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 다섯 가지 손질환
5828e385177e49b4b0de4d5cd268ee90.jpg



집안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50대 중년 여성들의 경우 다양한 손 질환들이 발생한다. 특히 전문가들은 손에서 나타나는 질환 증상들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 질환이 더 악화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면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방아쇠 수지'…손가락에서 '딸깍' 소리? 

방아쇠수지는 중년 여성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손 질환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17년 방아쇠 수지 진단을 받은 환자는 20만5980명으로, 이 중 5만9725명이 5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방아쇠 수지는 손가락의 힘줄을 싸고 있는 활차라는 막이 두꺼워져 생기는 질환이다. 손가락을 굽혔다 폈다 할 때 손가락에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무언가 걸리는 느낌이 있다. 또 아침에 심하고 시간이 지나면 점차 호전된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이재훈 교수는 '휴식, 부목 고정, 소염제 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를 하기도 한다'며 '증상이 발생한 지 얼마 되지 않으면 주사 치료로 재발 없이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사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재훈 교수는 '치료가 늦어지면 힘줄 주위의 염증이 진행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더라도 증상의 호전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어 호전되지 않으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손목터널증후군'…찌릿찌릿 손이 저리다 

잠을 자다 손이 저려 잠을 깨거나, 손목을 구부린 상태로 약 30초 있을 때 저린 증상이 더 심해지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새끼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에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전체 환자 18만920명 중 50대 여성은 약 5만7928명으로 32%에 달했다. 증상이 있는 경우엔 손을 사용하는 시간과 강도를 줄이고 되도록 손을 덜 쓰도록 신경을 쓰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소염제, 부목 고정 등도 증상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이재훈 교수는 '손목터널 증후군은 스테로이드 주사로 증상의 많은 호전을 가져올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병을 키우지 않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만약, 주사치료로 호전이 없거나 재발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보통 입원하지 않고도 수술할 수 있으며, 수술 후 가벼운 일상생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시행한 경우 95% 정도의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엄지손가락 근육이 줄어들어 엄지손가락을 벌리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엄지손가락을 벌리지 못해 큰 물건을 잡을 수 없는 상황까지 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드꿰르뱅 병'…엄지 손가락 쪽 손목이 아파요 

드꿰르뱅 병은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때 손목에 통증이 있으면 의심할 수 있다. 드꿰르뱅 병은 손목관절을 지나는 힘줄과 힘줄을 싸는 막이 두꺼워져 발생하는 질병이다. 손목이 꺾이는 동작 등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사람은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표적으로 육아를 하는 여성이 아기를 안고 있는 동작이 있다. 실제로 어린아이를 안아서 키우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 '산모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체 환자 1만122명 중 50대 여성이 1576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발생 초기에는 소염제, 부목 고정, 주사 치료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런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엔 수술을 시행하여 힘줄을 싸고 있는 막을 잘라 주면 증상은 해결된다. 수술 시간은 약 10분으로 증상이 지속하는 경우 참지 말고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결절종'…손에 생기는 물주머니 

손에는 다양한 종양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중에서 가장 흔한 것이 결절종으로, 손에 생기는 종양의 50~70%를 차지한다. 지난 2017년 환자 수는 16만6105명으로 여성은 9만7898명이었다. 이 중 50대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손목관절 부위에 발생하는데, 손목관절의 손바닥 부위에도 생길 수 있으며 크기가 커졌다가 작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재훈 교수는 '결절종은 통증이 있거나 외형상 보기 흉할 경우 수술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그냥 두어도 관절을 망가트리는 등 다른 문제를 불러일으키지 않아 큰 지장이 없다면 놔두어도 상관은 없다'고 말했다. 

◇'퇴행성관절염'…손가락 관절이 아프다 

나이가 들면서 주로 발생하는 손의 퇴행성관절염은 손가락 관절에서 주로 발생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손가락 마디가 굵어지고 관절에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으며, 관절운동이 줄어들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손목터널 증후군과 동반될 수 있다. 손가락 끝 관절이 아프고 손이 저리다면 퇴행성 관절염과 손목 터널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손을 덜 쓰면 증상의 호전이 된다. 일을 많이 하면 증상이 더 심해짐으로 증상의 호전을 위해서는 활동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휴식과 따뜻한 찜질, 약물 치료가 도움되며 관절염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손쓰는 일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좋아지지 않으면 관절유합술이란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 관절유합술은 관절을 굳히는 수술로 통증은 해결할 수 있지만, 관절이 움직여지지 않게 된다. 

우리나라 손 질환 환자의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으로 생각해 가벼운 통증을 참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재훈 교수는 '손질환은 질환의 특징적인 양상으로 쉽게 진단하고 조기에 치료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며 '조기에 발견시 치료가 쉽고 재발을 줄일 수 있어 손에 불편함이 느껴지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병을 키우지 않고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낮에 자주 졸리는 것, 치매와 관련 있나

낮에 자주 졸리는 것이 알츠하이머 치매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존스 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 정신건강학과의 애덤 스피라 교수 연구팀은 낮에 졸리는 일이 잦은 사람은 치매의 주범으로 알려진 뇌 ...

Nugurado, 조회 수 347

시니어에게 가장 치명적인 암, ‘폐암’

지난해 말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우리나라 국민의 2015년 암의 발생률과 생존율, 유병률에 관한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폐암으로 나타났다. 폐암과 위암, 대장암 순...

Nugurado, 조회 수 328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재생술이 주목받고 있어요...

퇴행성관절염은 50대가 되면서 서서히 생기는 병이다. 젊을 때는 무릎에 손상이 생겨도 회복이 빨리 되는데, 50대 이상이 되면 회복도 더디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O자형 다리는 퇴행성관절염에 잘 걸린다. 보통 ...

Nugurado, 조회 수 348

중년 여성 괴롭히는 대표적 손질환은?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 다섯 가지 손질환 집안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50대 중년 여성들의 경우 다양한 손 질환들이 발생한다. 특히 전문가들은 손에서 나타나는 질환 증상들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 질환이 더...

Nugurado, 조회 수 329

선선한 바람 부는 가을에 주의해야 할 질환

가을철 건강관리 방법 무엇? 폭염에 이어 가을장마로 불리던 폭우가 지나면서 아침과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다. 가을철은 아침,저녁과 한 낮 기온차로 일교차가 커지면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Nugurado, 조회 수 335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 가능하는 고지혈증

‘고지혈증’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할 수 있다 식생활 서구화로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중지질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볼 수 있다. '고지혈증(高指血症)'은 혈액 중에 기름성분인 지질이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은 혈액 ...

Nugurado, 조회 수 338

건조한 가을에 밀려오는 ‘가려움증’

건조한 가을철, ‘피부건강’에 신경쓰세요 계절마다 날씨와 환경이 변화하면 피부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계절마다 피부 보호를 위한 방법들에 차이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환절기는 계절의 변화에 적응...

Nugurado, 조회 수 330

가을에 ‘탈모’가 심해진다?

가을철 탈모 예방과 치료는 어떻게? ◇가을철 심해지는 탈모, 예방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 가을철에 탈모가 심해지는 이유는 여름 동안 강한 햇빛과 과다한 두피 분비물들에 의해 시달려온 모발이 시간이 흐르면서 다량으로 빠지...

Nugurado, 조회 수 325

마음의 병 ‘우울증’ 가을에 더 많이 발생?

우울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여성 우울증 환자가 남성의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우울증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68만1000명으로...

Nugurado, 조회 수 338

점심 식사 후 고개 숙이는 당신 ‘춘곤증’?

쏟아지는 졸음 봄철 ‘춘곤증’…규칙적인 생활습관·숙면에 신경 써야 쿠키뉴스 쌀쌀한 겨울이 가고 화사한 꽃과 푸르른 새싹이 돋아다는 봄철. 하지만 직장인들은 낮 시간만 되면 쏟아지는 졸음에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특히 점...

Nugurado, 조회 수 341

아토피 피부염, 간지러움 완화하는 방법은?

건조한 피부와 가려움증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염’ 쿠키뉴스 아토피 피부염은 건조한 피부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염증이 주로 영유아기에 시작돼 특징적인 병터의 분포와 양상을 보이는 만성재발성 습진 피부질환입니다. ...

Nugurado, 조회 수 373

성큼 다가온 봄 ‘어깨통증 주의보’

유난히 한파가 이어졌던 쌀쌀한 겨울이 지나고 3월도 중순을 넘어서면서 봄기운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내린 봄비로 다소 쌀쌀한 바람이 불기도 했습니다. 아직 추위가 가시지 않아 몸을 움츠리고 다니는 시민을 심...

Nugurado, 조회 수 375

‘잠’, 주말에 몰아서 자도 괜찮을까?

사람은 하루에 몇 시간을 자야 충분한 수면 상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개인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필요 수면시간은 낮에 졸리지 않는 상태로 활동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진 시간은 없다고 말합니다. 실제 사람에...

Nugurado, 조회 수 369

빅맥은 약과… 버리토 한개 2,730칼로리

비만의 온상, 체인 레스토랑 최악 메뉴들 찰리스‘하니-치폴레 와플스’ 소스 발라 먹으면 2,510 유명 프랜차이즈 레스토랑들이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해서 음식맛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고 칼로리 등을 공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

Nugurado, 조회 수 351

방사선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방사선치료 때문에 머리카락 빠지는 것 아니다” 항암제 치료가 탈모 유발… 방사선은 대개 통원 치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암 진단을 ‘사망 선고’라 여겼다. 암을 고치지 못할 병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의료 기술이 ...

Nugurado, 조회 수 367

가족 중에 난소암 있는 경우 반드시 검진 받아야

난소암의 증상과 치료 50~70대에서 주로 발병… 임신‧출산 경험 없으면 난소암 위험도 높아 초기 자각증상 없어 사망률 높아… 폐경 이후엔 난소 절제도 고려 난소암은 여성암 중에서 사망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가족 중에 난소...

Nugurado, 조회 수 364

아침식사 때 ‘우유 1잔’ 이 혈당 억제

종일 포만감에도 도움 아침 식사 때 우유 1잔이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하루 내내 포만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겔프대학 인간건강기능식품 연구실의 더글러스 고프 식품과학 교수 연구팀...

Nugurado, 조회 수 464

어르신 아프면, 전담 의료진 24시간 출동

고령자 의료천국 일본 가시와市, 독거노인 등 4600가구 1대1 연결 일본 도쿄에서 북쪽으로 자동차로 한 시간 정도 걸리는 가시와시(柏市). 인구의 40%가 65세 이상인 이곳에는 고령자용 아파트나 노인 집단 거주 시설인 노인 홈...

Nugurado, 조회 수 398

양파즙 효능 알아보고 제대로 고르자!

아마 매일 먹는 음식들에 양파를 빼놓을 수 없을 거예요. 평소에도 많이 섭취하고 있는 식품 중 하나입니다. 요즘 티비 건강프로그램을 통해 양파의 뛰어난 효능들이 밝혀지면서 양파즙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양파...

Nugurado, 조회 수 408

당뇨병, 혈당·당지수만큼 중요하게 챙겨야 할 ‘이...

당뇨병 환자는 당지수(GI)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상식이다. 인터넷에는 어떤 음식이 당지수가 높고, 어떤 음식이 낮은지에 대한 정보가 넘쳐난다. 그러나 당지수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당부하지수...

Nugurado, 조회 수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