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바람이 든 무처럼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린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연간 5만명 정도 늘고 있는데 2017년 85만명을 넘어섰고, 지난해 90만명, 올해는 95만명 선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호연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은 “병원에서 치료받는 골다공증 환자가 100만명에 육박하지만 학회가 추산한 골다공증 환자는 310만명가량으로 추산된다”고 했다.

 

골다공증이 진행되면 뼈가 푸석푸석해져 조금만 충격을 받아도 쉽게 부러지고, 아주 심하면 기침이나 재채기만 해도 뼈가 부러질 수 있다. 60대는 5명 중 1명, 70대는 2명 중 1명꼴로 골다공증을 겪는다.

 

방치하면 골절로 이어지는데, 대퇴골이 부러지면 20%가 후유증 등으로 목숨을 잃는다. 골다공증 환자의 대부분은 폐경 후 여성이다.

 

30대에 최고점에 이른 여성의 골밀도는 폐경 후 1년마다 3~5%씩 급감한다. 폐경 5년 후엔 1년에 1%씩 줄어 60세가 되면 30대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진다.

 

 

50세 이상 여성 43%가 골절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 골다공증의 날(10월 20일)’을 맞아 대한골대사학회·대한골다공증학회 등 관련 학회는 골다공증 조기 진단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손목 골절 여성 50% 이상 골다공증 증상이 없어 ‘침묵의 병’으로 불리는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막으려면 정기 검진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여성은 50세 이후, 남성은 60세 이후 1~2년에 한 번씩 검사하는 게 좋다.

 

골다공증 검사는 손목과 척추 부위 뼈 사진을 찍는 DXA 방식(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을 많이 쓴다. DXA검사는 뼈의 단면을 찍어 촘촘한 정도를 본다.

 

이 검사에 따른 T-점수가 0점이라면 정상, -1.5~-2.4점은 골감소증, -2.5점 이하는 골다공증이다. 골다공증이 무서운 이유는 골절을 유발하고, 특히 고령층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65세 이상 고령인은 한해 20%가량이 넘어진다.

 

65세 이상 고령인의 낙상 사고는 겨울철(12~2월)에 30.7%가 발생해 사계절 가운데 가장 많다.(질병관리본부) 특히 낙상한 고령인의 10~20%가 뼈가 부러졌다. 하지만 골다공증 위험에 노출돼 있는 폐경 후 여성들은 조기 진단과 치료에는 매우 소극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가 50~70대 여성 1,000명에게 설문 조사해 보니 83%가 골다공증 위험을 인식하고 있지만 72%는 골다공증 검진을 한 번도 받지 않았다. 이로 인해 골다공증에 걸려도 약물 치료를 받는 비율이 여성은 36%, 남성이 16%에 그치면서 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약물 치료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신정호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예방하려면 적절한 약물 치료가 중요한데, 비스포스포네이트제제를 투약하면 38% 정도 골절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가 저조하면서 폐경 후 여성 등이 손목 골절 등을 당한 뒤 골다공증 진단을 받는 사람이 많다. 실제로 손목 골절된 여성 2명 가운데 절반 이상(50.6%)이 골다공증 환자였다.

 

이준구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1,303명 가운데 51세 이상 여성인 손목 골절 환자 87명과 그런 적이 없는 대조군 2,124명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다. 이 교수는 “손목이 골절된 여성은 골다공증일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엉덩이관절(고관절)이나 척추까지 부러질 위험이 높기에 골다공증 검사를 받아 뼈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칼슘 섭취와 체중 실리는 운동 필요 골다공증 골절을 예방하려면 모든 연령층에서 칼슘과 비타민D를 먹는 것이 좋다. 김하영 원광대 산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칼슘은 하루 800~1,000㎎ 섭취가 권장되며, 1차적으로 우유 멸치 해조류 두부 등을 음식으로 먹고 부족하면 영양제 복용을 권한다”고 했다. 비타민D는 햇볕을 쬐면 피부에서 생성되지만 자외선차단제를 쓴다면 비타민D 보충제를 하루 800IU 단위 정도 먹는 게 좋다.

 

또한 금연을 하고 적절한 운동을 해야 한다. 특히 운동은 맨손체조·걷기·조깅·가벼운 근력운동 등 뼈에 무게가 실리는 체중 부하운동이 필요하다. 운동 강도는 비교적 가벼운 강도와 보통 강도 사이로 하면 된다. 최소한 20분 이상, 1주일에 사흘 이상 운동을 해야 한다.

 

근력 운동은 처음에는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앉았다일어서기 등이 좋으며, 이 운동에 익숙해지면 기구를 이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면 된다.

 

오인수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운동이 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운동을 중단하면 빠르게 사라진다”며 “운동은 오랫동안 꾸준히 해야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날씨가 점점 추워져 겨울이 되면 다른 계절보다 몸의 움직임이 줄어들고 근육·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져 가벼운 충격에도 골절로 이어지기 쉽다.

 

척추·엉덩이관절 골절과 함께 ‘겨울철 3대 골절’로 꼽히는 손목 골절은 전체 골절의 16% 정도 된다.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는 사람이 많은데 이때 체중의 2~10배의 힘이 손목에 전달되면서 뼈가 잘 부러진다.

 

겨울철 골절을 예방하려면 눈 오는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걸을 때는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아야 한다. 신발은 구두보다 마찰력이 큰 운동화를 신는 것이 좋다.

65세이상 시니어요가 (초급) 집에서 하는 실버 김찬무

20초 동안 이것을 하고 요통과 작별하세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약 1시간동안 앉아서 컴퓨터로 동영상을 보고 있었을 확률이 높을 듯 하네요. 이건 대부분의 경우 자연스럽게 느껴지겠지만, 등이나 목에 많은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집에서 쉬운 운동을 함으로써 이 스트...

이창석, 조회 수 382

내 몸에 쌓인 독소, 체내독소 빼는법

치유와 힐링을 위한 톡쇼는 음식과 생활습관을 통해 건강한 몸을 만들 수 있도록 전문가와 사례자, 체험자 등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희망의그날, 조회 수 436

과일·채소 간편식이 지방간 위험 낮춘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1,100여 명을 대상으로 식이 습관과 비알코올 지방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과일과 채소 등 간편식을 먹는 빈도에 따라 대상자들을 다섯 그룹으로 나눈 결과, 전...

다쓸어, 조회 수 660

알로에 베라가 남성에게 좋은 이유-집에서 알로에 ...

알로에 베라는 특히 구강 또는 국소 보충제로 남성 증진에 대한 알로에 베라의 이점을 제공하는 유익한 성분을 포함합니다.

Scott, 조회 수 401

나도 정력왕이 될 수 있다

남자들이 꿈꾸는 정력 왕! 어떻게하면 될수 있을까요? 조루치료를 위한 운동부터 행동 요법까지 국내 유일 킨제이 연구소 출신의 강동우&백혜경 원장이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친구야친구, 조회 수 423

어느 쪽으로 누워 자는 게 건강에 좋을까 알아봤더니…

- "저는 주로 오른쪽으로 누워서 자는 타입인 거 같아요. 항상 자고 일어나면 똑같이 오른쪽으로 누워 있더라고요." 항간에는 오른쪽으로 자야 왼쪽에 있는 심장에 부담을 안 준다는 속설도 있습니다. 그런데 수면 전문의에게 ...

다쓸어, 조회 수 409

소변을 밤에만 자주 보는 이유 - 야간뇨 해결책

밤에 소변을 보느라 잠을 못 주무시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오늘은 야간뇨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전립샘 비대증, 과민성 방광, 요실금 등의 비뇨기과 질환들이 제대로 치료되었는지 검사하고, 그래도 ...

친구야친구, 조회 수 437

화장실선 스마트폰 오래 쓰지 마세요,,

많은 분들이 치질로 고생을 하고 계십니다. 지난주 저희 병원에 오셨지만 창피하셔서 말씀을 못하신 분의 이야기는 그분만의 이야기가 아니라고 생각되어서 이번 동영상을 만듭니다. 치질: 집에서 간단한 예방및 치료법에 대해...

희망의그날, 조회 수 516

기면증 질환 인지도 제고 필요

현대인이 겪는 고질병 중 하나로 꼽히는 수면장애는 잠과 관련된 모든 장애를 포괄한다. 수면장애는 가장 흔한 불면증을 비롯해 코골이와 무호흡을 동반하는 수면무호흡증, 졸음을 참지 못하는 기면증과 과수면증, 잠을 자며 ...

희망의그날, 조회 수 413

기분좋은 삶, 내가 결정만 하면 된다구요?

삶은 나에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기분 좋은 삶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죠. 삶은 내가 창조하는 것이고 기분 좋은 삶은 선택하는 것입니다.

신밧드의보험, 조회 수 377

의사들이 절대로 알려주지 않는 당뇨병이야기. 혈...

충주건국대병원 최수봉 교수님의 진료를 받아 부착한 인슐린펌프. 의사들이 절대로 알려주지 않는 당뇨약의 비밀. 그리고 부작용들... 인슐린펌프 부착 후 일주일만에 일어난 내몸의 놀라운 변화들. 여러분 당뇨는 치료가 불가...

티끌모아파산, 조회 수 476

당뇨 혈당수치 뚝 떨어뜨리는 10가지 방법

티끌모아파산, 조회 수 406

닥터곰의 비뇨의학_비뇨의학과 모든 질문 타파!_

비뇨의학과는 비뇨기 및 남성생식기의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진료과입니다. 오늘 잠실서울비뇨의학과의 장진석 원장과 서울N비뇨의학과의 연제승 원장이 알려주는 비뇨의학과 질문타파 시간! 많은 남성분들이 궁금해하실만한 ...

신안나, 조회 수 407

무병장수가 꿈이라면? 건강 수명을 늘려야 한다

여러분 건강 수명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말 그대로 우리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기간을 뜻하는데요. 건강 수명을 갉아먹는 위험 요인들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건강 수명을 늘리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고려대 ...

신안나, 조회 수 394

'골다공증'치료의 '정석'… 약물부터 운동까지

바람이 든 무처럼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린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연간 5만명 정도 늘고 있는데 2017년 85만명을 넘어섰고, 지난해 90만명, 올해는 95만명 선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

쩝쩝이, 조회 수 436

노년층 불면증 극복은 수면 습관 노력부터

불면증은 노인들에게 발생하는 수면장애 중 가장 흔한 원인을 차지하며, 노년층 불면증의 유병률은 젊은 인구보다 고령층에서 더 높다. 불면증 증상을 호소하는 노인인구는 무려 30% ~48%에 달한다. 노화로 인한 많은 생리적 ...

친구야친구, 조회 수 426

'노화방지 무ㆍ온난화 배추'…채소의 무한변신

과일무는 중국 베이징에서 ‘청피홍심무’라 불리는 홍무와 국내 토종무인 조선무의 교배로 탄생했다. 2013년부터 국내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는데 일반 무에 비해 짧고 통통하며 단면은 수박처럼 빨갛다. 과일무는 보...

우파영혼, 조회 수 410

커피 좋아하면 빨리 늙는다?

아미노산에 당이 붙는 반응, 즉 당화 반응은 음식의 풍미를 높인다. 까맣게 볶은 커피, 노릇노릇 구운 식빵, 구수한 누룽지 등 ‘당화산물’은 하나같이 입맛을 자극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당화산물을 무턱대고 많...

마라나타, 조회 수 412

서서 하는 기초 시니어 요가 | 25분 슬로우 플로우

이번 영상은 요가를 배우려는 시니어 분들을 위해 마련한 25분 분량의 서서 하는 요가 프로그램입니다. 무리하지 않고 조금씩 천천히 몸을 움직이면서 요가 수련의 즐거움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김찬무, 조회 수 464

준비운동스트레칭 시니어건강운동 목동문화체육센...

김찬무, 조회 수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