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튜브 코드  
김준태의 후반전(13)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정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다. 정조의 역점사업인 수원화성을 설계하고 거중기를 제작했으며, 정조의 능행을 위해 주교(舟橋, 배를 엮어 만든 다리)를 가설하는 등 테크노크라트로서도 활약했다. 
  
그런데 막상 『정조실록』에서는 정약용을 찾아보기 힘들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가 소수파인 남인(南人)인 데다가 서학(西學, 천주교) 교도로 몰렸기 때문이다. 실록을 편찬한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지워버린 것이다. 
  
성균관 유생 때 정조의 질문에 막힘없이 답변  

2018010601000270900010441.jpg

정약용

  
정약용이 처음 정조의 주목을 받은 것은 1785년(정조 9년), 그가 성균관 유생이었을 때다. 유교 경전에 관한 정조의 질문에 막힘없이 답변을 올려 극찬을 받았다. 이후 정약용은 조정에 출사해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했는데, 정조는 그를 동부승지, 좌부승지로 임명해 곁에 두었다. 
  
이 과정에서 정조의 관심은 ‘점점 더 성대해졌다’고 한다. “학문을 온축함이 참으로 넓고도 깊다”며 공개적으로 칭찬하는가 하면 야대(夜對, 밤에 열리는 경연)에 자주 불러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한다. 
  
하지만 임금의 사랑이 유독 한 사람에게 쏟아지다 보면 그 사람은 주위의 질시와 견제를 받게 된다. 더욱이 그 사람이 소수파에 속하고 정치적 힘도 약하다면, 사람들의 공격은 더욱 매서워진다. 정약용이 바로 그런 경우였다. 그는 갖은 공격과 모함을 받으며 시련을 겪어야 했다. 
  
이에 정조는 정약용의 능력을 공인받을 기회를 자주 마련했다. 누구도 반론을 제기하지 못할 정도로 자질을 과시하게 함으로써 그에게 충분한 자격이 있음을 보여주려 했다. 
  
또한 때로는 그의 품계를 강등해 지방관으로 내려보내기도 했다. 문책성 처벌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반대파의 예봉을 피하게 한 것이다. 수령으로서 치적을 쌓게 해 다시 한양으로 불러올 명분으로 삼으려는 목적도 있었다. 
  
그러나 정조의 희망과는 달리 정약용을 향한 공격은 멈추지 않았다. 결국 정약용은 관직을 버리고 낙향한다. 정조는 “그대를 중용하려고 하나 의논이 매우 분분하니 무슨 까닭인지 모르겠다. 서운하게 여기지 말라. 한두 해 늦더라도 손상될 것이 없다. 장차 부를 것이니 서운하게 여기지 말라”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그리고 1800년(정조 24년) 6월 28일, 정조는 다시 부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승하했다. 궁궐로 달려간 정약용은 창경궁 홍화문 앞에서 가슴을 치며 목 놓아 통곡하였다. 
  
정조의 죽음에 가슴 치며 목 놓아 통곡  

e17ffac6-f02a-4408-bd3c-18018cc87fe8.jpg

흠흠신서.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이렇게 정조라는 거대한 보호막이 사라지자 그에게는 곧 위기가 닥쳤다. 남인이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는 유언비어가 퍼졌고, 서학 관련자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 선풍이 불었다. 
  
그리하여 1801년 2월 8일, 그는 멘토인 이가환, 형제인 정약전과 정약종, 매부인 이승훈 등과 함께 체포된다. 그리고 장기현(長鬐縣, 포항)으로 유배됐다가 다시 강진현으로 이배 되었다. 기나긴 유배 생활의 시작이었다. 
  
그런데 상황이 이와 같으면 보통 사람은 낙담하고 절망에 빠진다. 회재불우(懷才不遇)의 심정을 토로하며 운명을 원망한다. 그렇게 사그라져간 사람이 역사에 한둘이 아니다. 하지만 정약용은 달랐다. 유배지에서 그는 집필에 매진했다. 
  
『다산문답』, 『아방강역고』, 『논어고금주』, 『맹자요의』, 『심경밀험』,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수백 권의 빛나는 저술이 이 시기에 완성된다. 비록 현실에 참여해 직접 세상을 바꿀 기회는 잃었지만, 책들을 통해 언젠가 그리고 누군가는 자신의 꿈을 이어 가주길 바랐다. 
  
무릇 운명은 내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것일지라도 어떻게 살아갈지는 내가 선택할 수 있다. 불우하고 힘든 환경을 주더라도 그것을 어떤 식으로 견뎌낼지는 내가 결정하는 것이다. 다산초당(茶山草堂)에 몸을 의탁한 정약용은 인생 후반에 닥친 불우함에 낙담하지 않고 치열하게 자신을 일궈갔다. 덕분에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큰 학자 ‘다산 정약용’으로 남은 것이다.  
  
김준태 동양 철학자·역사 칼럼니스트 [email protected]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35 가족간 불화로 노숙인 된 그가 대리운전 기사로 재기할 수 있었던 이유 [심층 인터뷰] 휴지필름 315
134 미국법정의 인간미 넘치고 명쾌한 판사님 브레드피트 315
133 [188회] 5.18 비밀요원, 39년만 최초증언!]_2 Nugurado 315
132 [이한상의 발굴 이야기] [47] 겉흙 아래 숨어 있던 '초대형 묘역' file Nugurado 314
131 도쿄올림픽, 일본이 "한국 때문에 미치겠다." 라고 말하는 이유 똘똘이 313
130 20년차 공무원 출신인 그는 왜 노숙인 되었을까? 휴지필름 313
129 엄마의 나라 2부 MBC 오늘저녁 해외 입양 알렉스조 313
128 [188회_5.18 비밀요원, 39년만 최초증언!]_1 Nugurado 313
127 돈없던 러시아가 후회하면서 한국에 내어준 최강전차 Nugurado 313
126 몽고는 왜 공주들을 고려로 시집 보냈나 Nugurado 313
125 정두언 비극적 선택 드러나는 진실 비밀 아닌 비밀들!(진성호의 직설) Nugurado 312
124 불법체류자 단속에 내가 대처할 중요한 행동요령 coffee 309
123 [국군의 날 특집 다큐] 부산, 1023일의 기억 Nugurado 309
122 일본과의 경제전쟁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브레드피트 308
121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이젠 큰일 날 소리 file Nugurado 308
120 오사마 빈라덴 그는 어떻게 잡힌 것일까? Prout17 307
119 [최재천의 책갈피] <중국의 꿈> 주석의 중국이 조급하다 file Nugurado 307
118 용산역 노숙인 텐트촌 아시나요? 그들이 이곳을 떠나지 않은 이유 [현장 르포] poklok 306
117 ‘聽(청)’과 ‘聞(문)’의 차이 file Nugurado 306
116 일 안해도 원래부터 잘살던 금수저 연예인들 빅토토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