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이 미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빠르고, 그나마 젊은 시절에 모은 자산도 부동산 등에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19년 및 중기 경제전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 기준 67.2%다. 이는 미국(104.0%.65세 이상 기준)의 ⅔, 일본(88.6%)의 ¾ 수준이다.
평균소비성향은 수입에서 세금, 보험료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대개 평균소비성향은 소득이 적은 20~30대에서 높다. 이후 소득이 증가하는 40~50대에는 낮아졌다가 소득이 준 만큼 씀씀이가 줄지 않는 60대 이상에서 다시 오른다.미국과 일본의 연령별 평균소비성향 추이는 이런 일반적인 경향과 비슷하다.
한국은 이와 다르다. 4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75.9%로 가장 높았다가 50대가 되면 67.9%로 급격히 꺾이고 60세 이상에서 더 떨어졌다. 60세 이상이 전체 연령대 중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았다.
이는 고령화로 기대 수명은 길어지는데 한국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유달리 빠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령층이 없는 돈을 쪼개 저축을 늘리고 소비지출을 급격하게 줄인다는 것이다.보통 고령층이 될수록 소득이 줄지만 한국만큼 큰 폭으로 소득이 쪼그라들지 않는다.
한국 고령층의 자산이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보다 집, 땅 등 실물자산에 몰려 있는 점도 소비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60세 이상 가구의 총자산 가운데 금융자산 비중은 18.8%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