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 

30세 이상 만성질환율 비만 36%, 고혈압 27%, 고콜레스테롤혈증 22%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 

 

30세 이상 만성질환율 비만 36%, 고혈압 27%, 고콜레스테롤혈증 22% 

 

 

AKR20181110031300017_01_i.jpg

 

GYH2018111100030004400_P2.jpg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우리나라 성인 남자 2명 중 1명, 여자 4명 중 1명은 월 1회 이상 폭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상 남성 5명 중 2명은 비만, 3명 중 1명은 고혈압, 5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앓는 등 남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다만 성인 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간접흡연 노출률도 감소하는 등 흡연 지표는 개선됐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건강검진 결과와 면접을 통해 얻은 전국 4천416가구, 1만명의 건강 수준 분석 결과다.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행태는 계속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19세 이상 성인의 월간음주율(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은 62.1%(남자 74.0%, 여자 50.5%)로 2005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여자 월간음주율도 지속해서 증가해 지난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 7잔, 여자 5잔 이상이고 주 2회 이상 음주)도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14.2%(남자 21.0%, 여자 7.2%)였다.

 

월간폭음률(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 7잔 또는 맥주 5캔, 여자 5잔 또는 맥주 3캔 이상 음주)은 39.0%(남자 52.7%, 여자 25.0%)에 달했다.

 

연령별 폭음률을 보면, 남자는 20대(54.8%), 30대(57.9%), 40대(59.1%)가 모두 50% 이상이었고, 여자는 20대(45.9%)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폭음률도 계속 증가하는데 이는 사회활동 증가, 술을 기호식품으로 여기는 문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9세 이상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움)은 22.3%로 전년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1998년 이래 최저치다. 

 

국내 흡연율은 1998년 35.1%에서 점점 하락해 2014년 24.2%로 떨어졌고, 2015년 1월 담뱃값 2천원 인상의 영향으로 그해 22.6%까지 하락했다. 2016년 23.9%로 반등했다가 지난해 다시 떨어진 것이다. 

 

남성 흡연율은 전년보다 2.6% 하락한 38.1%로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흡연율은 6.0%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해외 사례를 보면 담뱃값이 인상되면 그 충격으로 흡연율이 내려갔다가 다시 살짝 올라간 후 안정적인 추세를 찾아간다"며 "이번 흡연율 하락은 담뱃값 인상 요인과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매점에 깔린 흡연경고 그림 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본다"고 설명했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률은 직장 실내 12.7%, 가정 실내 4.7%, 공공장소 실내 21.1%로 전년보다 모두 낮아졌다. 전자담배 사용률은 2.7%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높았다.

 

지난해 성인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4.1%로 전년보다 0.7%포인트 떨어졌다. 남자는 5명 중 2명(41.6%), 여자는 4명 중 1명(25.6%)이 비만이었다.

 

만 30세 이상의 비만율은 35.5%(남자 42.4%, 여자 27.7%)였다. 남성 비만율은 30대가 46.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40대(44.7%), 50대(44.3%)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20%를 넘어섰다. 30세 이상의 유병률은 21.5%(남자 20.0%, 여자 22.6%)였고, 여자 50대(31.7%), 60대(41.4%), 70대 이상(42.6%)이 특히 높았다.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6.9%(남자 32.3%, 여자 21.3%), 당뇨병 유병률은 10.4%(남자 12.4%, 여자 8.4%)였다. 40세 이상의 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11.6%였다.

 

40세 이상의 주요 안질환 유병률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 13.4%, 녹내장 3.4%, 당뇨망막병증(당뇨병 유병자) 19.6% 수준이었다. 

 

그러나 본인에게 안질환이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3.5%(나이 관련 황반변성), 25.8%(녹내장)로 매우 낮았고, 당뇨병 유병자 중 합병증 확인을 위해 안저검사를 받아본 사람도 23.5%에 불과했다.

 

유산소 신체활동(1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실천) 실천자는 2명 중 1명(남자 50.6%, 여자 46.6%)으로 최근 3년간 계속 감소 추세다. 

 

주관적 건강 인지율(평소 건강이 '매우 좋다' 혹은 '좋다'고 생각)은 29.2%, 스트레스 인지율(평소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낌)은 30.6%였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어, 비만, 흡연, 음주 등 건강위험행태 개선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 차원의 비만관리대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한편 금연구역 확대, 담배 광고·판촉행위 규제 등 비가격 금연정책과 절주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87 [은퇴] 연령대별 은퇴저축과 비상금 저축 목표액 file Scott 350
686 “PC 빼내러 동양대 가는 길, 조국-정경심 2번 통화” coffee 350
685 피츠버그 시내에서 거 대 한 싱크대에 의해 삼 키는 버스 멸공통일 350
684 안재현,'부드러운 미소로 인사' file Nugurado 351
683 미주 한인입양가족들 시카고서 한국 체험 file Nugurado 351
682 람보르기니, 한국 안마의자 기업 바디프랜드와 손잡은 이유는? file Nugurado 351
681 10년만에 2%대 진입한 美금리…하반기 2번 더 '가속페달' file Nugurado 351
680 라오스댐 나흘 전부터 붕괴 조짐…"SK 직원 53명은 대피했는데…" file Nugurado 351
679 특검, 드루킹 댓글조작 공범 '초뽀·트렐로' 구속영장 청구 file Nugurado 351
678 이낙연 총리 “LA한인타운 노숙자 쉘터, 한인 의견 수렴해달라” file Nugurado 351
677 "'미투' 촉발 여배우, 17세男 성폭행···4억주고 입막음" file Nugurado 351
676 “중간선거전망 민주당 우위 유지…트럼프 지지율은 44%→47%” file Nugurado 351
675 하루 5만 병 팔리는 막걸리 '지평'···37세 사장의 비결은 file Nugurado 351
674 승계 준비 없이 떠난 조양호···한진 운명, 17.84%에 달렸다 file Nugurado 351
673 '살벌한 멕시코' 6개월간 전국 암매장지서 337구 시신 나와 / 연합뉴스 티끌모아파산 351
672 미래에셋, 7조원에 美 최고급호텔 15곳 ‘통큰 쇼핑’ file 휴지필름 351
671 추석 민심 잡기..."민생" vs "조국사퇴 / YTN 휴지필름 351
670 '조국 가족펀드' 실소유주 의혹 5촌 조카 긴급체포 브레드피트 351
669 지지율, 30대·호남 빼곤 다 돌아섰다 휴지필름 351
668 '한국산 김치' 美진출 1년만에 풀무원 시장점유율 1위 기염 file 티끌모아파산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