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1,825
여성보다는 남성이, 특히 60대 이상이 포털 사이트의 뉴스에 댓글을 작성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여 107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포털 뉴스 서비스 및 댓글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간 댓글을 읽었다는 응답자는 70.1%, 실제로 댓글을 작성했다는 이는 21.1%였다. 또 포털 뉴스 댓글에 공감 혹은 비공감을 표시한 응답자는 30.9%였다.
구체적으로 실제로 댓글을 작성했다고 답한 이들은 60대 이상이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20대 응답자는 26.6%, 30대 26.8%, 40대 33.8%로 연령층에 따라 댓글 작성 비율이 높아지다가 50대 때 29.9%로 다소 낮아진 뒤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34%가 댓글을 작성했다고 답했다. 댓글을 읽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0대 이상이 58.8%로 나와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낮았다. 20대는 73%, 30대는 76.4%, 40대는 75.3%, 50대는 64%대로 집계됐다.
성별 차이로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댓글을 작성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남성은 36.4%가, 여성은 23.7%가 지난 일주일간 댓글을 작성했다고 답했다. 댓글을 읽은 경험에 있어서는 남성(70.3%)과 여성(70.2%)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댓글을 읽은 경험이 있는 이들은 상위 댓글을 집중적으로 읽었다. 상위 10개 정도까지 읽는다는 비율은 40.4%, 최상위 댓글 2~3개를 읽는다는 응답이 35.4%였다. 현재 네이버의 경우, 정치 뉴스의 댓글은 최신순 기준 정렬만, 그외 뉴스의 댓글은 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등으로 정렬해 볼 수 있다.
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측은 “포털 사이트 기사 댓글 중 상위로 노출되는 댓글의 영향력이 다른 댓글보다 강력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러한 영향력을 고려해 상위 노출 댓글 정책의 정교한 설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용자들은 댓글을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할까. 댓글을 이용하는 목적에 대해 응답자의 84%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해 이를 본다고 답했다. 단순히 재미가 있어서 본다는 응답자도 64%였다. 하지만 정작 댓글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적었다.
댓글이 다양한 의견보다는 비슷한 의견을 보여준다고 답한 비율은 54.2%였다. 또 일반 시민의 의견보다는 조작이 의심된다고 답한 비율은 55.7%, 전체 여론보다는 소수의견에 불과하다고 답한 이도 55.8%였다. 특히 유용한 정보가 별로 없다고 답한 이들이 65.2%로 나타났다. 조작된 댓글에 대해 포털 측의 책임이 있다고 답한 이도 전체 응답자 중 83.3%로 나왔다.
국내 디지털 뉴스는 대부분 포털을 통해 유통되는 구조다. 실제 대부분의 응답자는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접했다고 답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인터넷으로 뉴스나 시사 정보를 이용할 때 어느 사이트에 접속했는지 물음에 응답자 중 90.9%가 네이버(65.4%)와 다음(25.5%)을 이용했다고 답했다. 언론사 사이트는 2.4%에 불과했다.
최근 포털 뉴스 인링크 서비스의 폐해가 지적되면서, 포털 뉴스 클릭 시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는 ‘아웃링크’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함께, 포털이 검색 기능에 집중해 뉴스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포털 사이트에서 자체 뉴스 서비스를 중단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3.3%가 “언론사 사이트를 더 방문하겠다”가 답했다. 다음으로는 TV를 더 이용하겠다(31.8%), 소셜 미디어를 더 활용하겠다(11.9%), 뉴스 이용 자체를 줄이겠다(11.3%), 종이신문을 더 이용하겠다(6.0%), 잘 모르겠다(5.6%) 순이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측은 “포털 뉴스 자체 서비스 중단은 기존 언론의 이용을 더 늘려주는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라며 “포털에서 뉴스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곧장 뉴스 이용 자체가 줄어들지도 않을 것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