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직장인에서 사진작가로, 이병용

인생에서 누구나 한번은 환승해야 할 때와 마주하게 됩니다. 언젠가는 직장이나 일터에서 퇴직해야 하죠. 
나이와 상관없이 젊어서도 새로운 일, 새로운 세계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한번 실패한 뒤 다시 환승역으로 돌아올 수도 있겠지요. 
인생 환승을 통해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생생한 경험을 함께 나눕니다. <편집자>

  

2b1098b3-53a2-42c0-9957-323311bb4216.jpg

양평의 '갤러리 와'에서 터키 사진전을 열 때의 내 모습이다. [사진 이병용]

  
8년간의 직장생활을 하며 앞으로 남은 인생을 어떻게 살까 고민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술도 마시고 여행도 다니고 공부도 하면서 젊음을 즐겼습니다. 하고 싶은 일을 못 해서 늙어서 후회하는 삶은 살고 싶지 않았습니다. 여행을 즐기고 열심히 일하면서 꿈의 실현을 위해 노력했지만 대학 시험에 떨어지고 나서 일본 유학을 선택했습니다. 1988년 30살 때였습니다. 
  
1년 동안 일본어를 배우며 그다지 좋아하지 않던 공부의 재미를 느끼면서 잠자고 아르바이트 시간을 빼고 하루 10시간 넘게 열심히 공부한 결과를 손에 드니 나 자신이 자랑스러웠습니다. 생전 처음 장학금을 받았고 졸업생대표 연설 의뢰까지 받았습니다. 
  
시험장에서 면접관이 “31살 젊지 않은 나이에 왜 사진을 하려고 하는가?”라고 질문해 앞으로 50년 동안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기 위해 8년간 돈을 모았다고 했습니다. 
  
1c0620f2-da0e-4154-8878-7eaecd1d81dd.jpg


터키 안탈리아에서 만난 참전용사의 잘린 다리에서는 아직도 피가 흐르고 있었다. [사진 이병용]
  
귀국 후 내가 주인이 되는 삶이 시작됐습니다. 재개발 현장 사진과 풍경 사진을 찍으며 2005년까지 순조로웠습니다. 그러나 4년간의 청계천 복원 작업 프로젝트를 끝내고 이사 2주 만에 지하 작업실이 침수돼 확대기, 필름, 사진, 서적 등을 못 쓰게 됐습니다. 
  
지천명(知天命)을 2년 앞둔 시기에 닥친 비극이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포기할 수는 없었습니다. 과거를 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사진 찍으며 항상 미진함을 느끼고 있었는데 학교 재학 중 찍었던 재일교포 1세들의 사진과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단체와 함께 활동하던 시절 그리고 초등학교 4학년 당시 에티오피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의 춘천 방문 당시의 기억이 또렷하게 떠올랐습니다. 
  
그렇게 6·25를 떠올리게 됐고 1년여의 준비 끝에 2007년부터 언제 끝날지 모를 기나긴 ‘한국전쟁 참전 UN21개국 참전용사 사진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에티오피아와 터키 작업을 끝내고 지금은 미국 참전 용사 사진 작업을 준하고 있습니다. 
  
b81c9986-d31c-44a8-a8ee-02ddebf261c3.jpg


터키의 아나무르에 사는 아이세 두주균 여사, 결혼 1주 만에 군대 간 남편은 6개월 만에 한국전쟁에서 전사했다. 미망인은 위험에 처한 나라를 돕다 전사한 남편이 자랑스럽다고 하셨다. [사진 이병용]
  
사진을 하지 않고 직장에 다녔다면 지금쯤 편한 삶을 살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한 인간으로서, 사진가로서 자유롭게 살면서 자아를 실현하는 충실한 삶, 자신의 삶이 소중한 만큼 타인의 삶도 소중하고 의미 있다는 깨우침, 자신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자부심 등 한 마디로 자신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하는 데서 오는 내적인 만족감과 충만감으로 가득한 삶을 살 수 있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무런 대가 없이 위험에 처한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그분들의 삶을 응원하고 고귀한 삶을 기록하는 것이라서 더 의미 있고 가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의미와 가치가 나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를 위한 일이라는 것, 그리고 그 일을 하며 보람 있고 행복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저의 경험을 많은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조회 수
54 90세 인생에서 배운 35가지의 교훈 file 355
53 외아들 입대가 흔들어 깨운 스마트폰 화가의 꿈 file 358
52 내년 소셜연금 3% 오르나…재무부 9월 뒤 인상폭 결정 file 361
51 차광수_TV 수리하다 도둑으로 몰린 전파상 기사 시절 362
50 [중장년재취업가이드]2강_퇴직 후 스트레스 관리 및 자존감 회복방법 363
49 세계 최대 시카고 철인3종 대회 87세 도전자 '다크호스 부상' file 367
48 강영만_아파트값을 올리는 관리소장 368
» 한국전쟁 참전용사 사진 찍으며 충만한 삶을 file 369
46 차광수_아날로그 기술자에서 디지털 기술자로, 공부가 답이다. 370
45 한만희_웃음강사로 자리잡기까지 했던 '노가다' 생활. 할만하다! 371
44 쓰죽회란? file 373
43 강영만_IMF 퇴직 후 아파트 관리소장이 되기까지 374
42 인생은 살이 쪘을 때와 빠졌을 때로 나뉜다 file 375
41 김권기_사업 실패 후 죽음을 죽음으로 극복, 장례지도사로의 길 시작 378
40 강영만_아파트 관리비리, 나는 이렇게 대처했다. 378
39 초등학교 교사에서 새롭게 만든 직업 ‘콜라텍 코치’로 file 379
38 특기로 노후생활…나이 60에 내가 쓴 책으로 출판사 차려 file 382
37 재미없는 천국에서 환승 후 만난 재미있는 지옥 file 386
36 청각 장애인으로 강제 환승…세상 보는 눈 달라져 file 391
35 병치레로 몸이 천근만근, 이런 내가 마라톤 뛸 줄이야 file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