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0081953145b1.jpg


강화된 미국 가이드라인 채택하면 성인환자 30%서 49%로 늘지만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21% 뚝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단기준과 목표혈압을 미국의 강화된 가이드라인(진료지침)에 맞춰 개정하면 고혈압 환자가 성인 100명당 30명에서 49명으로 늘어나는 반면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21%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심장학회(ACC)와 미국심장협회(AHA)는 지난해 11월 고혈압 진단기준(수축기/이완기 혈압)을 우리나라도 쓰고 있는 140/90㎜Hg 이상에서 130/80㎜Hg 이상으로 강화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고혈압 환자의 치료 목표혈압도 130/80㎜Hg 미만으로 더 철저하게 조절할 것을 권고했다. 

2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강시혁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지난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 성인 1만5,784명의 고혈압 유병률, 2002~2003년 고혈압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은 30세 이상 성인 37만3,800명의 이후 평균 11년 간 주요 심혈관질환 발생 여부를 추척조사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 고혈압 진단기준을 미국 기준(130/80㎜Hg 이상)으로 강화하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이 30.4%에서 49.2%로 높아졌다. 다만 실제로 고혈압이 중증이거나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이 진행돼 약물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비율은 29.4%에서 35.3%로 소폭 증가했다. 고혈압 환자가 18.8%포인트 증가하지만 이 중 3분의1 정도만 약물치료가 필요하고 3분의2는 ‘약물치료가 아닌 건강한 생활습관이 권고되는 그룹’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 강 교수는 “미국의 기존 가이드라인이 혈압 140/90㎜Hg 이상이면 무조건 약물치료로 혈압을 낮추라는 것이었다”며 “반면 새 가이드라인은 혈압이 130/80㎜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하되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 등에는 약물치료를 통해, 그렇지 않은 건강한 고혈압 환자는 식단조절·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혈압을 130/80㎜Hg 미만으로 낮추는 노력을 하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140/90㎜Hg 이상을 고혈압 진단기준으로 쓰는 우리나라도 고위험군은 약물치료를 통해 혈압을 130/80㎜Hg 미만으로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미국 기준을 도입하더라도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 

반면 미국 기준으로 바꾸면 고혈압 환자들의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21% 낮출 수 있다. 강 교수팀이 고혈압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평균 11년 간 추적관찰했더니 1~2년 뒤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130/80㎜Hg 미만으로 떨어진 그룹은 140/90㎜Hg 미만으로 떨어진 그룹에 비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21% 낮았다.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이지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고혈압 환자들이 본인의 목표혈압을 보다 철저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할 경우 고혈압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미국에서 발표한 새 가이드라인은 고혈압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식습관 개선, 운동을 통한 예방과 비약물적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며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신장질환·치매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위험인자인 만큼 일찍부터 혈압에 관심을 갖고 최적 수치인 120/80㎜Hg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목표혈압을 140/90㎜Hg 미만에서 130/80㎜Hg 미만으로 낮추려면 보통 고혈압약을 한 알 더 먹어야 한다. 그런데 복용량을 늘리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진 환자가 많고 단기적으로 어지럽거나 힘들어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혈압이 매우 높은 환자나 고령자 등은 심한 경우 저혈압 증세로 쓰러져 엉덩관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등 부상을 입기도 한다. 콩팥 기능이 나빠질 수도 있다. 많이 복용하는 고혈압약인 안지오텐신 차단제는 심장·콩팥 합병증 예방·치료 효과도 좋아 널리 처방되고 있지만 콩팥의 중요 기능인 혈액여과 작용을 하는 사구체(絲球體) 혈관의 압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고령자, 탈수나 콩팥혈관 동맥경화증이 심한 고혈압 환자는 약 복용 및 체내 수분·염분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강 교수는 “따라서 무작정 목표혈압을 낮게 잡는, 즉 혈압약을 세게 쓰는 게 최선은 아니다”며 “특히 하루 중 혈압이 유난히 들쑥날쑥하다면 가정혈압계로 혈압을 자주 체크해 자신의 혈압 패턴을 확인하면서 목표혈압을 낮춰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혈압은 계절·시간·컨디션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2745
435 마스크의 모든것: 집에서 만들수있는 더좋은 보호장비 티파니 159
434 코와 구강 점액과 감기,독감 감염 슈렉 166
433 과산화 수소, 이런 효능이 있다?! 알려지지 않은 과산화 수소 활용법과 효과들 coffee 167
432 이 4가지만 안먹어도 당뇨와 치매에 안걸린다 [당뇨와 치매가 낫는다] - 3편 coffee 177
431 시간을 절약해주는 30가지 메이크업 팁! 우파영혼 179
430 또띠야에 돌돌말아낸 영양식, 프로슈토 감자 샐러드 file 쩝쩝이 179
429 제34강:비타민C 500mg이상 먹지마라 우파영혼 182
428 면역력 강화하려면… 마늘·생강·강황 도움 file 슈렉 185
427 20일간 셀러리를 먹으면 나타나는 7가지 효과 희망의그날 186
426 바이러스에 맞서는 힘, 선천 면역력을 길러라! 다쓸어 186
425 이 4가지만 안먹어도 당뇨와 치매에 안걸린다 [당뇨와 치매가 낫는다] - 4편 (마지막편) coffee 187
424 (어려운 시기에) 무슨 비타민을 먼저 먹어야할까? - 면역력 상승편 coffee 187
423 긴급메세지: 미국 코로나19 대처방법 안내 깐두루 188
422 과산화 수소, 이런 효능이 있다?! 알려지지 않은 과산화 수소 활용법과 효과들 그랑프리 201
421 직접 만든 손 소독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할 수 있을까? 에탄올 62% 손 소독제 만드는 법 산야초 202
420 피부성형을 위한 레이저 종류 file 친구야친구 217
419 20년 더 사는 생활습관 file 민영 219
418 5년전에 이미 예견된 바이러스 쩝쩝이 223
417 “걷기운동으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걷기 전도사 성기홍 박사 (‘걸음걸이만 바꿔도 30년 젊게 산다’ )저자 다쓸어 225
416 젊음을 더 오래 유지하고 노화를 늦추는 법 갈갈이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