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튜브 코드  
김길태의 91세 왕언니의 레슨(17)


20051103_22019210559i2.jpg

1955년 경남여고의 판자촌 수업. 학교 교사는 육군병원 등으로 징발돼 판자 울타리 안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서울에서 공부하며 한글도 쓰기가 서툰데 
영어·불어·독일어·라틴어·중국어를 한꺼번에 배웠다
  
부모님 곁을 떠나 혼자 서울에서 하숙생활을 하고 계단식 교실에서 공부하니 어른이 된 기분이었다. 우리나라가 독립하고 1년 후라 한글도 쓰기가 서툰데 영어·불어·독일어·라틴어·중국어를 한꺼번에 배우니 어리벙벙 머리가 혼란스러웠다. 열심히 공부했지만 지금 머리에 남아있는 것은 단어 몇 마디와 발음으로 어느 나라의 말인지를 구별하는 정도다. 
  
영어로 쓰인 쉬운 책 한권을 아직도 읽지 못한다. 의학 용어가 들어있는 의서를 겨우 넘겨볼 정도다. 참 한심한 일이다. 그러나 우리말은 못 하는 것 없어 소설·산문·시도 읽고 미스터리한 소설도 읽고 했으니 나는 역시 한국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다. 
  
예과 시절 기억에 남는 선생님의 이야기와 노래가 있다. 그 시절에는 서울의과대학교 교수님이 우리 학교에 와서 겸임교수로 있었다. 그때는 서울의과대학이 남녀공학이 아니었다. 철학을 가르쳤던 김태길 교수, 음악을 가르쳤던 박태준 교수는 우리 때 유명한 교수였다. 
  
일본 동경대학 화장실 벽에 쓰인 낙서  

김태길 교수가 일본 동경대학에 다녔을 때 화장실 벽에 학생들이 쓴 글 이야기를 우리에게 해주셨다. ‘사랑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사랑이 없음을 어떻게 하나/ 사랑은 있다 주라’라는 글인데, 한 줄 한 줄 쓴 사람이 다르다고 했다. 
  
‘사랑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라는 첫 줄 학생은 사랑할 수 있는 여인을 찾지 못해 고민 중인 자기의 기막힌 심정을 썼다. 둘째 줄 학생이 그 글귀를 보고 자기가 구한 사랑은 사랑이 아니고 괴로움의 근원이 된 시련이었으니 ‘사랑이 없음을 어떻게 하나’라고 썼다. 
  
아직도 사랑을 찾고 있는 순진한 셋째 줄 학생이 쓴 글이 ‘사랑은 있다 주라’이니 자기의 사랑을 누구에게 주고 싶은 마음을 쓰지 않았을까 내 나름대로 생각해본다. 
  
그 시절에도 대학생들이 사랑을 구하며 사랑을 논했고 그것을 화장실 벽에 쓸 젊음이 있어서 부러웠다. 얼마나 멋있는 이야기냐 말이다. 나도 대학생 때라 교수님의 이야기가 가슴에 와 닿아서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있다. 
  
친구가 결혼한다기에 진주로 갔다. 친구가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 결혼을 하게 됐다며 마음 아파하고 있었다. 남편 될 사람이 6·25사변 때 죽은 친구의 애인이었다고 했다. 나는 신랑이 있는 방에 가서 이 글의 이야기를 하고 내 친구를 사랑해 달라고 부탁했다. 진심으로 서로 사랑하면서 살기를 빌면서. 
  
L20121018_010220727310001i1.jpg

대구문화재단이 박태준의 대표곡과 창작곡으로 만든 음악극 ‘박태준과 청라언덕’. 

작곡가 박태준과 동산의료원 선교사 사택에 있는 ‘동무생각’ 노래비. <대구문화재단 제공>


  
박태준 교수님이 가르쳐주신 노래 중 하나가 있다. ‘봄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 청라 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나는 흰 나리꽃 향내 맡으며/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청라 언덕과 같은 내 마음에/ 백합 같은 내 친구야/ 네가 내게서 피어날 적에/ 모든 근심이 사라진다’ (박태준 작곡, 이은상 작사, ‘동무생각’) 
  
나는 이 노래를 정말 좋아했기에 지금도 가끔 혼자서 부른다. 사랑하는 친구를 생각하면서. 나는 친구들을 좋아한다. 그 친구들이 결혼할 때 축가로 가끔 이 노래를 불러줬다. 
  
김길태 산부인과 의사 [email protected]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55 부산 깡패를 주먹 한방으로 굴복시킨 아버지 file Nugurado 449
54 죽음 대신 거세당하고 진실을 기록했던 사람 [출처: 중앙일보] 죽음 대신 거세당하고 진실을 기록했던 사람 file Nugurado 451
53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말 "할 만큼 했으니 갑니다" file Nugurado 453
52 집 한 채 값 빚지고 죽은 친구가 꿈에 나타나 한 말 file Nugurado 455
» 사랑을 구하며 논했던 동경대학 학생들이 쓴 화장실 낙서 file Nugurado 456
50 방패 베고 병사와 한솥밥 먹은 조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file Nugurado 456
49 "○○ 아빠, ○○ 엄마" 이런 부부, 은퇴 후가 위험하다 file Nugurado 456
48 세 번 자리를 옮기고도 모두 정점에 오른 춘추시대 범려 file Nugurado 457
47 면바지는 발목 살짝 드러나게 입어야 꽃중년 file Nugurado 457
46 빌려준 돈 못 받을 때 필요한 마음가짐 file Nugurado 458
45 노익장, 수전노 용어 만든 언어 마술사 후한의 마원 [출처: 중앙일보] 노익장, 수전노 용어 만든 언어 마술사 후한의 마원 file Nugurado 460
44 임종 직전에야 남이 원하는 삶만 산 걸 깨닫는다면 [출처: 중앙일보] 임종 직전에야 남이 원하는 삶만 산 걸 깨닫는다면 file Nugurado 464
43 술 마음껏 마시려 관직 오른 도연명이 낙향한 이유 file Nugurado 468
42 ‘이민자 때리기’ 도가 지나치다 file Nugurado 469
41 6.25전쟁의 역사 file Nugurado 470
40 '비즈니스 캐주얼'도 격식차려 입어야 file Nugurado 474
39 먼저 간 남편 따라 잠든 탁상시계에 부치는 글 file Nugurado 477
38 바늘없는 낚시 드리운 강태공이 72세 낚은 건? file Nugurado 477
37 20년 풍찬노숙, 환갑넘어 군주된 진나라 문공 file Nugurado 477
36 정장, 하루 입으면 이틀 휴식시간 주어야 file Nugurado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