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도계가 미국을 사는 법

Nugurado 2019.07.13 13:36 조회 수 : 357

유튜브 코드  

102.jpg

 

미국 어린이들의 대표적 과외활동은 스포츠이다. 야구, 축구, 풋볼 등 시즌에 맞춰 아이들을 운동장에 데려다 주느라 부모들은 바쁘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어린 딸의 엄마로서 그게 이상했다. 한국에서는 피아노나 바이올린 레슨이 정석처럼 되어 있는데, 미국부모들은 그런 데 전혀 관심이 없었다. 아이들을 마냥 뛰어놀게 해주는데 주력했다. ‘공부’가 뒷전인 자녀양육은 내게 일종의 문화적 충격이었다.

 

운동이나 놀이중심 양육문화 속에서 드물게 ‘공부’ 비슷한 과외활동이 스펠링 비였다.

 

파란 눈에 노란머리 백인아이들이 눈을 깜빡이며 고심 끝에 철자를 말하고, 답이 맞아 안도하고 틀려서 울상이 되던 광경은 ‘미국’스러웠다. 이방인으로서 미국인들의 잔치를 구경하는 듯한 거리감이 먼 기억으로 남아있다.

이후 대회를 특별히 챙겨보지도 않았지만, 지난 20년 사이 스펠링 비 대회는 완전히 바뀌었다. 트럼프가 추구하는 본래의 미국, 백인의 미국은 사라지고 그 무대에 아시안 얼굴들이 들어섰다.

 

지난달 30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2019 스크립스 전국 스펠링 비’ 대회에서 무려 8명이 공동우승을 했다. 1925년 첫 대회 이후 90여년 역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결선 중 17라운드를 돌아도 승자가 가려지지 않자 사회자는 결단을 내렸다. “20라운드로 대회를 끝내고 남은 사람 모두를 공동우승자로 하겠다. 더 이상 이들이 어려워할 만한 단어도 없다.” 결국 8명이 우승자가 되어 트로피와 5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

 

이들이 맞춘 마지막 단어만큼 우리에게 낯선 것은 우승자들의 이름이다. 12~14살인 8명 우승자 중 7명이 인도이름이다. 이름은 익숙하지 않지만 인도계가 스펠링 비를 휩쓰는 것은 이제 익숙한 광경이다. 인도계는 지난 12년 연속 우승트로피를 차지했다. “스펠링 비는 우리의 올림픽, 우리의 긍지”라는 것이 인도계의 분위기이다.

인도계 아이들은 왜 이렇게 스펠링에 뛰어날까. 유전적인 걸까, 환경적인 걸까 학자들이 연구대상으로 삼을 정도이다. 민족에 따라 특별히 잘하는 게 있기는 하다. 케냐 사람들의 장거리 달리기, 러시아 사람들의 체스, NBA를 독차지하는 흑인계. 그리고 한국여성들의 골프도 여기에 해당되겠다.

도계가 IT를 비롯해 정치 문화 언론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도 인구가 13억이 넘으니 우수한 인재들도 그만큼 많기는 할 것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미국 내 인도계는 440만 명, 인구의 1% 남짓한 소수계가 전국대회인 스펠링 비를 완전 장악하는 현상은 설명하기 어렵다. 인도계인 노스웨스턴 대 인류학과 샬리니 샨카 교수의 설명을 들어보면 미국에서 소수계가 살아가는 한 방법이 엿보인다.

후세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는 한편 미국사회에서 커뮤니티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인도계에게는 스펠링 비가 그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스펠링에 개개인과 커뮤니티가 쏟는 노력이 엄청나다.

 

인도계의 미국 이민물결은 1965년 개정이민법 이후 형성되었다. 취업이민의 문이 열리면서 고학력 전문직 인도인들이 대거 미국으로 들어왔다. 한인사회가 그랬듯이 이민초기에는 인도계도 후발주자로서 숨죽이고 미국사회 적응에 전념했을 것이다.

“아하, 우리도 할 수 있네!”하는 자각이 생긴 것은 1985년이었다. 발루 나타라잔이라는 소년이 스펠링 비에서 우승하면서 커뮤니티에 즐거운 바람이 일었다. 스펠링 공부 바람이었다. 개별적 꿈은 커뮤니티의 후원으로 이어졌다. 1989년 인도의 소외계층 아동 지원을 위해 설립된 노스사우스기금(NSF)이라는 비영리재단이 자체 스펠링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1999년 누푸르 랄라라는 소녀가 인도계로 세 번째 스펠링 비 우승자가 되고, 이 이야기를 담은 다큐 ‘스펠바운드’가 나오면서 인도계의 스펠링 사랑은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아이들은 “랄라가 할 수 있다면 나도 할 수 있다”며 고무되고, 교육열 높은 학부모들은 그 뒷바라지에 시간과 돈을 아끼지 않았다. 암기는 인도의 전통적 학습법이기도하다.

 

스펠링 비 우승자 가족들을 보면 공통된 모습이 있다. 아이는 선수, 부모는 코치, 형제들은 보조코치로 온 가족이 똘똘 뭉치는 구도이다. 아울러 커뮤니티의 결속력도 대단하다. NSF는 96개 챕터로 커졌고, 자체 스펠링 대회에는 연간 1만6,000명의 학생들이 참가한다. 2008년부터는 사우스아시안 스펠링 비라는 대회가 또 만들어졌다.

아이들은 이 대회, 저 대회에서 만나며 광범위한 네트웍을 형성하고, 친구가 된 그들은 워싱턴 대회에서 다시 모인다. 인도계에게 스펠링 비는 명실 공히 ‘우리들의 무대’이다.

이민 2세들에게 필요한 것은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과 자부심이다. 소수계로 주눅 들기 쉬운 환경에서 아이들에게는 자신감도 필요하다. 인도계는 스펠링 비라는 관문을 최대한 활용했다. 학생은 우승의 꿈, 부모는 가문의 영광, 커뮤니티는 위상제고를 위해 하나가 되면서 커뮤니티가 성장한다. 소수계 커뮤니티들이 참고할 만하다.

 

100.jpg

 

 

<한국일보 권정희 주필>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515 미국에서 2020년 강한국가 순위 발표하자, 한국 결과 보고 깜짝 놀란 일본반응 슈렉 132
514 문재인,'노영민바꾸면 퇴임준비차질"!!김조원,대통령에 엄청난 실책!조선,"문재인퇴임후 갈길 정해졌다"(강천석칼럼)! 김찬무 135
513 주 방위군 한인타운 입성 6월1일 오후 3시 30분 희망의그날 138
512 윤미향 '딸 장학금' 논란…"위안부 할머니가 준 용돈" 멸공통일 139
511 트럼프 과감한 2차 Stimulus 지원책 상하원에 촉구, $4,000불 교육비보조안, 미국 대선후보 Joe Biden 선정 희망의그날 140
510 한국에서 추방된 미국인이 한국을 다시 방문하고 나서야 깨달은 충격적인 사실 산야초 140
509 “김종인 통합당? 성공확률 10%”진중권이 말하는 보수의 미래 다쓸어 141
508 코로나 쇼크 이제 시작일뿐...한국경제·집값, 장기 침체 초입 숨박꼭질 142
507 국민 속이고, 트럼프 속이고…문재인 대북정책의 파탄 (정규재 뉴스논평) 슈렉 142
506 트럼프 여행비지원 $4천불✈️/ 2차 ????$1,200불 체크지급 논의 coffee 143
505 2차 $1,200불 체크지급 논의현황/Joe Biden 경제정책 공약분석/LA지역 렌트비, 비즈니스보조금/ 리빙트러스트 산야초 144
504 이제는 부동산 차례, 일주일 만에 강남 신축 1억 5천 빠졌다. 삼양라면 145
503 볼턴이 던진 화염병! 文-트럼프 사이에 무슨 일이… coffee 145
502 선하고 아름다운 삶 - 김형석 명예교수 쩝쩝이 145
501 김동길의 한마디 - 설상가상 슈렉 146
500 몸싸움에 운구차 방해...대한민국 영웅, 이렇게 보내야만 하는가 file coffee 147
499 집앞 물에 빠진 참새를 구해줬더니 대박반응 슈렉 147
498 "요구하신 돈 사용내역 때문에 소장님이 많이 힘들어했다" 다쓸어 148
497 문대통령이 윤대통령 만든다? 다쓸어 148
496 직권남용 혐의…시민단체, 추미애 추가 고발 슈렉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