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안과병원 2009~2017년 진료 분석

 고령화에 당뇨환자 증가 영향…당뇨망막병증·황반변성이 진료인원·증가율 각각 1위

201809241647135b1.jpg

한 당뇨병 환자가 당뇨망막질환 등의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안저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김안과병원>



지난 9년 동안 망막질환 가운데 당뇨망막병증과 황반변성이 각각 진료인원·증가율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이 지난 2009~2017년 망막병원을 찾은 34만6,206명을 분석했더니 연간 망막질환 진료인원은 69% 증가했다. 9년간 진료인원은 당뇨망막병증이 7만9,443명으로 가장 많았고 황반변성(4만1,026명), ‘눈 중풍’으로 불리는 망막혈관폐쇄(2만6,070명) 순이었다. 상위 2개·3개 질환자가 전체 망막질환 진료인원의 55.4%, 67.4%를 차지했다. 진료인원 증가율은 황반변성이 87%(2,995→5,598명)로 1위였다. 

가장 흔한 망막질환인 당뇨망막병증은 백내장·녹내장 등과 함께 당뇨병으로 인한 눈 관련 합병증 중 하나다. 망막에는 혈액을 통해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많은 혈관이 뻗어 있다. 당뇨병으로 오랜 시간 고혈당에 노출되면 망막혈관, 특히 미세혈관에 혈액순환장애가 생겨 시력저하가 생길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며 시세포가 몰려 있고 초점이 맺히는 황반부에 병적 변화가 생기면 시력저하가 나타난다. 하지만 당뇨망막병증이 상당히 진행됐더라도 황반부에 문제가 없으면 대부분 시력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  

당뇨병 환자 중에는 고혈압·고지혈증을 동반한 경우가 많다. 망막 동맥·정맥이 혈전으로 막혀도(망막혈관폐쇄) 통증 없이 갑자기 심한 시력저하가 발생한다. 당뇨망막병증을 예방하고 늦추려면 혈당·혈압 등을 잘 조절하고 담배를 끊어야 한다. 늦지 않게 경과 관찰을 하면서 치료해나가면 수술까지 가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동원 김안과병원 망막센터장은 “시력저하 증상만으로는 당뇨망막병증의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당뇨병 환자라면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 번 이상 망막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당뇨망막병증 진단을 받은 여성이 임신했다면 병증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3개월에 한 번 망막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진료인원 증가율 1위인 황반변성은 황반부에서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들이 더 이상 빛을 감지할 수 없을 만큼 퇴화되고 섬유성 흉터조직이나 빈 공간으로 대체되는 경우를 말한다. 주된 원인은 노화다. 

untitledz.png


황반변성은 주로 50세 이후에 발생하며 65세 이상 노인 실명의 가장 큰 원인이다. 노화로 인해 혈관이 영양분과 산소를 망막 신경층에 잘 전달하지 못하고 노폐물(드루젠)이 쌓이게 된다. 이를 건성(비삼출성) 황반변성이라고 하며 황반변성의 80~90%를 차지한다. 초기에는 대개 자각 증상이 없고 시력도 괜찮다. 하지만 말기 단계까지 진행하면 망막의 신경조직이 위축되면서 황반이 변성돼 시력이 크게 떨어지고 습성(삼출성)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마땅한 치료방법도 없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다.

습성 황반변성은 황반을 포함한 망막에 산소·영양 공급이 제대로 안 돼 그 아래 혈관층(맥락막)에서 정상적인 혈관 벽 구조를 갖추지 못한 신생혈관들이 마구 생겨나 망막까지 침범해 발생한다. 황반 시세포·시신경 등을 포함한 망막이 신생혈관들로 인해 우그러지거나 신생혈관이 터져 피·삼출물로 오염돼 염증·부종이 만성화하면 급격한 시력저하, 직선이 구부러져 보이는 변형시, 시야 일부가 가려져 보이는 암점 등이 나타난다. 병변이 황반과 가까울수록 초기부터 시력저하가 나타나며 방치할 경우 2년 안에 실명할 수 있다. 신생혈관 조직이 망막을 잡아당겨 망막이 아래층과 떨어지는 망막박리가 생기기도 한다. 

시력상실을 예방·억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조기에 진단을 받아 빨리 치료받는 것이다. 주된 치료법은 신생혈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항체 주사다. 신생혈관에 레이저광선을 쪼여 없애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 센터장은 “항체 주사제는 초기일수록 효과가 좋고 시력 개선 효과도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다”며 “다만 효과가 일시적이어서 1년에 6회가량 맞아야 하는 경우가 흔하고 오래된 신생혈관으로 망막에 흉터가 생기거나 신경세포 손상이 진행된 뒤에는 효과가 떨어지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황반변성은 조기발견과 예방이 중요하므로 50세 이상에서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검진을 받는 게 좋다. 특히 암점, 격자 무늬(암슬러 그리드)를 볼 때 변형시가 생기면 즉시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흡연, 강한 자외선 노출을 피하고 고혈압·고지혈증·심혈관계 질환을 잘 조절하며 항산화비타민(비타민C·E), 루테인·아연보충제, 안토시아닌·베타카로틴이 풍부한 포도·블루베리·오렌지·파인애플 같은 보라색·노란색 과일을 자주 먹으면 황반변성을 예방하거나 악화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자다가도 열나고 식은땀 줄줄 ‘호르몬 유죄’

여성 갱년기 증상과 해결책은-에스트로겐 감소로 안면홍조·불면증·뱃살 늘어 ▶ 저용량 피임약 등 폐경기 호르몬 치료법 효과, 매운 음식·술·카페인 섭취 가급적 줄이고 우울증·두통 시달린다면 요가나 명상도 도움 여성호르몬 ...

Nugurado, 조회 수 382

채식 중 손발 저리다면 비타민 B12 부족증세?

손발저림, 빈혈 등은 비타민 B12 부족증과 관련 있다 요즘 영양부족에 시달리는 사람은 없지만, 채식을 하는 사람은 비타민 B12 부족이 나타나기 쉽다. 비타민 B12는 주로 달걀, 육류, 해산물, 유제품, 닭고기 류를 통해 섭취...

Nugurado, 조회 수 362

몸무게 이유없이 확 줄었다면 원인 뭘까

근감소증·갑상선 이상·당뇨병·암 등 유발질환 찾아야 갑상선 기능 항진증때문에 식욕이 왕성해도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사진은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하는 모습 별다른 노력을 하지도 않았는데 체중이 눈에 띄게 빠진다...

Nugurado, 조회 수 340

복통·설사 동반한 가려움증은 식중독 의심해봐야

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만성 두드러기는 식품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X 특정 음식에 의한 만성 두드러기는 매우 드물다. 국내 만성 두드러기 환자에서의 식품 알레르기를 다룬 논문들에 따르면 과거 식품 알레...

Nugurado, 조회 수 346

고혈압 기준 강화땐 ‘뒷목’ 잡을 일 준다

강화된 미국 가이드라인 채택하면 성인환자 30%서 49%로 늘지만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21% 뚝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단기준과 목표혈압을 미국의 강화된 가이드라인(진료지침)에 맞춰 개정하면 고혈압 환자가 성인 100명당 30명...

Nugurado, 조회 수 322

식생활 서구화·비만 영향… 직장암 줄고 결장암 늘어

결장암 비중 15년새 1.34배 증가 직장암 50.5%서 33.6%로 감소 식생활의 서구화와 비만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대장암 중 결장암의 비중이 최근 15년간 1.34배 늘어난 반면 직장암의 비중은 3분의2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

Nugurado, 조회 수 341

시큰거리고 아픈 무릎, 관절주사 어떤게 좋나

노후 불청객 ‘무릎 퇴행성 관절염’ 일명 ‘뼈주사’스테로이드는, 통증완화·염증억제 즉각적, 자주 맞으면 연골손실 악화 무릎 퇴행성 관절염으로 통증에 시달리면 휴식, 적절한 운동, 진통 소염제,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먼...

Nugurado, 조회 수 351

틀니, 왜 하게되나…‘풍치’ 방치하면 결국 잇몸뼈까...

잇몸치료 제때 안하면 세균 번식, 치조골 녹아 임플란트도 힘들어져 정기적 딥클리닝 중요 치아가 남아있으면 부분 틀니를(왼쪽), 하나도 남아있지 않으면 완전 틀니를 하게 된다. 나이들어 이가 빠지면 손실된 치아를 대체하...

Nugurado, 조회 수 374

망막질환 8년새 69%↑…“포도·오렌지 자주 드세요”

김안과병원 2009~2017년 진료 분석 고령화에 당뇨환자 증가 영향…당뇨망막병증·황반변성이 진료인원·증가율 각각 1위 한 당뇨병 환자가 당뇨망막질환 등의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안저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김안과병원> ...

Nugurado, 조회 수 361

왜 심장이 빨리 뛰지?… 심혈관계 질환 의심해 보세요

정상 심박수 분당 60~100회 안정 상태서 심박수 높아지면 유방암 등 전체 사망률 상승 너무 느려져도 기저질환 의심 안정시 심박수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기저질환 여부에 대해 주치의와 상담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안정시 심...

Nugurado, 조회 수 374

‘요가’ 힘든 포즈 억지로 시도 말라

나에게 맞는 요가 클래스를 찾아 천천히 기본부터 배운다 요가는 바른 자세와 유연성 기르기 및 전신 운동으로 추천되는 운동이다. 미 국립의학도서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 따르면 요가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안...

Nugurado, 조회 수 365

“피곤해서 운동은 좀… 운동해야 에너지 생겨요” 운...

운동은 시작이 반이라는 생각을 갖고 조금씩이라도 시작해본다. <서울경제 DB> 운동을 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걸 알면서도 몸을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너무 피곤하다’거나, ‘너무 바빠 시간이 없다’ 같은 변명 속에 운동을...

Nugurado, 조회 수 357

보청기 어느 귀에 낄까

가급적 양쪽 모두 착용 청력 비슷하게 유지해야 인구 고령화와 정부의 보청기 지원 확대로 보청기를 사용하는 노인이 늘고 있다. 이어폰을 낀 채 볼륨을 높여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는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난청이 늘어나 보...

Nugurado, 조회 수 373

스마트워치로 갑상선기능항진증 조기 판별

문재훈 교수팀 IT기기 연동 앱 개발, 대사 빨라 열·땀·심박수↑ 체중↓ 안정시 맥박 분당 11회이상 늘면 초발·재발 고위험… 병원 가야 연 24만명 진료…1년이상 약 먹어야 분당서울대병원 문재훈 교수가 개발해 공개한 ‘갑상선기...

Nugurado, 조회 수 367

나쁜 암 잡는 ‘착한 방사선’

MRI 유도 방사선치료, 움직이는 복부장기 종양에 유용…췌장암 2년 생존율 70% 웃돌아 ‘방사선수술’ 초기 폐암환자 90%서 종양제어… 심장·뇌질환 동반자·고령에 적합 서울대병원 방사선 수석기사가 4일 자기공명영상(MRI) 유도 ...

Nugurado, 조회 수 334

[치과 진료실] 임플란트 주위염

이제 임플란트는 세계적으로 일반화된 치료법 중 하나가 되었다. 이제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치과용 임플란트를 심고 나서 환자분들의 관리 미숙으로 마치 잇몸병(치은염, 치주염)과도 같은 ‘임플란트 주위염’이 만연해 가는 ...

Nugurado, 조회 수 392

면역력을 강화 함유 식품 8가지

면역력을 강화 함유 식품 8가지 1. 굴(아연) 굴을 비롯해 구운 고기, 게, 랍스터, 다크 초콜릿, 땅콩 등에는 천연 아연이 많이 들어있다. 이 성분은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감염되거나 중독된 세포를 격퇴하며, 감기를 누그러뜨...

Nugurado, 조회 수 335

[ 힐링&걷기<6>] 걸음마 찍찍

“요구르트 매일 먹는 사람보다 꾸준히 배달하는 사람이 더 건강하다.” 우스갯소리지만 맞는 말이다. 동의보감의 허준 선생께서 “藥補약보보다는 食補식보가 낫고 食補보다는 行補행보가 낫다”고 했을 정도로 걷기는 몸에 이롭...

Nugurado, 조회 수 359

신장결석 예방 위해 피해야 할 음식은 무엇인가?

yes,,, 수분을 더 많이, 나트륨은 더 적게, 칼슘 풍부한 음식은 더 섭취하면 도움 과일, 채소, 견과류, 콩류, 저지방 유제품, 전곡류를 섭취하는 DASH 식단은 신장결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사진Marilyn K. Yee / The New Yor...

Nugurado, 조회 수 366

한잔의 우유...혈당조절 효과

▶ 종일 포만감에도 도움 아침 식사 때 우유 1잔이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하루 내내 포만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겔프대학 인간건강기능식품 연구실의 더글러스 고프 식품과학 교수 연구...

Nugurado, 조회 수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