 같다"고 표현한다. 일은 산더미고, 매일매일 새로운 문제가 터진다. 그런 것들을 처리하다 보면 ‘왜 창업했는지’ 같은 큰 그림과 방향성은 잊히게 마련이다. 그런 사소한 일상 속에...

, 조회 수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