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립선비대증 원인·치료법

▶ 가족력·비만·당뇨 원인, 빈뇨·잔뇨감 등 증상, 치료법 다양… 방치하면 과민성 방광 생길 수도

201810011648015b1.jpg


중년 이후 소변보는 횟수가 잦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밤에 자주 소변을 보느라 깨어난다면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201810011648015b2.jpg
선 김 비뇨기과 전문의는 “전립선비대증으로 과민성 방광도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장년 남성이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다거나, 자주 소변을 보게 되고, 밤에 소변 때문에 자주 깨서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중장년 남성에게 흔한 전립선비대증은 나이가 들면서 전립선이 커지고 요도를 막아 여러 소변문제를 야기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50~60세 남성의 50%, 80대는 80%가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8월 오렌지카운티 부에나팍에 ‘선 비뇨기과’ 병원을 개원한 선 김(한국명 김선익) 비뇨기과 전문의의 도움말을 빌어 전립선비대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은 ‘전립샘’이라고도 하는데, 방광 아래 위치한 호두 사이즈만한 기관으로 남성 정자의 일부를 생성하며 정자를 보호하며 영양을 공급하는 전립선액을 분비한다.

나이가 들면서 남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이 질환은 전립선이 커지면서 요도를 막아 소변문제를 일으킨다. 소변을 자주 보거나, 갑작스런 절박뇨, 야간뇨(밤에 자주 일어나 소변을 보는 증상), 소변을 보려고 할 때 금방 잘 나오지 않고 소변보기가 힘들어 화장실에서 오래 서있거나, 소변줄기가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다거나, 소변이 나오다 말고 중간에 끊겼다가 다시 나온다거나, 소변을 다 본 뒤에도 팬티가 젖는다거나, 방광을 비워도 시원하지 않고 잔뇨감이 남아있는 등의 증상들이 나타난다.

선 김 비뇨기과 전문의는 “나이가 들면서 전립선이 커지면서 방광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 가족력도 위험요인으로 가족 중 전립선비대증을 앓았던 아버지나 형제가 있으면 발생 위험이 커진다. 또한 비만은 전립선비대증과 관계가 깊다. 연구들을 보면 정확히 인과관계가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기름진 음식이 전립선을 크게 만든다는 보고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들에 따르면 당뇨병, 심장질환, 베타 블로커 복용자는 전립선비대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 남성호르몬제 주사나 젤을 사용하는 사람은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치료

치료는 약물요법, 닥터 오피스에서 국소마취 정도만 하고 할 수 있는 최소침습적 치료법, 수술적 치료법 등이 있다.

약물요법은 크게 두 종류로서, 전립선 크기를 줄여주는 약과 전립선 근섬유 및 방광 목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약이 있다. 

 

전립선 근섬유와 방광 목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약은 대표적인 것이 플로맥스(Flomax)이고, 전립선을 줄여주는 약에는 5-알파환원효소억제제가 쓰이는데 성분명은 파이네스테라이드(finasteride)다.

최소침습적 치료법으로는 전립선을 줄여주는 전립선 레이저 치료법, TUNA라고 불리는 경요도침 소작술, 비교적 새로 나온 리줌(Rezum), 유로리프트(Urolift) 등이 있다.

TUNA 치료법은 전립선에 특수 바늘을 넣어 고주파를 흘려보내고 비대해진 전립선조직을 응고괴사 시키는 방법이다. 리줌은 전립선에 수증기 주사를 주입해 전립선을 줄여주는 시술이며, 유로리프트는 전립선 결찰술로 요로를 막고 있는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묶어 요로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개복수술을 통해 전립선을 절제하는 방법이 있다.

#합병증

전립선비대증을 방치하면 과민성 방광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요폐로 배뇨가 이뤄지지 않아 카테테르(도뇨관)을 삽입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방광에 잔료로 인해 요로감염 위험도 커지며, 잦은 요로감염 때문에 전립선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김 전문의는 “방광결석 유발 위험도 커지며, 요폐로 인해 방광에 압력을 받게 되면 방광에 꽉 차 있던 소변이 신장으로까지 역류하게 되고, 반복되면 신장이 손상을 입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암과는 큰 관계가 없다. 물론 전립선염과는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비뇨기과에 대해 

김 전문의는 “비뇨기과를 성병 치료하는 곳으로 잘못 오인하기도 하는데 비뇨기 계통 및 남성 생식기 문제를 다루는 곳이다. 특히 방광 문제로 비뇨기과를 찾는 한인들이 많다. 소변을 너무 자주 보거나, 시원하게 잘 못 보거나,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자주 깨는 바람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경우 등이다. 꼭 전립선 문제와 방광문제를 함께 겪고 있을 수도 있고, 여성은 요실금 및 방광 문제가 많다”고 설명했다. 

신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등 관련 암 환자들도 진료하는 김 전문의는 “방광 문제는 많이 발생하고 증상이 있기 때문에 병원에 오게 되지만, 암은 증상이 없어 그냥 지나치는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

또한 “과민성 방광 문제가 많다. 전립선 문제인줄 알았는데 과민성 방광으로 진단된 경우도 있었다. 과민성 방광은 스트레스, 이전에 심한 방광염 때문에 과민성 방광이 생긴 경우, 카페인이나 초콜릿, 맵거나 신 음식, 알코올 등 식습관 때문에 과민성 방광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흡연 역시 방광 건강에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전립선 및 방광을 건강하게 하려면

김 전문의는 “기름진 음식보다는 건강한 음식을 먹고,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규칙적으로 운동하며, 방광이나 전립선 문제가 의심되면 비뇨기과 전문의를 만나보는 것을 권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소변을 너무 오래 참지 말고, 건강한 식생활을 하며, 역시 카페인 섭취를 조심하고, 너무 맵고 짠 음식은 조심한다. 또 금연도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한국인 대사증후군 ②]“남성 50대 여성 70대 대사...

대사증후군을 앓는 남성은 점점 많아지는 반면, 여성은 점차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심장대사증후군연구회가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유병 현황 자료를 분석 한 결과다. 심...

Nugurado, 조회 수 369

대사증후군 남성, 대장암 위험 40% 높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대장암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남성은 대장암 발병률이 1.4배, 여성은 1.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고대구로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 교수, ...

Nugurado, 조회 수 337

심장 박동 소리 들어보면 치매 위험 보인다 l

심방세동 환자는 치매 위험이 40%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심방세동은 심장이 빠르고, 종종 불규칙하게 뛰는 질환이다. 60세 이상 중장년 10명 중 1명이 앓을 정도로 흔하다. 이 심방세동을 앓을 경...

Nugurado, 조회 수 328

"하나만 더…" 운동 욕심낸 결과가 ‘脫腸...

내 몸을 망치는 운동법 덤벨을 들고 있는 남성 지나치게 힘을 많이 줘야 하는 근력운동은 탈장이나 횡문근융해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운동은 건강의 기본이다. 꾸준히 운동하면 체지방량이 줄고, 근력·지...

Nugurado, 조회 수 330

아침에 마신 ‘이것’ 한 잔, 의외로 건강에 害

위장기능이 좋지 않거나 소화불량인 사람은 아침 빈속에 우유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많은 전문가들이 건강한 생활습관의 첫 번째로 아침식사를 꼽는다. 실제로 아침식사를 하면 혈당이 조절되고 스트...

Nugurado, 조회 수 361

'술' 아예 안 마시는 게 건강에 가장 이롭다

음주에 대한 가장 안전한 정도는 전혀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이미지스톡) 술을 먹어도 안전한 정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워싱턴대학 연구팀이 '란셋'지에 밝힌 195개국에서 1990-2016...

Nugurado, 조회 수 341

땀 많은 여름철 ‘신우신염’ 주의

신우신염,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발생하는 요로감염증 여름철에는 철저한 위생관리 등 신우신염에 걸리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 이미지스톡) 신우신염은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요로감염증으로, 여름...

Nugurado, 조회 수 367

춥게 해 놓고 사는 집 '고혈압' 발병 위험 높여

실내 공기를 차갑게 해 놓고 사는 것이 고혈압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스톡) 28일 컬리지런던대 연구팀이 '고혈압'지에 밝힌 16세 이상의 총 465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내 온...

Nugurado, 조회 수 357

발기부전 환자, 남성호르몬 수치 높이는 운동 따로...

심폐 능력 좋을수록 남성호르몬 수치 높아 ‘발기력 향상’ 도움 발기부전 환자의 경우 남성호르몬 수치 높이려면 비만 줄이고 심폐 체력 높여야 한다. (사진=이미지 스톡) 남성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은 정상적인 발기력...

Nugurado, 조회 수 415

독감백신, 언제 맞는 게 가장 좋을까?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이지만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및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독감은 일반 감기와는 원인균과 병의 경과가 다르기 때문에 감기와는 구별하고 있다...

Nugurado, 조회 수 355

노인에 치명적 ‘폐렴’…이렇게 쉽게 전염되다니

폐렴구균의 전염력이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를 만지거나 휘비는 동작만으로도 폐렴균이 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폐렴구균(Pneumococcus)...

Nugurado, 조회 수 345

고혈압·당뇨병약, 오래 먹으면 비타민B 부족 l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자가 복용하는 약 중에 일부는 특정 성분의 흡수를 방해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는 평생 약을 복용하며 혈압·혈당을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특...

Nugurado, 조회 수 354

말할 수 없는 비밀 우울증…내 속은 곪아간다

매년 성인 10명 중 1명 이상 우울감을 경험…청년층 심각 미취업 상태일 때 일할 때보다 5배 이상 높아…치료는 OECD 최저수준 “우울증은 병, 환자 마음대로 극복할 수 있는 게 아니야” 주변 도움은 우울증 치료의 종 "나는 우울...

Nugurado, 조회 수 353

‘요가’ 힘든 포즈 억지로 시도 말라

나에게 맞는 요가 클래스를 찾아 천천히 기본부터 배운다 요가는 바른 자세와 유연성 기르기 및 전신 운동으로 추천되는 운동이다. 미 국립의학도서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 따르면 요가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안...

Nugurado, 조회 수 372

“소변 시원하게 봤으면…” 중장년 남성의 고민

전립선비대증 원인·치료법 ▶ 가족력·비만·당뇨 원인, 빈뇨·잔뇨감 등 증상, 치료법 다양… 방치하면 과민성 방광 생길 수도 중년 이후 소변보는 횟수가 잦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밤에 자주 소변을 보느라 깨어난다면 ...

Nugurado, 조회 수 686

‘사촌지간’ 메르스와 독감, 고열 같지만 감염부위 ...

메르스, 독감과 다른 점은, 독감-상기도, 메르스-하기도 감염 메르스는 증상 완화용 약만 있고, 독감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 충북 옥천에 사는 50대 여성 B씨는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두바이로 여행을 다녀온 뒤 ...

Nugurado, 조회 수 346

완치종 울리는 림프종

면역세포 발생·성숙과정서, B림프구 무한증식해 암으로 60여개 유형·침범부위에 따라, 증상·치료법 등 ‘천의 얼굴’ 우리 몸에는 인체 내에 들어온 병원체를 인식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하는 500개 이상의 림프절과 림프...

Nugurado, 조회 수 352

느린 걸음은 노인건강에 적신호… 사망률 2.5배 높아져

느리게 걷는 노인은 인지장애나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보행 속도가 느린 노인의 사망률이 2.5배, 요양병원 입원율이 1.6배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이은주 노년내과 교수...

Nugurado, 조회 수 356

환절기 바람 불자 눈물 줄줄? 속눈썹·화장품 자극 ...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적지 않은 사람이 눈물이 줄줄 흐르거나, 눈이 시리고 뻑뻑해지는 증상으로 고생한다. 환절기가 되면서 최근 이 같은 눈물분비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이 적지 않게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는 바람이 강하게 ...

Nugurado, 조회 수 340

‘홈 짐’ 실내 운동기구 구입하기 전에 미리 써봐야

심장질환·허리통증·관절염 환자는 ▶ 주치의에게 선택·운동법 문의해야 집에 홈 짐을 꾸밀 때는 사고 싶은 운동기구를 미리 공원이나 헬스클럽에서 사용해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집에서 편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시...

Nugurado, 조회 수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