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상현의 안단테로 살아보니] 고향으로 온 연어


바다에 드리운 낚싯대 너머로 해가 떠오른다. 연어 알처럼 동그랗고 진한 오렌지색이다. 어둠을 밀어낸 햇빛이 바다와 하늘로 퍼져 나간다. 세상을 온통 주황빛으로 물들일 기세다. 방금 빠져나온 시가지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도심의 빌딩숲은 윤곽뿐인 실루엣으로, 해와 낚싯대 사이에 놓여 있다. 조용하고 평화로운 주말 아침이다.

2018092002095_0.jpg

빅토리아 시내가 보이는 바다에서 연어를 만나기 위해 배를 띄웠다. 낚싯대 너머로 연어 알처럼 둥근 해가 떠오른다. /박상현



가을 문턱에서 연어를 찾아 나선 길이었다. 일 년에 서너 번씩 같이 출조하는 동료 직원 레이와 함께였다. 3년 전, 내 배가 고장이 나 처분을 한 뒤, 쓰지 않고 보관해 두었던 바다 전용 GPS를 그에게 빌려주었다. 레이는 이에 대한 답례 격으로 나에게 함께 낚시 가기를 종종 청해오던 터였다. 이날은 빅토리아 항구 바로 앞, 바람 한 점 없이 조용한 바다에 배를 띄웠다. 그의 낚싯대에는 꼴뚜기 모양의 인조 미끼를, 내 바늘에는 손가락만 한 냉동멸치를 매달아 물속으로 내렸다. 그런 뒤 배를 천천히 움직이며 물고기를 유인하는 트롤링 방식으로 낚시를 시작했다. 수심 30~40m 정도 되는 바다를 오가며 입질을 기다린 지 한 시간쯤 됐을까? 내 낚싯대 끝이 심하게 흔들렸다.

"피시 온(Fish on)!"

나는 다급하게 입질이 왔다고 외친 뒤, 낚싯대를 홀더에서 빼내 잽싸게 릴을 돌려 감았다. 묵직한 느낌이 온몸으로 전해져왔다. 두 손만으로 겨루기엔 벅차 보이는 상대였다. 낚싯대 손잡이 끝쪽을 아랫배에 바짝 붙였다.

"와우! 꽤 힘을 쓰는데!"

뜰채를 들고 연어를 기다리던 레이가 덩달아 흥분한 목소리로 소리쳤다. 드디어 수면 가까지 올라온 연어의 거무스레한 윤곽이 드러났다. 눈짐작으로도 7~8㎏은 족히 넘어 보이는 왕연어였다. 물고기가 보트 후미에 가까워지자 레이가 뜰채를 들이밀었다. 그러나 이게 웬일인가? 연어가 수면을 박차고 솟구쳐 오르는 것이었다. 힘 좋고 날렵한 은연어들은 종종 이런 모습을 보여주긴 하지만 왕연어들은 좀처럼 이런 경우가 없다.

"오 마이 갓! 저렇게 덩치가 큰 녀석이 뛰어오르는 것은 처음 봐!"

놀라는 레이를 뒤로한 연어는 릴에 걸린 낚싯줄을 힘으로 풀어내며 맹렬하게 앞으로 내달렸다. '윙윙윙윙'. 릴이 우는 소리가 요란했다. 두어번 더 밀당을 하던 녀석은 결국 뜰채에 들려 올라왔다. 몸속 가득 진한 오렌지색 알을 품고 귀향길에 나섰던 암컷이었다.

북미대륙 서해안에서 가장 큰 섬인 밴쿠버 아일랜드. 내가 사는 빅토리아는 이 섬의 맨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섬의 맑은 강들은 연어들의 고향이고, 이 섬의 앞바다는 더 먼 길을 가려는 연어들이 숨을 고르는 정류장이다.

베링해를 떠나 알래스카만을 거쳐, 이 섬의 초입에서 연어들은 두 패로 나뉘어 남하한다. 로키산맥이 지척인 캐나다 애덤스 강(Adams River)에서 태어난 홍연어들은 조지아 해협을 지나 밴쿠버로 향한다. 미국 워싱턴주 베어 크리크(Bear Creek)가 고향인 은연어들은 후안 데 푸카 해협을 거쳐 시애틀로 길을 잡는다. 내가 낚싯대를 드리운 빅토리아 앞바다는 동서로 가로지른 두 해협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밴쿠버 시내를 관통하는 프레이저 강에 들어선 홍연어들은 애덤스 강까지 장장 405㎞를 헤엄쳐간다. 소용돌이치는 협곡을 지나고 거센 물살을 쏟아내는 폭포도 거슬러 오른다. 굶주린 곰과 독수리의 날카로운 발톱을 피해 강물을 오르고 또 오른다. 주둥이가 헤지고 지느러미가 찢어져도 멈추지 않는다. 멀고도 험한 귀향길이다.

가을 달이 둥그스름하게 차오를 무렵, 홍연어들은 마침내 고향에 도착한다. 3년 만의 귀향이다. 이들에게 고향은 무사히 돌아왔다는 기쁨과 다시는 바다로 내려갈 수 없다는 슬픔이 교차하는 곳이다. 또한 산란(産卵)이라는 숭고한 의식 뒤에 숙명으로 맞이하는 죽음과 소중한 새 생명의 탄생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윤회하는 곳이기도 하다. 한 생명의 시작과 끝이 처연하게 공존하는 곳, 그곳이 바로 연어들의 고향이다. 나에게 고향은 무엇인가? 깊어 가는 가을 밤,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이며 묻고 또 묻는다.



[미국은퇴자협회(AARP)] 중장년 인식개선 동영상

노인이 행복한 나라는 있다…네덜란드 노인 정책 /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노인이 행복한 나라는 있다? 고령화 사회 노인 문제에 대한 대비책은 부족한데요 노인들이 가장 살기 좋은 나라 네덜란드에서는 어떤 노인 정책이 있는지 대한민국 노인 정책과 함께 알아볼까요?

, 조회 수 369

면역력 강화 영양제…엘더베리·오레가노 도움

본격적인 환절기다. 요즘 같은 환절기엔 일교차가 심해 면역력이 약한 시니어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감기나 앨러지로 고생한다. 비단 환절기가 아니라 해도 나이가 들면 면역력이 떨어져 잔병치레가 잦아지게 마련. 최근 리더스다...

, 조회 수 344

시니어 자유여행 준비 이렇게…나도 '꽃할배'처럼 ...

체력, 이동거리 고려 한 국가만 관광 인기 구체적 일일 계획 짜야 스마트폰 사용하면 편리 시니어들에게 배낭여행 붐을 몰고 왔던 '꽃보다 할배' 출연진들이 출국에 앞서 인천공항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

, 조회 수 365

면역력 강화 영양제…엘더베리·오레가노 도움

환절기 면역력 강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본격적인 환절기다. 요즘 같은 환절기엔 일교차가 심해 면역력이 약한 시니어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감기나 앨러지로 고생한다. 비단 환절기가 아니라...

, 조회 수 343

'행복한 100세 시대' 준비하는 뉴질랜드 노인들 / ...

, 조회 수 343

시니어 재취업 동향 및 구직 팁…막연한 기대 버리...

실업률 최저…일손 부족 기업들 시니어 고용 활발 전문 기술에 투자하고 적극적 구직 활동 중요 은퇴 후 재취업에 성공하려면 현실을 냉정하게 파악하고 전문기술을 습득하는 등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회 수 341

노령자들을 위한 침술의 이점

점점 더 많은 미국인들이 침술의 건강상 이점에 대해 알게 되면서, 이러한 형태의 대체 의술을 자신들의 삶에 접목시키기로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침술을 받아본 적이 있는 사람들에 있어서, 침술은 만성 통증을 비...

, 조회 수 328

잡부로 파출부로 ‘늙은 싱글’의 비애

60대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서울 강서구의 화곡동 “혼자 살다가 아무도 모르게 혼자 죽을까 두려워” 60대 1인가구들은 먹거리가 해결되는 시장과 직장 근처에서 사는 경향을 보였다. 서울 강서구는 관악구(10만6865명)에 이어 서...

, 조회 수 355

시니어센터 추가 모집, 9일부터 38개 프로그램

한인타운 시니어 커뮤니티 센터(이사장 이영송)가 오는 9일부터 사흘 간 10월 새 학기 신입생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시니어 센터는 신설된 시니어 요가, 시네마천국, 서바이벌 영어, 미국본토 영어, 영어말하기, STEM 교실 등 ...

, 조회 수 324

보습을 시작하기 전, 썸바이미 모공비누로 클렌징...

건조한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습크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큰 일교차와 건조함으로 인해 피부의 수분을 빼앗기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습보다 중요한 것이 수분을 머금을 ...

, 조회 수 332

노후생활에서 가장 무서운 적은 무엇일까? |

노후생활에서 가장 무서운 적은 무엇일까? 그게 무료 (無聊지루하고 심심함)다. 사람은 죽는날까지 할 일이 있어야 한다. '산송장’ 이 안되려면 자기일이 있어야 된다. 돈버는 일만 일은 아니다. 노후의 ‘자기일’ 은 삶의 질을 ...

, 조회 수 334

노인 7백만 시대..."가난·세대 간 갈등으로 ...

[내일(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정부가 처음으로 노인 인권 실태를 다룬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가난과 세대 간 갈등이 노인들의 가장 큰 고민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30...

, 조회 수 346

한 생명의 시작과 끝이 처연하게 공존하는 곳, 나...

[박상현의 안단테로 살아보니] 고향으로 온 연어 바다에 드리운 낚싯대 너머로 해가 떠오른다. 연어 알처럼 동그랗고 진한 오렌지색이다. 어둠을 밀어낸 햇빛이 바다와 하늘로 퍼져 나간다. 세상을 온통 주황빛으로 물들일 기세...

Nugurado, 조회 수 339

"아버님, 지난주 제가 전화 드린 것 기억나세...

[오늘의 세상] 이럴땐 부모님 치매 진단을 통화 사실 기억 못하면 치매 의심… 대화내용 기억 못하면 기억력 감퇴 추석 연휴에 만난 부모님이 최근 여러 차례 전화 통화한 사실 자체를 완전히 잊고 "요즘 왜 이렇게 연락이 뜸하...

, 조회 수 318

나이 들면서 생기는 ‘근육감소증’ 막으려면

50세 되면 골격근 쇠퇴, 예방조치 취하지 않으면 70세에 근육량 절반으로, 80대의 절반 이상 해당 노화하면서 골다공증과 함께 찾아오는 근육감소증은 충분한 강화훈련으로 상당 부분을 복구할 수 있다. [그림 Gracia Lam/ NYT...

, 조회 수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