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을 "똥더미를 치우는 일 같다"고 표현한다. 일은 산더미고, 매일매일 새로운 문제가 터진다. 그런 것들을 처리하다 보면 ‘왜 창업했는지’ 같은 큰 그림과 방향성은 잊히게 마련이다. 그런 사소한 일상 속에서 교훈을 얻고, 계속해서 방향을 바꾸며 앞으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창업은 인생과 닮았다. 창업도, 인생도 한두 번 실패했다고 해서 포기할 수 없다는 점도 비슷하다. 

창업이 인생과 비슷하다면, 인생에 대한 조언도 어쩌면 창업 코치가 잘해줄 수 있지 않을까. 국내 대표 VC(벤처캐피털리스트) 김한준 알토스벤처스 대표가 (왜 일하는가)라는 다소 엉뚱해보이는 제목의 컨퍼런스에 선다. 일의 의미를 찾는 직장인들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꿈의 정의를 들려주기 위해서다. 지식 콘텐츠 플랫폼 폴인(fol:in)이 준비한 9월의 스튜디오다. 

김한준 대표는 '유니콘 감별사'로 불린다. 배틀그라운드로 전 세계 게이머를 사로잡은 블루홀, e커머스 업계 신흥 강자 쿠팡, 푸드 테크 선두 기업이 된 배달의 민족까지, 그가 투자한 회사들이 4~5년 사이 ‘유니콘 스타트업’이 됐다. 송금 서비스에서 종합 금융 서비스로 도약 중인 토스, 원룸에서 아파트로 사업을 확장 중인 직방, 글로벌 서비스로 떠오른 아자르 등 ‘넥스트 유니콘’으로 불리며 떠오르고 있는 스타트업에도 투자했다. 

그는 스타트업 창업가들에게 늘 같은 주문을 한다. 

"더, 더, 더!"


그의 메신저 프로필 상태 메시지와 페이스북에서 늘 볼 수 있는 문구다. 

창업가들은 꿈을 가진 사람들이에요.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창업한 거죠. 그런데 그 꿈이 그 회사와 서비스의 마지막을 결정하는 것 같아요. 더 큰 꿈을 가지고, 그걸 향해 나아가라는 게 제 주문이에요. 그리고 이건 저에 대한 주문이기도 하죠.

그에게 꿈과 일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528e8550-0d4f-4bdb-bb1d-ad385eaaa5f2.jpg



관련 기사 : 폴인 9월 컨퍼런스 ‘왜 일하는가’ 열려

김한준 알토스벤처스 대표의 모습. 사진 김한준

Q : 대표님은 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일을 하시는 건가요?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부동산이나 주식같이 다른 데 투자를 할 수도 있을 텐데요.
A : 많은 사람이 학벌·외모·가정환경 같은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삶을 제한해버려요. 그런데 스타트업계는 그렇지 않은 사람이 많습니다. 이 바닥에선 누구나 스펙을 다 떼고 온전히 자신의 능력으로 세상에 없던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그걸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고, 투자자의 자본을 얻죠. 그런 사람이 많아지면 사회 전체가 역동적이고 건강해지는 거잖아요.


Q : 미디어가 성공한 창업가를 주로 다루다 보니 창업이 화려해 보이는 것 같아요. 하지만 실제 창업가들의 일상은 아주 작고 의미 없는 ‘삽질’로 채워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창업에 뛰어드는 걸까요?
A : ‘이 문제만큼은 해결해보겠다’라거나 ‘이 서비스를 통해 변화를 만들어내고 싶다’는 식의 꿈이 있어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과정에 엄청난 성취감과 만족감이 있고요. 바로 그 성취감·만족감 때문에 연쇄 창업가가 되는 사람도 많아요.


Q : 그리고 그런 창업가를 지지하고 돕는 과정에서 대표님도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시는 거겠죠?
A : “그게 제가 다른 투자가 아닌 스타트업 투자에 투신한 이유겠죠.”

김한준 대표의 이력은 여느 창업가 못지않게 화려하다. 초등학교 때 가족과 함께 이민을 간 그는 미국의 육군사관학교인 웨스트포인트에 입학해 군인으로 일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군 엘리트를 키우는 사관학교 출신은 큰 이변이 없는 한 안정적으로 살 수 있다. 하지만 김 대표는 그 길을 마다하고 전역해 스탠퍼드 MBA를 거쳐 1996년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VC) 알토스벤처스를 창업했다. 

김한준 대표의 웨스트포인트 재학 시절 사진. 뒷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김 대표다. 사진 김한준



Q : 이력 중 웨스트포인트 진학이 눈에 띕니다. 왜 군인이 되셨나요?
A : 제 부모님의 시계는 이민 간 1976년에 멈췄어요. 보수주의자셨죠. 반면 저는 미국의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문화에 충격을 받았어요. 무슨 의견에 대해서도 반대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자유가 놀라웠습니다. 민주주의는 지킬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그 가치를 지키는 군인이 되고 싶었어요.

4446b9a7-2d27-45f9-ad02-2d6801e25582.jpg


Q : 그런데 왜 전역하신 건가요?
A : 위계가 강하고 엄격한 군 조직문화가 잘 맞진 않았어요. 졸업 후 4년쯤 됐을 때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는데, 그게 결정적이었어요. 공산주의가 없어졌으니 더는 군에 남을 이유가 없었어요.


Q : 전역 후 MBA에 진학한 것도 이유가 있을 것 같아요.
A : 왜 공산주의와 그에 기반을 둔 경제 체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민주주의와 거기에 기초한 경제 체제(자본주의)는 살아남았을까 오래 고민했어요. 공산주의는 성선설 위에 있다면, 자본주의는 인간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고 가정하고 욕망을 최대한 보장하되 최소한의 수준으로 규제하자고 생각하는 것 같았죠. 저 역시 그게 맞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비즈니스 영역에서 일하고 싶었어요.


Q :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 중 스타트업 투자라는 곳에 뿌리내린 건 왜인가요?
A : 미 동부의 대학들이 금융 산업과 가깝고 보수적이라면, 서부 특히 스탠퍼드대는 정보기술(IT) 산업과 창업계에 가깝고 진취적이에요.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고요. 제가 VC가 된 건 그런 학풍의 영향일 거예요. 교수님 소개로 벤처 투자에 관심이 많은 기업인을 만난 게 구체적인 계기가 됐어요. 그 덕에 뜻이 맞는 친구들과 알토스벤처스를 창업했어요.

김한준 대표는 성공한 창업가를 비교적 초기부터 가까이에서 보아왔다. 그런 그가 꼽은 ‘안 가본 길을 가는 사람’ 그리고 그 중 성공한 이들의 특징은 뭘까. 

창업가마다 도드라지는 특징이 있어요. 어떤 창업가는 몰입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어떤 창업가는 실행력이 압도적이고요. 그런데도 모든 창업가를 관통하는 특징이 있는데, 제 생각엔 경험을 통해 끊임없이 배워나간다는 것 같아요.

김한준 대표가 투자한 창업가 중엔 앞선 사업을 실패한 이들이 적지 않다. 김 대표가 “실패했다는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 거기서 배운 게 있다면, 그리하여 성장했다면 그는 더 좋은 창업가”라고 말하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김 대표가 연사로 나서는 이번 컨퍼런스는 오는 20일 오후 7시 서울 성수동 카페 월 닷 서울(구 레필로소피)에서 열린다. 티켓은 폴인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다. 

50대 중반되며, 알게되는 5가지

미국 삶속에 모습 이모저모 꼭 알고 살아야 할 정보

, 조회 수 421

구인광고....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

채용정보 지역 : Los Angeles/CA 직종 : 서비스 근무형태 : Full/Part Time 경력 : 무관 연봉/급여 : 협의 Senior Receptionist for Front Desk (Part / Full time) – Aroma Spa & Sports, Koreatown in Los Angeles...

, 조회 수 710

한만희_웃음강사로 자리잡기까지 했던 '노가다' 생...

왜 웃음강사가 되려고 했을까? 망신을 딛고 웃음치료 강사로 자리잡기까지 생계를 위해 했던 '노가다' 생활 힘들지만 나름 퇴직 후 중년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조회 수 376

쓰죽회란?

“쓰죽회”라는 모임이 있다. 가진 것 다 쓰고 죽자는 취지로 모인 사람들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가진 돈을 다 쓰지 못하고 죽는다. 일본의 어느 회사 이야기다. 은퇴자들 중 퇴직할 때는 평균자산이 25만 불이었다....

, 조회 수 379

은퇴 후, 느긋한 삶을 동경하지만 실천을 못하는 ...

“요즘 밭일로 바쁘실 때죠?” 지난봄 도서관의 한국 역사 강의실에서 70대 어르신과 눈이 마주친 김에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그맘때쯤이었나, 큰 비닐봉지에 한가득 상추를 건네주셨던 기억이 새로워서였다. 그때는...

, 조회 수 354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1. 인생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생은 좋습니다. 2. 의심이 들 때는 그저 약간만 앞으로 전진하십시오. 3. 인생은 매우 짧습니다. 즐기십시오. 4. 당신이 아플 때 당...

, 조회 수 359

가슴 속에 쓰지 않은 이야기 ...

꿈·여행·사랑. 혈관의 아드레날린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세 가지 단어다. 이 단어를 듣고도 무덤덤하다면 그는 이미 늙었다. 아무리 나이가 젊다고 해도 그렇다. 열정이 있는 사람을 분별하는 나만의 방법이 ...

, 조회 수 324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준비...

'재혼 희망' 이혼녀가 가장 질색하는 남자는 31.5% "맞선 자리서 지나치게 인색한 남자" 남성 33.1% "주제파악 못하는 여자는 질색" 준비된 재혼만이 성공한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 4쌍 가운데 1쌍...

, 조회 수 702

'시니어 할인 혜택, 절약하기 연습

뷔폐 등에서 10% 할인 보통 55세만 되어도 수혜대상 있어 앱 등을 활용하면 정보 더 많아 버리기 쉬운 일상의 메일들을 곰곰히 보다보면 그냥 스쳐 지나가기엔 너무 아까운 혜택들이 많이 보인다. 베이비부머들이 급증하고 강력...

, 조회 수 835

갱년기 우울감 극복하려면…오늘 잘 한 일 적어보기

갱년기를 거치며 남녀 구분 없이 성 호르몬이 급감하다보면 이유 없이 우울해지거나 감정기복이 커진다. 또 수면의 질과 집중력도 떨어지면서 매사에 짜증이 늘기도 한다. 최근 AARP가 게재한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우울감...

, 조회 수 321

다큐 시선 - 퇴사하고 오겠습니다_#001

10명의 퇴직자가 자신의 퇴직 경험을 말합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이야기보따리에서 인터뷰한 퇴직자분들의 이야기를 모아 단편 다큐멘터리로 만들었습니다. 1차로 베이비부머 세대와의 만남을 통해 퇴직에 대한 감정과 ...

, 조회 수 355

부모님의 상속 -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한국의 상속

오늘은 한국의 부동산 상속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여러 구독자님들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40-50대 정도 되신분들은 이민 오신후, 한국의 부모님들이 노령에 따른 유산에 대한 상속을 받으시게 될 시기가 됩니다. ...

, 조회 수 418

미국생활 50대 이후 분들한테 꼭, 필요한 은퇴,소...

미국에서 사시면서, 50대중반 이후가 되시면, 각종 연금,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카드, 세금보고등 여러 관공서의 행정적인 처리와 내 개인정보 열람등이 필요하실 일이 많으시게 되죠. 연금을 얼마나 받을수 있을지? , 내 주...

, 조회 수 326

[중장년재취업가이드]2강_퇴직 후 스트레스 관리 ...

, 조회 수 366

[스팟] 일하면서 받는 미망인 연금 헤택…65세까지...

Q. 남편이 55세 때 직장을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그 이후 재혼하지 않았고요. 저는 현재 63세이며 직장을 통해 소득이 있습니다. 사회보장국 기준으로는 연 1만5000달러 이상을 벌 경우 미망인 연금이 줄어드...

, 조회 수 332

여길 계속 다니면 곧 죽겠구나 싶어 대기업 그만뒀...

<편집자 주> 작년 3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대기업에 입사한 김모씨는 입사 1년 만에 사직서를 냈다. 김씨의 부모님은 “그것도 못 참으면 무슨 일을 하겠느냐”며 화를 냈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

, 조회 수 528

“실패자·낙오자는 옛말, 요즘은 회사 그만두는 사...

유행처럼 번지며 퇴사자 수두룩 퇴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라져 “퇴사 후 내 삶을 찾게 됐다” 유튜브에 ‘퇴사’를 검색하면 ‘퇴사 후 6개월’, ‘퇴사 여행’, ‘퇴사 1분 전’ 등 퇴사 관련 영상 수천개가 뜬다. 영상 속에선 “시원...

, 조회 수 340

퇴사 후 고통 안 겪으려면…” 프로 이직러의 따끔한...

퇴사 후 항상 장밋빛 인생이 펼쳐지진 않아 충분한 진로 탐색과 확신이 있을 때 결정해야 “자신의 적성 잘 따져보고 다양한 실행 경험해보는 게 필요” "처음엔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현실은 아니었어요. 중고신입이라는 ...

, 조회 수 1171

50플러스재단,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의 인생 재설계를 지원하는 50플러스캠퍼스의 2018년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50플러스캠퍼스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만 50세~64세대를 대상으로 상담, 교육, 일자...

, 조회 수 438

"회사도 인생도, 마지막을 결정하는 건 꿈의 ...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을 "똥더미를 치우는 일 같다"고 표현한다. 일은 산더미고, 매일매일 새로운 문제가 터진다. 그런 것들을 처리하다 보면 ‘왜 창업했는지’ 같은 큰 그림과 방향성은 잊히게 마련이다. 그런 사소한 일상 속에...

Nugurado, 조회 수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