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451
쏟아지는 졸음 봄철 ‘춘곤증’…규칙적인 생활습관·숙면에 신경 써야

쿠키뉴스 쌀쌀한 겨울이 가고 화사한 꽃과 푸르른 새싹이 돋아다는 봄철. 하지만 직장인들은 낮 시간만 되면 쏟아지는 졸음에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특히 점식을 먹고 난 오후 업무시간만 되면 피곤이 몰려오면서 꾸벅꾸벅 졸게됩니다. 퇴근 후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충분히 잠을 자는데도 낮 시간만 되면 졸음이 쏟아지고 식욕까지 떨어지는데요 흔히 봄철 피로증후군으로 부리는 '춘곤증' 때문입니다.
춘곤증은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변하면서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 시기에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려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계절이 바뀌면서 이에 따른 생체리듬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한 일조량이 늘고 기온이 오르면서 겨울에 적응했던 피부와 근육이 따뜻한 기온에 적응합니다. 이와 함게 수면과 일상생활 패턴이 변화되고 생체 리듬에도 영향을 줘 춘곤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춘곤증의 대표적인 증상에 대해 고려대 안산병원 호흡기내과 신철 교수는 '피로, 졸음, 식욕부진, 소화불량, 현기증' 등을 꼽았습니다.
신 교수는 '겨우내 운동량이 부족한 컨디션에서 피로, 과로 등이 겹칠 때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신체리듬이 회복되는 데 에너지를 쏟게 돼 신체 적응능력이 떨어져서 악화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춘곤증은 일시적으로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지만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피로 증후군 등 다른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신 교수는 '간염, 결핵, 당뇨 등 다른 질병의 초기증상과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도 더러 있으며, 소화기관은 피로와 스트레스에 민감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춘곤증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겨울 동안 규칙적인 운동, 영양섭취, 균형 잡힌 생활습관으로 체력을 보충해 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음주, 흡연, 카페인 음료 섭취를 자제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스트레스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만약 밤에 잠을 설치거나 코골이가 심한 경우 낮에 졸림이 쉽게 올 수 있어 토막잠을 자는 것도 좋습니다. 춘곤증을 이기기 위해서는 강도 높은 운동보다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맨손체조, 가벼운 산책도 도움이 됩니다.
신철 교수는 '춘곤증은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증세가 심해지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춘곤증은 신체가 봄을 받아들이기 위한 신호와 같아 증상이 나타날 경우 무리하지 말고 틈틈이 휴식을 취해 몸이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게 좋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