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입주자들 각종 학대에 시달려
신체·언어 폭력에 무방비 노출
입주자 간 또는 직원으로부터
자녀가 자주 세심하게 점검해야

231000727.jpg


LA한인타운 내 한 양로시설에 살고 있는 L씨가 옆방 이웃 남성으로부터 지팡이에 맞아 어깨와 팔 옆에 시커멓게 멍이 든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 시설 측은 가해자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내리지 않았다.

양로호텔.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어시스티드 리빙(Assisted Living)'으로 표현한다. 직역하면 생활도움시설, 한국에서는 유료노인요양시설 또는 유료양로시설로 부른다.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 요양, 기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고 이에 소요되는 일체의 비용을 입소한 자나 가족으로부터 수납해 운영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름 때문에 편안하고 화려해 보이지만 실제 이 시설에 살고 있는 한인 노인들 가운데 상당수는 감옥 아닌 감옥 생활을 하고 있다. 

입주자가 조금이라도 치매증상을 보인다든지, 신체적으로 정상적인 나들이를 하기가 불가능하다고 시설 운영자 측이 판단하면 일단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다. 직원만이 문을 여닫을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다. 출입 열쇠를 가진 노인 입주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노인 입주자는 시설 내에서만 생활해야 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시설 내에서 행해지는 각종 폭력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LA한인타운 내 한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L(81·여)씨는 양로호텔로 불리는 이곳에 입주한 지 2년여 기간 동안 각종 폭력에 시달려야 했다. 

지금은 그나마 안정된 생활을 하지만 예전에 겪었던 끔찍한 일들을 생각하면 여전히 분노가 치민다. 특히 바로 옆방에 있는 남성 입주자 2명이 지팡이로 L씨의 어깨와 팔을 내려친 사건 때문에 지금도 파스와 진통제를 사용하고 있다. 

"내 방 쪽으로 자꾸 건너와서 담배도 피고 물건도 없어지고 해서 이쪽으로 오지 말라고 했더니 욕을 하면서 지팡이로 내려치잖아…. 그나마 피하면서 어깨와 팔을 맞았으니 다행이지 만약 머리를 맞았으면 아마 병원에 아직도 입원해 있든지 아니면 죽었든지 무슨 일이 났을 거야…." 

L씨는 어깨와 팔에서 검붉은 멍은 사라졌지만 아직도 통증을 느낀다며 파스와 진통제를 거의 매일 바르고 있다. 

그의 자녀는 어머니가 진짜 아픈 것인지 아프다고 느끼는 것인지 판단이 서질 않는다. L씨의 아들 K씨는 당시 그 같은 상황을 시설 측으로부터 연락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K씨는 "어머님이 예전부터 옆방 입주자의 언행 때문에 불편하다고 말씀하셔서 시설 측에 베란다 통로를 막아달라고 요청했는데 결국 폭행으로까지 이어졌다"면서 "정부 관계기관에 신고할지 여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한인타운 인근에 선택할 수 있는 대체시설이 한정돼 있어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당분간은 그냥 있으면서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기만을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 예에 불과하지만 양로호텔 입주자 간의 폭행은 다반사라는 것이 시설 직원의 증언이다. 

신체적 폭력은 그나마 드물게 발생하지만 언어나 정서적 폭력은 일상화돼 있다. 상대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비난이나 모욕, 협박 등을 언어나 몸짓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또 시설 측이 쉬쉬하며 숨기지만 성적 학대도 적지 않다는 것이 시설 관계자의 증언이다. 성적수치심을 주는 성희롱을 넘어, 심지어 성폭행까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인타운 양로호텔의 경우 남녀 입주자가 혼재돼 있고 신체적·정신적 상태도 천차만별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 같은 불상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시설 관계자나 입주자 가족의 설명이다. 

시설 직원에 의한 입주자 학대도 드물지 않다. 대부분은 직원이 성실하게 입주자의 비위를 맞추면서 근무하지만 일부 직원은 특히 언어나 정서적으로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 

한인 양로시설의 경우 인건비 절약을 위해 필수 인원보다 적은 인원만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직원의 업무 강도나 양이 주류사회 양로시설보다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직원들이 입주자를 대하면서 짜증 섞인 말이나 행동을 자주 하고 직원 성격에 따라서는 거의 폭력 수준의 언행도 뒤따르고 있다. 

그나마 부모를 만나기 위해 자녀가 자주 시설을 찾으면 부모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상태를 확인해 시설 측에 보다 세심한 입주자 관리를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입주자는 자녀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살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찾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본인도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해 드러나지 않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렇다고 한인 운영 양로시설에만 이런 문제가 국한된 것은 아니다. 양로시설협회 자료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서만 매년 대략 1만2000건의 각종 불만사항이 접수된다. 여기에는 폭행, 절도, 방치 또는 유기에 의한 죽음 등의 사례도 포함된다. 

관련 사이트에 나온 사례에는 시설 직원이 입주자에게 살충제를 뿌렸다가 적발된 경우도 있다. 또 입주자의 돈을 관리해주는 명목으로 사례비를 받으면서 자신의 음주운전 벌금을 입주자 돈으로 계산한 사례도 있다. 

휠체어나 스트롤러를 이용하다가 넘어졌는데 본인이 큰 부상이 없다며 괜찮다고 했다가 방문한 주치의가 중풍이 의심된다며 병원으로 옮길 것을 권고했으나 즉시 이행되지 않다가 나중에 병원으로 옮겨진 뒤 다음날 사망한 경우도 있다. 이 과정에서 사망한 노인의 자녀는 시설 측으로부터 전혀 보고를 받지 못하고 있다가 사망통보만 받았다. 

노인 전문가들은 "부모를 시설에 맡겼다고 시설에서 모든 것을 잘해 줄 것이라고 믿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며 "최대한 자주 부모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몸에 상처가 있거나 침대에 너무 오래 누워 있는 경향이 발견되면 일단 입주자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부모가 불평하거나 불만을 제기하는 문제는 반드시 시설 측에 먼저 알리는 것이 필요하며 날짜와 이야기 나눈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점검해야 한다. 의복 교체와 기본 위생상태가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복용하는 약, 식사와 식수는 제때 공급되고 있는지, 시설 내 각종 행사나 활동에 소외되지 않고 빠짐없이 참여하고 있는지 등이다. 

노인시설이 개선을 요청한 사항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거나 폭력이나 절도, 성범죄 등 확실한 범죄행위가 발생하면 가주 사회보장국 고발센터 무료 전화 1-800-538-8766(영어)로 연락하면 된다.

미국 생활 보조금(Supplemental Security Income)-SSI-정보의 모든것
생활 보조금(SSI) 프로그램

SSI 생활 보조금.. 꼭 10년 이상 세금 보고를 해야...

미국에서 노후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10년간 세금 보고를 해야만 자격이 생기며 아무리 65세가 지났고 사회 보장 제도가 필요한 나이가 되어도 세금보고를 하지 않은 사람들에겐 의료보험을 포함한 사회 보장 혜택을 받을 수 ...

, 조회 수 5080

영양보충지원 프로그램.....어디까지 지원?

종전에 '푸드 스탬프(Food Stamp)'로 알려진 영양보조 프로그램이 '스냅(SNAP)'으로 변경돼 운영되고 있다. 종이표에 도장을 찍어준다는 뜻으로 이름 붙여진 '푸드 스탬프'가 좀더 공식적인 이름(Suppl...

, 조회 수 1620

미국 생활 보조금 SSI 신청자격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인 미국 생활 보조금 SSI의 신청자격을 알아보고 어느 정도 세금보고 기록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에서 노후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10년...

, 조회 수 4500

미리본 내년 소셜연금 변화…연금·SSI 오르지만 세...

내년 새롭게 적용되는 소셜연금 규정 내용을 확인해본다. 물가 상승분에 이어 몇가지 제한 규정들에 대해 그 한도가 늘어나는 등 기억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만기 연령 소득 한도 확대 은퇴 만기연령 이전인 62~66세 ...

, 조회 수 1254

비시민권자를 위한 SSI…유자격자에겐 시민권 신청...

근로 크레딧 40점이 핵심 7년 수혜 후 재신청 가능 신분 변경 시 언제든 신청 비시민권자 즉, 영주권자, 비자 체류자, 난민 등의 거주자가 사회보장국의 생활보조금(SSI)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이 적지 않았다. 답...

, 조회 수 1249

미셀 조의 재정 칼럼 사회복지제도

이번에는 ‘필요기반 프로그램’ (Needs Based Program)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프로그램은 소득이 거의 없고 자산은 2,000 달러 이하일 경우에 받을 수 있다. 1. SSI(Supplemental Security Income) 생활보조금(SSI) 혜택은 ...

, 조회 수 1140

SSI 받으려면 수혜자격은 ?

생활보조금(SSI)은 수입이 제한적이거나 재산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 매월 보조금을 지급하는 연방정부 프로그램이다. SSI는 65세 이상의 시니어나,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연령에서 시각장애를 포함해 법이 규정하는 장애를 ...

, 조회 수 1828

비시민권자의 SSI 수령…영주권 또는 근로 크레딧 ...

연방정부가 지급하는 '생활보조금(SSI)'은 시민권자가 아니어도 특정한 조건을 갖춘 비시민권자에게도 지급된다. 저소득 개인과 가정, 경제활동을 중단한 시니어들에게 주로 지급되는 SSI는 메디케이드 혜택도 동시에 받을 수 ...

, 조회 수 1507

푸드스탬프 신청 조건은…극빈층 소득증명이 먼저

Q 아는 분이 '푸드스탬프'를 받기위해 서류를 준비한다며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스냅'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대충의 자격 조건이 궁금합니다. LA독자 김동수 A '스냅(SNAP)' 혜택을 ...

, 조회 수 5594

SSI(생활보조금) 란 무엇인가?

SSI (Supplemental Security Income) 는 저소득층이며 65세 이상 노인 또는 신생아와 어린이를 포함하여 나이에 상관없이 장님과 장애자에게지급되는 현금보조 프로그램이다. SSI를 받기 위해서는 미국 시민권자 이거나 미국에 ...

, 조회 수 4324

[양로시설 실태 고발] 이름은 '호텔' 처우는 '감옥'

입주자들 각종 학대에 시달려 신체·언어 폭력에 무방비 노출 입주자 간 또는 직원으로부터 자녀가 자주 세심하게 점검해야 LA한인타운 내 한 양로시설에 살고 있는 L씨가 옆방 이웃 남성으로부터 지팡이에 맞아 어깨와 팔 옆에 ...

Nugurado, 조회 수 1104

시사컬럼(김광석) - SSI 등 정부혜택 신청

시사컬럼(김광석) - SSI 등 정부혜택 신청

, 조회 수 876

09 생활 보조금 (AABD & SSI)

연장자를 위한 공공복지혜택 소개 영상 (Video clips introducing public benefits for seniors

, 조회 수 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