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튜브 코드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2) 

"누구나 한번은 겪게 되는 죽음. 죽어가는 사람의 소원은 무엇일까. 의외로 돈 많이 벌거나 높은 지위 오르거나 하는 세속적인 것이 아니다. 생을 살며 ‘조금만 더’ 하며 미뤘던 작은 것을 이루는 것이라고. 은퇴 후 인생 2막에서 여가, 봉사 등 의미 있는 삶을 산 사람이 죽음도 편하다고 한다. 노후준비엔 죽음에 대비하는 과정도 포함해야 하는 이유다. 은퇴전문가가 죽음에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는 방법과 알찬 은퇴 삶을 사는 노하우를 알려드린다. <편집자>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해 친구들과 얘기를 나누다가 죽음까지 화제가 이르렀다. 필연적으로 언젠가 죽을 텐데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가 문제였다. 한 친구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살아갈 수 있다면 차라리 폐를 끼치지 않고 안락사를 택하겠다고 한다. 대부분 그의 의견에 동의했다. 우리 친구들만 그런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이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아야 하는 점을 꼽았다. 또한 고통이 적고 투병 기간이 길지 않았으면 하며 마지막으로 가족과 함께 집에 있기를 희망했다.
 
 
최근 개봉한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코코'는 사후세계를 다뤄 아이보다 어른에게 더 큰 감동을 주었다. 40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가정 임종을 선호했다. 그 이유는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2017 Disney Pixar. All Rights Reserved.
최근 개봉한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코코'는 사후세계를 다뤄 아이보다 어른에게 더 큰 감동을 주었다. 40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가정 임종을 선호했다. 그 이유는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2017 Disney Pixar. All Rights Reserved.
 
어느 매체에서 40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생의 마지막 기간에 거주하고 싶은 장소가 어딘지를 조사한 적이 있다. 응답자의 46%가 자택이라고 답해 가정 임종을 가장 선호했다. 다음으로 요양시설이 37.6%이었고 병원은 10.8%로 얼마 되지 않았다. 자택을 선호한 가장 큰 이유는 가족이었다.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병원에 있으면 가족을 볼 기회가 줄어들고 특히 중환자실의 경우 하루에 한두 차례 밖에 면회가 되지 않는 상황을 피하고 싶은 것이다. 마음대로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점, 오래 살아서 집이 익숙한 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마지막 순간에 머물고 싶은 곳은 집  

459141f6-5c9f-4501-9883-f3f669ca73bc.jpg

1991년 부터 현재까지 병원에서 사망하는 경우는 증가하고 가정에서 사망하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다. [사진 freepik]

 
현실은 어떨까? 실제로는 병원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많다. 통계청과 국립암센터의 자료를 보면 1991년에는 가정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74.7%, 병원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15.3%였다. 2003년 가정에서 사망하는 비율이 42.7%, 병원에서 사망하는 비율이 45.0%로 역전되더니 20년이 지난 2011년에는 가정이 19.8%, 병원이 68.5%를 차지하며 병원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2016년엔 가정이 15.3%, 병원이 74.9%로 더 늘었다. 이제는 10명 중 7~8명이 병원에서 죽는다. 왜 집에서 죽기를 원하면서 병원에서 죽는 사람이 늘고 있을까?
 
서울의 한 대형병원 중환자실에서 간호사로 19년 동안 근무한 사람이 쓴 책이 있다. 그는 책에서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잃는 자존심과 품위, 그리고 생의 마지막 순간에 관해 이야기하며 자신은 중환자실에서 죽고 싶지 않다고 했다. 누군들 아무도 없는 새벽에 홀로 호스를 입에 물고 죽고 싶겠는가. 혼자 가야 하는 두려운 마음에 곁에 있는 가족의 손이라도 잡고 싶은데 중환자실에서는 그럴 수가 없다.
 
책에는 그가 짊어진 후회와 회한의 기록이 많다. 간호사가 엄마인 줄 알고 매달리는 뇌종양에 걸린 아이를 검사실로 보내기 전에 한 번 더 안아주었더라면, 아이들에게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는 숨이 가뿐 52살의 환자에게 급히 기도 삽관하기 전에 조금만 더 기다릴 수 있었더라면, 젊은 딸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아버지의 말대로 심폐소생술을 계속하는 대신 딸을 편안히 보내자고 설득할 수 있었더라면…. 그러나 절차에 따라야 하는 병원의 시스템 때문에 대부분 중환자실에서 죽어간 이들이 보낸 메시지는 가족에게 닿지 못한다.
 
일전에 모 대학 생명윤리연구소에서 주최한 무의미한 연명 치료에 관한 세미나에 다녀온 적이 있다. 세미나가 끝난 후 주제발표를 했던 의사에게 기도 삽관을 하면 환자의 상태가 어떻게 되냐고 물었다. 그는 밥을 먹다가 혹시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 적이 있냐고 내게 반문했다. 몹시 괴로웠다고 답하자 하물며 호스가 목에 들어가는데 환자가 얼마나 힘들겠냐는 얘기를 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기도 삽관을 한 환자의 괴로움을 덜어주기 위해 진정제를 투여한다고 하지만 사실은 진정을 시키는 것이 아니고 환자를 무력화시키는 것이라고 고백했다.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가 위급상태에 빠지면 대개의 경우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기도 삽관을 할 것인지 고민한다. 삽관을 해보았자 생명 연장에는 한계가 있고 환자의 고통만 가중한다는 것을 아는 의사는 삽관하기보다 자연사하는 쪽을 택하기도 한다. 반면 얼마간의 시간을 벌기 위해 삽관을 하는 의사도 있다. 기도 삽관에 대한 결정은 가족과 상의 후에 의료진이 하지만 일단 삽관을 하면 뺄 수가 없다. 자칫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고통은 오로지 환자의 몫이다.
 
1f962e5a-f755-4872-9923-91b8cd0eba4f.jpg

간호사 출신 질 패로우는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여 안락사 병원에서 주사요법을 받고 생을 마감했다

 
2015년 8월에 비교적 건강한 영국의 70대 할머니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여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주인공은 호스피스 간호사 출신인 질 패로우라는 75세의 할머니다. 영국에는 이 같은 죽음이 허락되지 않으므로 스위스로 건너가 바젤에 있는 안락사 병원에서 주사요법을 받고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왜 그녀는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것일까? 그녀는 죽기 전 언론을 통해 죽음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나는 이제 막 언덕 꼭대기에 올랐다. 앞으로 내려가기만 할 뿐 더는 좋아지지 않는다. 보행기로 앞길을 막는 늙은이가 되고 싶지 않다. 70살까지 난 매우 건강하다고 느꼈고, 원하는 어떤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여전히 바쁘고 쓸모가 있다고 느꼈다. 그러나 이제 모든 게 바뀌었다. 비록 지금 건강해도 내 삶이 다했고 죽을 준비가 돼 있다.”
 
그는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삶을 상상하는 것이 괴로웠을 것이다.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로 오랫동안 일했기 때문에 자신의 남은 삶이 어떠하리라는 것도 알았을 것이다. 스위스와 같은 안락사 제도를 채택한 나라가 과거에는 극소수뿐이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늘고 있다. 한국에서는 불법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비교적 평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을까?
 
 한국, 모르핀 사용량 세계 62위  
62e64210-06cb-4540-b8c8-517fa6320187.jpg


환자는 어디서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처럼 가정 호스피스 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 [사진 freepik]
 
우선 어디서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는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싶은데 가족의 편의에 따라 병원을 임종 장소로 택하는 경우가 많다.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가급적 피할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처럼 가정 호스피스 제도를 활성화해야겠다.  
 
둘째, 고통을 완화할 수 있어야 한다. 통증만 조절할 수 있어도 인간적인 죽음, 고통 없는 죽음이 가능하다. 세계보건기구(WHO) 2007년 자료에 따르면 한국 국민의 1인당 마약성 진통제 모르핀의 사용량은 1.2mg으로 세계 62위다. 1위 오스트리아는 153.4mg이다. 그 뒤를 이어 2위는 미국으로 76.7mg, 3위는 캐나다의 71.1mg이다. 한국은 터무니없이 적게 쓴다. 그만큼 암 환자들이 고통 속에 죽어간다는 의미다.
 
 
40f7dfd4-568c-4262-838e-f14dd9ee9d18.jpg

마약성 진통제의 일종인 메타돈. 통증 완화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은 중독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1인 사용량을 높여야 한다. [AP=연합뉴스]

 
왜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을까? 정보와 지식이 부족하고 중독에 빠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 때문이다. 그러나 환자가 중독에 빠지는 경우는 없다. 오로지 통증 완화를 위해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기만 해서는 결코 전형적인 중독자가 되지 않는다. 1980년 미국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이 문제와 관련해 명확한 자료를 제시했다. 서로 다른 기간에 마약성 진통제 치료를 받았던 통증 환자 1만1882명 중에서 단지 4명에게서만 중독 반응이 나타났는데 이는 치료를 받았던 전체 환자의 0.03%에 해당한다. 즉 임상에서 무시할 수 있는 수치였다.
 
셋째, 호스피스 완화의료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한국은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의료수가가 낮아 병원에서 호스피스 치료를 기피한다. 호스피스에 대한 수요는 늘고 있는데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호스피스 시설에 입원하기가 쉽지 않다. 호스피스 진료에 대한 의료수가를 현실화해 호스피스 병동을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
 
넷째,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 치료를 중단하고 자의적으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2월부터 연명 의료결정법이 시행돼 이것은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법이 너무 엄격해 병원에서 난색을 보인다. 선진국처럼 규칙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법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
 
 
2d9854cc-01c5-48c7-8d5b-b0725930c553.jpg

죽음은 꼭 부정적이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 생에서 맞게 되는 마지막 경험이자 가장 소중한 시간이다

 
죽음은 생에서 맞게 되는 마지막 경험이자 가장 소중한 시간이다. 종교가 있는 사람에게는 신에게 귀의하는 과정이며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도 자신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시간이다. 이런 엄숙한 시간에 환자의 가슴을 치는 심폐소생술 등으로 중요한 순간을 어지럽게 해서는 안 되겠다. 심폐소생술의 효과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임종을 앞둔 노인들에게는 그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죽음에 대한 인식도 바꿀 필요가 있다. 죽음이 우리가 생각하듯 꼭 부정적이며 나쁜 것은 아니다. 호스피스 계의 대모라 할 수 있는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박사는 번데기가 나비로 환생하듯이 죽음으로 우리의 생이 끝이 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세계로 여행을 시작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이러한 희망만 가질 수 있어도 좀 더 의연하게 죽음을 맞을 수 있다.
 
 
스티브 잡스 “죽음은 삶의 가장 위대한 발명”

영국의 주교 회의는 잘 죽는 기술(Art of Dying Well)을 홈페이지에 올려 생애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이들에게 종교적 위로를 주면서 또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내용은 중세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삶의 끝 문제를 생각하는 누구에게나 도움을 주려는 의도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우리도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금기시할 것이 아니라 식탁 위에서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죽음에 관해 침묵하는 문화를 해소하면 죽어가는 환자가 가지는 공포를 줄이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4412f6fe-53bb-4226-8d1c-fa8ea97d7fbe.jpg

스티브 잡스는 죽음이 삶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말했다. [사진 freepik]

 
몇 해 전 세상을 떠난 스티브 잡스는 죽음이 삶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했다. 만약 사람이 죽지 않는다면 얼마나 많은 문제가 발생하겠는가. 그동안 나를 위해 많은 생명이 죽어갔듯이 이제는 다른 생명을 위해 내가 죽는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렇게 은퇴를 준비하며 죽음을 성찰하다 보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깨닫게 된다.
 
백만기 아름다운인생학교 교장 [email protected]



엘에이 렌트카 / 얼바인 렌트카 / 풀르턴 렌트카 / 장단기 렌트카
무조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맞춰 드릴 수 있습니다. !!!!!!!!!
합리적 가격
편리하고 간편한 예약
국제면허증으로 렌트가 가능

전화번호: 213 663 6861
카카오톡 아이디: kkk1234509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55 아흔 넘어서도 사랑하고 싶다 file Nugurado 351
54 20년 풍찬노숙, 환갑넘어 군주된 진나라 문공 file Nugurado 477
53 '김 과장, 구두가 그게 뭔가?'라 말하진 않지만 file Nugurado 430
52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말 "할 만큼 했으니 갑니다" file Nugurado 453
51 90세에 문인의 삶 찾아 나선 할머니 의사 file Nugurado 361
» 밥 먹으면서 죽음 이야기 나눌 수 있어야 file Nugurado 485
49 바늘없는 낚시 드리운 강태공이 72세 낚은 건? file Nugurado 477
48 아내만 손해 보는 한국 맞벌이 부부?! [동치미 67회] 니이모를찾아서 306
47 서로 발라주기 기다리다 끝내 못 먹은 생선구이 file Nugurado 413
46 실패한 영웅 아기장수와 실패한 영웅 아기장수와 민중 구한 홍길동 file Nugurado 419
45 겨울 남자의 패션 완성은 머플러 file Nugurado 524
44 내가 좋은 건 상대도 좋아할 거란 생각은 착각 file Nugurado 418
43 [더,오래] 건강해지고 싶으면 소주잔으로 물 마시라 file Nugurado 443
42 슬플 땐 슬퍼하고 화나면 화 내라 file Nugurado 428
41 겨울 패션의 종결자 패딩의 모든 것 file Nugurado 339
40 말 잘못해도 옷 잘 입으면 나도 '매력남' file Nugurado 352
39 아내가 편해졌다고 느끼는 순간 '아뿔싸' file Nugurado 326
38 정장, 하루 입으면 이틀 휴식시간 주어야 file Nugurado 479
37 대화 부족한 부부, 연말에 커플룩 입기 어때요? file Nugurado 326
36 오래 산 부부일수록 표현 소홀한 이유 file Nugurado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