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초점] 고령화 사회 '슬픈 자화상', 대책 방안은?

[출연 : 최창호 사회심리학 박사] 고령화가 가속화 되면서 우리 사회와 경제가 짊어지고 있는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고령화 시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전문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최창호 사회심리학 박사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한국사회가 올해 8월을 기점으로 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했습니다. 특히 한국은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노령화가 진행 중이라고 하는데 현재 추세가 어떤가요?

[질문 2] 고령화가 진행되면 사회의 모습은 그 전의 사회와 구조적으로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저출산과 초고령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하면서, 특히 경제에 미치는 문제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질문 3] 경제는 물론 사회적 문제까지 대두되면서 정년과 노인 기준 연령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노인연령 기준을 높이는 게 우리 사회에 좋은 걸까요?

[질문 4]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지하철 무임승차 승객이 크게 늘었습니다. 정책의 혜택을 누리는 인구가 늘어난다는 점만 보면 환영할 만하지만, 그 비용이 다른 사회 구성원들에게 전가될 수도 있어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어요?

[질문 5] 한편 늘어나는 노인 인구와 수명만큼 노년기의 삶의 질은 매년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2015년에 OECD가 발간한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빈곤률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하죠?

[질문 6] 게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노인은 10만 명당 54.8명으로 OECD 평균의 3.2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노인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질문 7] 복지 사각지대에 몰린 노인들을 돌보는 시스템은 물론 노인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자리 제도가 미비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현 제도는 어떻고, 또 어떤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질문 8] 농경사회에서 노인의 지혜와 노하우가 큰 역할을 했듯, 현대 사회에서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질문 9] 노후 대책 없이 퇴직하신 분 중의 상당수는 몇 년이 안 되어 중산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저소득층에서 극빈층으로 전락하기 쉽다고 합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노인을 위한 은퇴 전략 등, 노후대책 조언 부탁드립니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7 눈치보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이창석 145
46 코로나 전부터 한국 대기업 경영 ‘빨간불’…순익 ‘반토막’에 빚 늘었다 희망의그날 145
45 조은산의 시무7조 상소문 30대 가장의 청와대 국민청원 - 발췌 대독 이창석 144
44 주호영 "안철수 선택에 달려" 거듭 러브콜…홍정욱 서울시장 출마설도 '솔솔' 평정심 144
43 전 세계 '21만 명' 확진…불꽃놀이 나선 트럼프 "중국 책임" 김찬무 144
42 아프면 쉰다? 회사 잘리는데 어떻게 쉬나요 이창석 144
41 세계 확진자 1100만 명 넘어…전염력 6배 큰 변종 유행 다쓸어 144
40 특검 “김경수가 드루킹에 지시” vs 김경수 측 “드루킹이 만든 프레임” file 희망의그날 144
39 미 전직 관리들 "방위비 합의 불발로 무급휴직 현실화...대비태세 부정적 영향" file 쩝쩝이 144
38 트럼프,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를위한 해군 병원선 사용 허가 쩝쩝이 144
37 청와대 인사 기준 비판한 상소문 / 이해찬의 ‘비대면’ 고별인사 펭귄 143
36 "경찰관들 살인죄" 거리 휩쓴 분노…미국 흑인사회 폭발 희망의그날 143
35 최강욱 고발당해…"채널A 기자 관련 허위사실 유포" 이창석 143
34 워싱턴 협상재개 청신호 ‘미국민 1200달러, 연방실업수당’ 기대 file 반월 142
33 트럼프는 자신을 '전쟁 대통령'이라고하며 '총 승리'를 약속합니다. 숨박꼭질 142
32 비건 "인도·태평양서 이익 공유" 中 견제하는 안보동맹 배제안해 반월 141
31 LA카운티 코로나19 급속 확산 .. 일일 확진자 또 2천 300명 넘어 file 이창석 141
30 “중국에서 또”…코로나 이어 네이멍구서 흑사병 확진 발생 coffee 140
29 통조림 공장에 고용된 노동자 ‘격리’만 당해 소송 제기 file 이창석 139
28 북한 김정은, 잠행 20일 만에 등장…‘함박웃음’ 건재 과시 희망의그날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