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8271856385d1.jpg

전문가들은 늦었다고 생각하는 지금이 저축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거듭 강조한다. 20대에 시작을 못했다면 30대에, 30대에 못했다면 40대에, 40대에도 못했다면 50대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AP]

 

 

 

 

 

■ 연령대별 은퇴저축과 비상금 저축 목표액

 

소비는 저축보다 훨씬 즐거울 수 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병을 얻어 병원에 가게 되거나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나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피치 못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재정적인 대비는 그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은퇴 자금 준비의 중요성을 잘 알면서도 주택 임대료, 모기지 페이먼트, 결혼 자금, 자녀 교육비 때문에 준비를 쉽게 시작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저축이 점점 힘들어지는 시대를 살고 있어 준비 시기는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 실제로 보스턴 칼리지의 은퇴 연구 센터에 따르면, 미국인의 절반 가까이가 은퇴 후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생활수준이 낮아질 위험이 있다고 응답해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꿈꾸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금용정보 사이트 ‘뱅크레이트 닷컴’의 조사에 따르면 오직 40%의 미국인들만이 예상치 못한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들의 저축계좌에서 현금 1,000달러를 사용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늦었다고 생각하는 지금이 저축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거듭 강조한다. 뱅크레이트 닷컴은 연령대별 은퇴 자금 마련 로드맵을 소개했다. 

 

 

 

■비상기금으로 저축 얼마나

 

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얼마의 비상기금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3~6개월 정도의 생활비를 바로 현금화될 수 있도록 이자율 높은 세이빙 계좌나 단기 CD에 예치해 놓을 것을 재정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댈라스 지역의 퀘스트 캐피털 매니지먼트 세르지오 가르시아 공인재무 기획자는 “비상금 액수가 최소 3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 동안 생활할 수 있는 액수가 돼야 하는데 특히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만큼 현금화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20대

 

연방노동통계국(BLS)의 2016년 소비자 지출비용 조사에 따르면 25세~34세의 가장이 있는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6만6,470달러로 나타났는데 이 나이에 자녀가 1명이 있다고 평균적으로 가정할 때 1년 연봉인 6만6,470달러를 은퇴저축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이상적이다.

 

비상금의 경우 평균 1,550달러를 주택경비, 760달러를 교통비, 575달러를 식품비, 242달러를 의료비 그리고 유틸리티 비용으로 275달러, 크레딧카드 페이먼트나 학자금 등 부채 비용으로 56달러를 지출한다고 가정할 때 월 필수 생활비는 3,456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 액수를 3배에서 6배로 계산하면 3개월에서 6개월을 버틸 수 있는 비상금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30살이 될 때까지 요구되는 저축계획은 다음과 같다. 

 

 

 

▲은퇴 저축금 목표: 6만6,470달러

▲비상금 목표: 1만368달러에서 2만736달러

 

 

 

■30대

 

35세에서 44세 사이의 사람들은 평균 소득으로 9만2,576달러를 벌게 된다. 통상적으로 전문가들은 이 나이 대의 세대는 은퇴 저축금을 연 평균 소득에 3배로 늘릴 수 있다면 매우 이상적이다.

 

이 나이대의 예상 월평균 지출은 주택경비로 1,909달러, 교통비 863달러, 식품비 725달러, 의료비 340달러, 유틸리티 비용 360달러, 크레딧 카드 등 부채 100달러로 구성된다. 그것은 한 달에 약 4,300달러가 된다. 이 액수를 3배에서 6배로 계산하면 3개월에서 6개월을 버틸 수 있는 비상금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은퇴저축금 목표: 27만7,728달러

▲긴급 저축 목표: 1만2,900달러에서 2만5,800달러

 

 

 

■40대와 50대 초반

 

40대는 인생에서 가장 많은 소득을 올림과 동시에 지출도 가장 많아지는 시기다. 45세에서 54세 사이의 근로자들은 연간 평균 소득은 9만9,423달러를 번다. 전문가들은 이 시기의 경우 퇴직금 계좌에 연 평균 소득인 9만9,423달러의 6배의 수입이 저축된다면 이상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소득만큼 지출도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계획대로 은퇴저축을 하기란 쉽지 않다.

 

주택 경비는 주택 융자금 상환에 힘입어 월 1,836달러로 소폭 하락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통 경비에 916달러, 식품경비에 733달러, 의료비에 411달러, 유틸리티 비용에 385달러, 112달러를 크레딧카드 페이먼트로 지출한다고 가정하면 매달 핵심 지출을 포함하는 생활비는 4,386달러에 달한다. 이 액수를 3배에서 6배로 계산하면 3개월에서 6개월을 버틸 수 있는 비상금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40대>

 

▲은퇴저축 목표: 59만6,538달러

▲비상금 목표: 1만3,158달러에서 2만6,316달러

 

<50대>

 

▲은퇴저축 목표: 64만3,792달러

▲비상금 목표: 1만1,598달러에서 2만3,196달러

 

 

 

■50대 중반에서 60대

 

아마 자진해서든 아니든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에서 벗어나 이제 인생의 마지막 3분의 1과 은퇴를 준비하고 있을 시기다. 그래서 소득과 지출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은퇴 자금 저축에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된다.

 

55세에서 64세 사이의 사람들은 연평균 8만474달러의 수입을 올린다. 이 나이 대의 세대는 은퇴 저축금을 연 평균 소득인 8만474달러의 8배인 64만3,792달러로 늘릴 수 있으면 이상적이다. 20대부터 착실히 은퇴 자금을 저축해왔다면 이 목표는 이미 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매달 1,554달러를 주택 경비로, 811달러를 차량 등 교통 경비로, 606달러를 식품비, 459달러를 의료비용과 보험료, 354달러를 유틸리티 비용으로 100달러를 크레딧카드 페이먼트로 지출한다고 가정하면 매달 핵심 지출을 포함하는 생활비는 3,884달러에 달한다. 이 액수를 3배에서 6배로 계산하면 3개월에서 6개월을 버틸 수 있는 비상금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은퇴저축 목표: 64만3,792달러

▲비상금 목표: 1만1,652달러에서 2만3,304달러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747 비시민권자에 일부 공직 진출 허용…가주의회서 관련법안통과 file Nugurado 348
746 배현진 “지나가던 돼지가 웃겠다”고 폄훼한 정부 정책 file Nugurado 348
745 요세미티 프로포즈 커플 찾았다 file Nugurado 348
744 "감세혜택 크다 하더니"…납세자들 불만 커져 file Nugurado 348
743 [VOA 뉴스 투데이] 7월 18일 Nugurado 348
742 46년째 올림픽가 축제 한마당 file 좌빨씹는정상인 348
741 윤석열, 조국에 ‘사인’ 보냈다 니이모를찾아서 348
740 "노인 문제, 노인이 해결한다"…'노노 케어'로 일석이조 / 연합뉴스TV 티끌모아파산 348
739 [단독] "문재인 로동당 당원" 충성맹세(의혹)문서 발견 알렉스조 348
738 바람 잘 날 없는 트럼프 리스크…이번엔 ‘탄핵’ / KBS뉴스(News) 휴지필름 348
737 나 떨고 있니..막힘없던 연설장인 문 대통령에게도 이런 모습이? 유엔총회 기조연설 중 포착된 뜻밖의 모습과 함께 연설 풀버전 드립니다 휴지필름 348
736 '한인 성공신화' 포에버21, 파산보호 신청… 350개 매장 폐점 file 알렉스조 348
735 '조국 퇴진' 광화문 집회…청와대 방면으로 행진 시작 coffee 348
734 [팩트맨]영장전담판사 배정…복불복일까, 시스템일까? | 뉴스A 친구야친구 348
733 2020년 부동산 위기에서 집값은 과연 오를까? 내릴까? 손해보지 않는 법! 친구야친구 348
732 드라마 시청한 고속버스 기사…승객들 '공포의 120분' 니이모를찾아서 348
731 한·일 관계개선엔 공감, 입장차는 여전…정상회담 전망은? 평정심 348
730 LA 유학생 폭행치사 9년만에 '유죄'…한국대법원 '확정선고' 희망의그날 348
729 박지원 "황교안, 배짱 없어 종로 못나와…이낙연 압승" 우파영혼 348
728 조남호·정호 회장 집 등 10여곳 압수수색…한진 탈세수사(종합2보) file Nugurado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