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행처럼 번지며 퇴사자 수두룩
퇴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라져
“퇴사 후 내 삶을 찾게 됐다”

유튜브에 ‘퇴사’를 검색하면 ‘퇴사 후 6개월’, ‘퇴사 여행’, ‘퇴사 1분 전’ 등 퇴사 관련 영상 수천개가 뜬다. 영상 속에선 “시원섭섭하다”, “졸업하는 기분”이라며 마지막 출근길 소감을 말하고, 직장 동료들과 송별회를 즐긴다. ‘용기가 부럽다’ ‘수고했다’ ‘대단하다’는 댓글이 수십개씩 달린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인스타그램엔 ‘퇴사축하파티’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이 넘쳐난다. 트위터에는 ‘퇴사봇’이라는 계정이 퇴사를 권하는 게시물을 올린다. 서점가에는 ‘퇴사하겠습니다’, ‘희망 퇴사’ 등 퇴사 관련 책이 유행이다.


2018092800404_0.png

트위터 '퇴사봇'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퇴사'를 검색하면 나오는 게시물들.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캡처



그동안 청년들은 취직을 꿈꾸며 앞만 보고 달렸다. 하지만 입사 후 현실 조직 생활에 부딪히자 과감히 사표를 던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열정과 창의성을 죽이는 수직적인 조직 문화, 낮은 연봉, 성과주의로 인한 스트레스 등을 견디며 직장에 남아있기는 싫다는 것이다. 이들은 퇴사를 ‘내 삶을 찾기 위한 용기’라고 말한다.


◇실패자, 패배자? 이젠 ‘위너’

과거 퇴사자는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실패자’ 또는 ‘낙오자’로 여겨졌다. 하지만 지금은 부러움의 대상이다. “참고 버티면 복이 온다”는 말만 믿고 견디다 몸과 마음에 병이 든 직장인에게 퇴사자는 ‘승리자’다.

jobsN이 20~40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서도 퇴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볼 수 있었다. “동료의 퇴사를 보고 어떤 느낌을 받냐”는 질문에 ‘부럽다’, ‘응원한다’, ‘용기있다’, ‘이해가 된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은 602명(60.2%)이었다. ‘걱정되면서도 부럽다’는 양가적인 답변을 한 사람은 83명이었다. 또 이직을 하거나 퇴사 후 계획이 있는 퇴사는 긍정적으로 본다고 구체적으로 답변한 사람(11명)도 있었다.

2018092800404_1.jpg



직장인들 대부분은 “별다른 목적없이 그저 회사가 싫다고 퇴사하는 동료들을 보면 답답하고, 직장을 잘 구해 나가는 동료는 부럽다.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 퇴사하는 사람은 한심해 보이지만, 언젠간 나도 제대로 준비해 퇴사해야겠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퇴사를 마냥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퇴사는 전염된다. ‘동료의 퇴사가 귀하의 퇴사 의향을 더욱 높아지게 만들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5.3%가 “그렇다”고 답했다.

2018092800404_2.jpg


2030세대만 퇴사를 하는 것도 아니다. 올 5월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를 그만두며 지인 60명을 모아 직접 '퇴사 파티'를 연 정재호(45)씨는 “대부분 퇴사를 할 때는 조용히 나가는 게 보통이지만, 안정된 현 직장을 떠나 새로운 변화에 도전하는 것에 대한 응원을 받고 싶어 파티를 열었다”고 했다.

◇퇴사를 후회하지 않는 이유

많은 퇴사자들은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들은 사표를 던진 후 그동안 놓쳤던 삶을 챙기고 미래 계획을 재정비한다. 잊고 있던 자신의 적성을 재탐색하고 자신이 즐거운 일에 몰두한다.

퇴사 후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김은지(24)씨가 대표적인 경우다. 그는 2013년 롯데관광에 입사해 4년간 여행 오퍼레이터로 일했다. 여행 오퍼레이터는 국내외 여행지를 발굴하고 일정을 직접 계획하는 일을 한다.

김씨는 항공과 2학년 재학 중 취업해 또래에 비해 일찍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일은 적성에 맞았다. 12개국 31개 도시를 여행하며 새로운 여행 상품을 기획했다. 우수사원 표창을 받고 1년 특진을 하는 등 회사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힘들었고 지쳤다. “20대는 도전하는 나이라고 하잖아요. 열심히 산다는 핑계로 인생에서 중요한 고민을 놓치고 있는 것 같았어요. 고민 끝에 나만의 삶과 일을 꾸려보자는 결론을 냈습니다.”

2018092800404_3.png

(왼쪽부터) 김씨의 직장인 시절,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모습들. /김은지씨 제공



그는 2017년 5월 사표를 던졌다. 이후 전 세계를 여행하며 영상을 찍고 글을 썼다. 여행 관련 블로그와 유튜브를 운영하고 모델과 강연자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퇴사 후 수입이 일정치가 않는 등 힘든 점도 있지만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며 “내가 좀 더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후회하지 않는 퇴사자들의 공통점은 퇴사 계획을 철저히 세웠다는 점이다. 또 퇴사 후 다가올 수 있는 생계의 어려움이나 ‘어두운 미래’도 맞닥뜨릴 각오를 한다.

대기업 SK텔레콤 사내부부였던 전제우(34)·박미영(33)씨는 2015년 동반 퇴사를 했다. 이 부부는 둘 다 IT 개발자다. 노트북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디지털 노마드’를 꿈꿨다. 이를 위해  1년 동안 퇴사 계획을 짰다. 이들은 “수입과 지출을 분석해 불필요한 지출을 없앴다”며 “모아둔 돈과 퇴직금 에어비앤비 수입, 기업 외주 작업, 직접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수입 등으로 생계를 꾸리기로 했다”고 했다. 부부는 철저히 계획한 후 세계일주를 떠났다.

이 부부에게도 퇴사 후 어려움이 있었다. 1년 넘게 매달려 개발한 앱이 반응이 좋지 않아 돈이 모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퇴사 전 이러한 점 등을 각오했기에 버텨낼 수 있었고 내 삶을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퇴사를 염두하고 입사하기도

입사 전부터 퇴사를 계획하는 경우도 있다. 스타트업 타운컴퍼니 윤경욱 대표는 창업 전 경험을 쌓기 위해 한 컨설팅 업체에 다녔다. 그는 “성공한 창업가들의 이력을 보니 경영전략컨설턴트 출신 비중이 높았다”며 “조직 체계와 산업 흐름을 배우기 위해 창업 전 경영 컨설턴트로 일했다”고 했다.

2018092800404_4.png

윤경욱 대표(앞줄 왼쪽에서 첫번째)와 타운컴퍼니 직원들. /윤경욱 대표 제공



2012년 액센츄어에 입사한 그는 2년 반 동안 회사에서 창업을 위한 수련을 했다. 그리고 3가지를 배웠다. “먼저 제가 관심있는 분야가 유통 쪽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컨설턴트로 일하며 전략적 사고력을 키웠고, 네트워킹 맺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는 직장 생활 중 대학생 대상 공동구매 플랫폼이라는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한 후 2014년 퇴사했다. 단체 야구 점퍼(과잠), 단체 도시락, 전공서적, MT용 물품 등 대학생들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창업했다. 그의 회사는 빠르게 성장해 2017년 30억원의 매출을 냈다. 윤 대표는 “기존 회사 생활을 통해 시스템이나 사회생활에서 익혀야하는 기본적인 예의를 배웠고, 이러한 것들이 창업 후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50대 중반되며, 알게되는 5가지

미국 삶속에 모습 이모저모 꼭 알고 살아야 할 정보

, 조회 수 421

구인광고....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

채용정보 지역 : Los Angeles/CA 직종 : 서비스 근무형태 : Full/Part Time 경력 : 무관 연봉/급여 : 협의 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Part / Full time) – Aroma Spa & Sports, Koreatown in Los Angeles...

, 조회 수 710

한만희_웃음강사로 자리잡기까지 했던 '노가다' 생...

왜 웃음강사가 되려고 했을까? 망신을 딛고 웃음치료 강사로 자리잡기까지 생계를 위해 했던 '노가다' 생활 힘들지만 나름 퇴직 후 중년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조회 수 376

쓰죽회란?

“쓰죽회”라는 모임이 있다. 가진 것 다 쓰고 죽자는 취지로 모인 사람들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가진 돈을 다 쓰지 못하고 죽는다. 일본의 어느 회사 이야기다. 은퇴자들 중 퇴직할 때는 평균자산이 25만 불이었다....

, 조회 수 379

은퇴 후, 느긋한 삶을 동경하지만 실천을 못하는 ...

“요즘 밭일로 바쁘실 때죠?” 지난봄 도서관의 한국 역사 강의실에서 70대 어르신과 눈이 마주친 김에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그맘때쯤이었나, 큰 비닐봉지에 한가득 상추를 건네주셨던 기억이 새로워서였다. 그때는...

, 조회 수 354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1. 인생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생은 좋습니다. 2. 의심이 들 때는 그저 약간만 앞으로 전진하십시오. 3. 인생은 매우 짧습니다. 즐기십시오. 4. 당신이 아플 때 당...

, 조회 수 359

가슴 속에 쓰지 않은 이야기 ...

꿈·여행·사랑. 혈관의 아드레날린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세 가지 단어다. 이 단어를 듣고도 무덤덤하다면 그는 이미 늙었다. 아무리 나이가 젊다고 해도 그렇다. 열정이 있는 사람을 분별하는 나만의 방법이 ...

, 조회 수 324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준비...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 31.5% "맞선 자리서 지나치게 인색한 남자" 남성 33.1% "주제파악 못하는 여자는 질색" 준비된 재혼만이 성공한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 4쌍 가운데 1쌍...

, 조회 수 702

'시니어 할인 혜택, 절약하기 연습

뷔폐 등에서 10% 할인 보통 55세만 되어도 수혜대상 있어 앱 등을 활용하면 정보 더 많아 버리기 쉬운 일상의 메일들을 곰곰히 보다보면 그냥 스쳐 지나가기엔 너무 아까운 혜택들이 많이 보인다. 베이비부머들이 급증하고 강력...

, 조회 수 835

갱년기 우울감 극복하려면…오늘 잘 한 일 적어보기

갱년기를 거치며 남녀 구분 없이 성 호르몬이 급감하다보면 이유 없이 우울해지거나 감정기복이 커진다. 또 수면의 질과 집중력도 떨어지면서 매사에 짜증이 늘기도 한다. 최근 AARP가 게재한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우울감...

, 조회 수 321

다큐 시선 - 퇴사하고 오겠습니다_#001

10명의 퇴직자가 자신의 퇴직 경험을 말합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이야기보따리에서 인터뷰한 퇴직자분들의 이야기를 모아 단편 다큐멘터리로 만들었습니다. 1차로 베이비부머 세대와의 만남을 통해 퇴직에 대한 감정과 ...

, 조회 수 355

부모님의 상속 -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한국의 상속

오늘은 한국의 부동산 상속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여러 구독자님들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40-50대 정도 되신분들은 이민 오신후, 한국의 부모님들이 노령에 따른 유산에 대한 상속을 받으시게 될 시기가 됩니다. ...

, 조회 수 418

미국생활 50대 이후 분들한테 꼭, 필요한 은퇴,소...

미국에서 사시면서, 50대중반 이후가 되시면, 각종 연금,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카드, 세금보고등 여러 관공서의 행정적인 처리와 내 개인정보 열람등이 필요하실 일이 많으시게 되죠. 연금을 얼마나 받을수 있을지? , 내 주...

, 조회 수 326

[중장년재취업가이드]2강_퇴직 후 스트레스 관리 ...

, 조회 수 366

[스팟] 일하면서 받는 미망인 연금 헤택…65세까지...

Q. 남편이 55세 때 직장을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그 이후 재혼하지 않았고요. 저는 현재 63세이며 직장을 통해 소득이 있습니다. 사회보장국 기준으로는 연 1만5000달러 이상을 벌 경우 미망인 연금이 줄어드...

, 조회 수 332

여길 계속 다니면 곧 죽겠구나 싶어 대기업 그만뒀...

<편집자 주> 작년 3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대기업에 입사한 김모씨는 입사 1년 만에 사직서를 냈다. 김씨의 부모님은 “그것도 못 참으면 무슨 일을 하겠느냐”며 화를 냈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

, 조회 수 528

“실패자·낙오자는 옛말, 요즘은 회사 그만두는 사...

유행처럼 번지며 퇴사자 수두룩 퇴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라져 “퇴사 후 내 삶을 찾게 됐다” 유튜브에 ‘퇴사’를 검색하면 ‘퇴사 후 6개월’, ‘퇴사 여행’, ‘퇴사 1분 전’ 등 퇴사 관련 영상 수천개가 뜬다. 영상 속에선 “시원...

Nugurado, 조회 수 340

퇴사 후 고통 안 겪으려면…” 프로 이직러의 따끔한...

퇴사 후 항상 장밋빛 인생이 펼쳐지진 않아 충분한 진로 탐색과 확신이 있을 때 결정해야 “자신의 적성 잘 따져보고 다양한 실행 경험해보는 게 필요” "처음엔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현실은 아니었어요. 중고신입이라는 ...

, 조회 수 1171

50플러스재단,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의 인생 재설계를 지원하는 50플러스캠퍼스의 2018년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50플러스캠퍼스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만 50세~64세대를 대상으로 상담, 교육, 일자...

, 조회 수 438

"회사도 인생도, 마지막을 결정하는 건 꿈의 ...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을 "똥더미를 치우는 일 같다"고 표현한다. 일은 산더미고, 매일매일 새로운 문제가 터진다. 그런 것들을 처리하다 보면 ‘왜 창업했는지’ 같은 큰 그림과 방향성은 잊히게 마련이다. 그런 사소한 일상 속에...

, 조회 수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