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람은 하루에 몇 시간을 자야 충분한 수면 상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개인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필요 수면시간은 낮에 졸리지 않는 상태로 활동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진 시간은 없다고 말합니다. 실제 사람에게 필요한 수면시간은 개인마다 다르고 나이에 따라서 변합니다. 

d088a89934444412a9ce46602b25bea6.jpg



하루에 4시간만 자면 건강에 문제가 없다? 
건강한 삶 유지를 위한 필수요건 중 하나가 잠이죠. 일반적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은 밤에 잠을 잘 때 성장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에 잠이 더 필요하다고 합니다. 
강동경희대병원 신영과 신원철 교수는 '건강한 성인의 필요 수면시간은 평균 7-8시간 정도이며, 어린이와 청소년은 9~10시간 정도다. 그러나 개인차가 있어 일부는 적은 약의 수면으로도 문제가 없는 사람이 있고, 반대로 남들보다 수면시간이 길어야 하는 사람도 있다'고 설명합니다. 
실제 전체 인구의 약 1~2%에서는 하루 4시간 이내로 자도 낮에 피곤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숏 슬리퍼(short sleeper)이고, 전체 인구의 약 1~2%에서는 하루 10시간 이상 잠을 자야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 롱 슬리퍼(long sleeper)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평균 7~8시간 정도 잠을 자야 한다고 합니다. 

◇잠잘 시간 없이 바쁜 현대인, 주말에 몰아서 자는 것도 괜찮다? 

그러나 최근 현대인들은 수면부족을 호소하고 수면장애로 괴로워합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불면증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54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2년에 비해 34%나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국민이 수면장애를 질병으로 생각하지 못하기도 하죠. 따라서 전문가들은 수면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신원철 교수는 '평소 부족한 잠은 채워져야 하는 게 맞다. 필요 수면시간이 부족하게 되면 모자란 수면이 점점 쌓이게 된다. 이러한 부족한 수면의 양인 '수면빛(sleep dept)'은 점점 쌓이면서 정신기능과 심혈관계를 비롯한 신체기능의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지적합니다. 
수면은 배고픔이나 식욕과 같은 본능의 일종으로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배고픔은 식사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듯이, 수면부족은 필요한 만큼의 수면시간이 채워져야 해결됩니다. 
하지만 과식이나 폭식, 불규칙한 식습관이 위장장애나 소화장애, 비만 등을 유발하듯이, 불규칙한 수면습관이나 몰아서 자는 것은 수면주기의 이상, 불면증, 주간졸음증, 만성피로증후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밤에 충분한 수면이 어렵다면, 낮잠을 이용해라? 

일부 고등학교의 경우 20~30분의 낮잠을 활용해 성적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또한 고속도로 등 장거리 운전 시 피곤하고 졸릴 때 짧은 시간의 수면으로 피로회복과 집중력이 좋아지는 것을 누구나 경험하기도 하죠. 
이에 대해 신원철 교수는 '적당한 낮잠은 피로회복이나 집중력, 창의력, 판단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20분 이내의 짧은 낮잠은 야간수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피로와 신경의 흥분상태를 막아주고 생체리듬을 정상화시키는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낮잠은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수면부족을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부족한 수면은 충분한 수면으로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죠. 
특히 과도한 낮잠은 당일 야간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거나 잠들기 어렵게 하고, 수면 일주기를 변경시켜 잠자는 시간이나 깨는 시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주말에 늦잠을 자거나, 낮잠을 몰아서 자는 등 충분히 수면을 취했는데도 불구하고 월요일에 몸이 피곤하고, 집중이 안 되는 월요병이 한 예라고 합니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 수면과 상관없다? 

생체리듬에 맞춰 잠들면 뇌의 송과체에서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지속적으로 분비돼 숙면하게 되고, 깨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LED 디스플레이어에는 380~500nm의 파장인 청색광(블루라이트)이 많이 방출되는데, 이 청색광을 쏘이면 멜라토닌 생성, 분비가 현저히 감소되어 깊은 잠에 들기 어려워 수면에 방해될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 청색광 차단필름이나 스마트폰 야간모드 설정을 통해 청색광을 줄이려 하고 있으나, 이런 방법으로는 청생광 방출을 완전히 막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잠자리에 든 후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잠자는 동안 인체는 낮에 소모한 에너지를 보충하고, 평형상태가 깨진 신체조직과 뇌의 균형을 다시 찾도록 해줍니다. 잠자는 동안 긴장됐던 근육은 이완되고, 심장이나 위장 등 내부 장기들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죠. 

신원철 교수는 '잠은 신체뿐 아니라 마음도 휴식할 수 있게 한다. 고통스럽고 혼란스러운 기억은 잠시 중단되거나 꿈을 통해 발산하기도 한다. 잠은 신체기능의 회복과 면역력 증강 등 항상성 유지를 위한 우리 몸의 방어기전이며,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신 교수는 '본인에게 필요한 수면시간을 파악해 잠이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한 양의 숙면을 취하는 것이 자신의 건강을 지키고 나아가 타인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지름길'이라며 '간혹 바쁜 학생이나 직장인이 부족한 시간 때문에 수면시간을 줄이는 경우가 있는 데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낮에 자주 졸리는 것, 치매와 관련 있나

낮에 자주 졸리는 것이 알츠하이머 치매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존스 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 정신건강학과의 애덤 스피라 교수 연구팀은 낮에 졸리는 일이 잦은 사람은 치매의 주범으로 알려진 뇌 ...

Nugurado, 조회 수 347

시니어에게 가장 치명적인 암, ‘폐암’

지난해 말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우리나라 국민의 2015년 암의 발생률과 생존율, 유병률에 관한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폐암으로 나타났다. 폐암과 위암, 대장암 순...

Nugurado, 조회 수 328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재생술이 주목받고 있어요...

퇴행성관절염은 50대가 되면서 서서히 생기는 병이다. 젊을 때는 무릎에 손상이 생겨도 회복이 빨리 되는데, 50대 이상이 되면 회복도 더디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O자형 다리는 퇴행성관절염에 잘 걸린다. 보통 ...

Nugurado, 조회 수 348

중년 여성 괴롭히는 대표적 손질환은?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 다섯 가지 손질환 집안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50대 중년 여성들의 경우 다양한 손 질환들이 발생한다. 특히 전문가들은 손에서 나타나는 질환 증상들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 질환이 더...

Nugurado, 조회 수 329

선선한 바람 부는 가을에 주의해야 할 질환

가을철 건강관리 방법 무엇? 폭염에 이어 가을장마로 불리던 폭우가 지나면서 아침과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다. 가을철은 아침,저녁과 한 낮 기온차로 일교차가 커지면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Nugurado, 조회 수 335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 가능하는 고지혈증

‘고지혈증’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할 수 있다 식생활 서구화로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중지질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볼 수 있다. '고지혈증(高指血症)'은 혈액 중에 기름성분인 지질이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은 혈액 ...

Nugurado, 조회 수 338

건조한 가을에 밀려오는 ‘가려움증’

건조한 가을철, ‘피부건강’에 신경쓰세요 계절마다 날씨와 환경이 변화하면 피부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계절마다 피부 보호를 위한 방법들에 차이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환절기는 계절의 변화에 적응...

Nugurado, 조회 수 330

가을에 ‘탈모’가 심해진다?

가을철 탈모 예방과 치료는 어떻게? ◇가을철 심해지는 탈모, 예방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 가을철에 탈모가 심해지는 이유는 여름 동안 강한 햇빛과 과다한 두피 분비물들에 의해 시달려온 모발이 시간이 흐르면서 다량으로 빠지...

Nugurado, 조회 수 325

마음의 병 ‘우울증’ 가을에 더 많이 발생?

우울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여성 우울증 환자가 남성의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우울증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68만1000명으로...

Nugurado, 조회 수 338

점심 식사 후 고개 숙이는 당신 ‘춘곤증’?

쏟아지는 졸음 봄철 ‘춘곤증’…규칙적인 생활습관·숙면에 신경 써야 쿠키뉴스 쌀쌀한 겨울이 가고 화사한 꽃과 푸르른 새싹이 돋아다는 봄철. 하지만 직장인들은 낮 시간만 되면 쏟아지는 졸음에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특히 점...

Nugurado, 조회 수 341

아토피 피부염, 간지러움 완화하는 방법은?

건조한 피부와 가려움증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염’ 쿠키뉴스 아토피 피부염은 건조한 피부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염증이 주로 영유아기에 시작돼 특징적인 병터의 분포와 양상을 보이는 만성재발성 습진 피부질환입니다. ...

Nugurado, 조회 수 373

성큼 다가온 봄 ‘어깨통증 주의보’

유난히 한파가 이어졌던 쌀쌀한 겨울이 지나고 3월도 중순을 넘어서면서 봄기운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내린 봄비로 다소 쌀쌀한 바람이 불기도 했습니다. 아직 추위가 가시지 않아 몸을 움츠리고 다니는 시민을 심...

Nugurado, 조회 수 375

‘잠’, 주말에 몰아서 자도 괜찮을까?

사람은 하루에 몇 시간을 자야 충분한 수면 상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개인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필요 수면시간은 낮에 졸리지 않는 상태로 활동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진 시간은 없다고 말합니다. 실제 사람에...

Nugurado, 조회 수 369

빅맥은 약과… 버리토 한개 2,730칼로리

비만의 온상, 체인 레스토랑 최악 메뉴들 찰리스‘하니-치폴레 와플스’ 소스 발라 먹으면 2,510 유명 프랜차이즈 레스토랑들이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해서 음식맛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고 칼로리 등을 공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

Nugurado, 조회 수 351

방사선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방사선치료 때문에 머리카락 빠지는 것 아니다” 항암제 치료가 탈모 유발… 방사선은 대개 통원 치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암 진단을 ‘사망 선고’라 여겼다. 암을 고치지 못할 병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의료 기술이 ...

Nugurado, 조회 수 367

가족 중에 난소암 있는 경우 반드시 검진 받아야

난소암의 증상과 치료 50~70대에서 주로 발병… 임신‧출산 경험 없으면 난소암 위험도 높아 초기 자각증상 없어 사망률 높아… 폐경 이후엔 난소 절제도 고려 난소암은 여성암 중에서 사망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가족 중에 난소...

Nugurado, 조회 수 364

아침식사 때 ‘우유 1잔’ 이 혈당 억제

종일 포만감에도 도움 아침 식사 때 우유 1잔이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하루 내내 포만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겔프대학 인간건강기능식품 연구실의 더글러스 고프 식품과학 교수 연구팀...

Nugurado, 조회 수 464

어르신 아프면, 전담 의료진 24시간 출동

고령자 의료천국 일본 가시와市, 독거노인 등 4600가구 1대1 연결 일본 도쿄에서 북쪽으로 자동차로 한 시간 정도 걸리는 가시와시(柏市). 인구의 40%가 65세 이상인 이곳에는 고령자용 아파트나 노인 집단 거주 시설인 노인 홈...

Nugurado, 조회 수 398

양파즙 효능 알아보고 제대로 고르자!

아마 매일 먹는 음식들에 양파를 빼놓을 수 없을 거예요. 평소에도 많이 섭취하고 있는 식품 중 하나입니다. 요즘 티비 건강프로그램을 통해 양파의 뛰어난 효능들이 밝혀지면서 양파즙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양파...

Nugurado, 조회 수 408

당뇨병, 혈당·당지수만큼 중요하게 챙겨야 할 ‘이...

당뇨병 환자는 당지수(GI)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상식이다. 인터넷에는 어떤 음식이 당지수가 높고, 어떤 음식이 낮은지에 대한 정보가 넘쳐난다. 그러나 당지수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당부하지수...

Nugurado, 조회 수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