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 

30세 이상 만성질환율 비만 36%, 고혈압 27%, 고콜레스테롤혈증 22%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 

 

30세 이상 만성질환율 비만 36%, 고혈압 27%, 고콜레스테롤혈증 22% 

 

 

AKR20181110031300017_01_i.jpg

 

GYH2018111100030004400_P2.jpg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우리나라 성인 남자 2명 중 1명, 여자 4명 중 1명은 월 1회 이상 폭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상 남성 5명 중 2명은 비만, 3명 중 1명은 고혈압, 5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앓는 등 남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다만 성인 남자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간접흡연 노출률도 감소하는 등 흡연 지표는 개선됐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건강검진 결과와 면접을 통해 얻은 전국 4천416가구, 1만명의 건강 수준 분석 결과다.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행태는 계속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19세 이상 성인의 월간음주율(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은 62.1%(남자 74.0%, 여자 50.5%)로 2005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여자 월간음주율도 지속해서 증가해 지난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 7잔, 여자 5잔 이상이고 주 2회 이상 음주)도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14.2%(남자 21.0%, 여자 7.2%)였다.

 

월간폭음률(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 7잔 또는 맥주 5캔, 여자 5잔 또는 맥주 3캔 이상 음주)은 39.0%(남자 52.7%, 여자 25.0%)에 달했다.

 

연령별 폭음률을 보면, 남자는 20대(54.8%), 30대(57.9%), 40대(59.1%)가 모두 50% 이상이었고, 여자는 20대(45.9%)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폭음률도 계속 증가하는데 이는 사회활동 증가, 술을 기호식품으로 여기는 문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9세 이상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움)은 22.3%로 전년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1998년 이래 최저치다. 

 

국내 흡연율은 1998년 35.1%에서 점점 하락해 2014년 24.2%로 떨어졌고, 2015년 1월 담뱃값 2천원 인상의 영향으로 그해 22.6%까지 하락했다. 2016년 23.9%로 반등했다가 지난해 다시 떨어진 것이다. 

 

남성 흡연율은 전년보다 2.6% 하락한 38.1%로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흡연율은 6.0%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해외 사례를 보면 담뱃값이 인상되면 그 충격으로 흡연율이 내려갔다가 다시 살짝 올라간 후 안정적인 추세를 찾아간다"며 "이번 흡연율 하락은 담뱃값 인상 요인과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매점에 깔린 흡연경고 그림 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본다"고 설명했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률은 직장 실내 12.7%, 가정 실내 4.7%, 공공장소 실내 21.1%로 전년보다 모두 낮아졌다. 전자담배 사용률은 2.7%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높았다.

 

지난해 성인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4.1%로 전년보다 0.7%포인트 떨어졌다. 남자는 5명 중 2명(41.6%), 여자는 4명 중 1명(25.6%)이 비만이었다.

 

만 30세 이상의 비만율은 35.5%(남자 42.4%, 여자 27.7%)였다. 남성 비만율은 30대가 46.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40대(44.7%), 50대(44.3%)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20%를 넘어섰다. 30세 이상의 유병률은 21.5%(남자 20.0%, 여자 22.6%)였고, 여자 50대(31.7%), 60대(41.4%), 70대 이상(42.6%)이 특히 높았다.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6.9%(남자 32.3%, 여자 21.3%), 당뇨병 유병률은 10.4%(남자 12.4%, 여자 8.4%)였다. 40세 이상의 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11.6%였다.

 

40세 이상의 주요 안질환 유병률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 13.4%, 녹내장 3.4%, 당뇨망막병증(당뇨병 유병자) 19.6% 수준이었다. 

 

그러나 본인에게 안질환이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3.5%(나이 관련 황반변성), 25.8%(녹내장)로 매우 낮았고, 당뇨병 유병자 중 합병증 확인을 위해 안저검사를 받아본 사람도 23.5%에 불과했다.

 

유산소 신체활동(1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실천) 실천자는 2명 중 1명(남자 50.6%, 여자 46.6%)으로 최근 3년간 계속 감소 추세다. 

 

주관적 건강 인지율(평소 건강이 '매우 좋다' 혹은 '좋다'고 생각)은 29.2%, 스트레스 인지율(평소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낌)은 30.6%였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어, 비만, 흡연, 음주 등 건강위험행태 개선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 차원의 비만관리대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한편 금연구역 확대, 담배 광고·판촉행위 규제 등 비가격 금연정책과 절주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8 경기 불황 2020년 충돌을 준비하는 방법 깐두루 369
47 남가주 개스값 4달러 돌파 알렉스조 369
46 美도 ‘최저임금 딜레마’…“시급15달러, 1700만명 혜택-130만명 실직” file Nugurado 369
45 우리는 왜 아직도 뚱뚱한가? file Nugurado 371
44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12월 3일 LA서 개막 file 진실이야 372
43 ‘1만달러 쪼개기’ 송금 한·미 국세청서 주시 file 좌빨씹는정상인 372
42 크레딧 점수는 돈…'760 고지' 넘어라 file Nugurado 372
41 매주 20달러씩 이라도 지금 당장 시작하라 file 신밧드의보험 372
40 미, 9월부터 중국산 의류·신발에 15% 관세…업계 반발 니이모를찾아서 374
39 온라인에 밀린 미 백화점 메이시스 “29개 매장 폐점” Vicikie 375
38 올해 가장 돈 많이 번 유튜버는 美 8살 꼬마…303억 벌어 희망의그날 377
37 우리 기술로 만든 쇄빙 LNG선, 북극해 얼음 가른다! / YTN 사이언스 Nugurado 378
36 "수분과학의 결정체' - 7일의 약속 화장품 file 산야초 381
35 'LA 소수계 기업 톱25'에 한인업체 5개 file Nugurado 381
34 ‘워컴’ 부담되서 기피? 되레 더 큰돈 들 수도 file Nugurado 381
33 시카고에 문을 연 세계최대 스타벅스 친구야친구 385
32 Black Friday 비용 절감을위한 도구, 팁 및 요령 이창석 386
31 “내년 경기침체 예상” 38%, 10년만에 최고로 치솟아 file 휴지필름 387
30 신용카드 혜택으로 일상을 즐기는 방법! file 휴지필름 387
29 주택융자 무료세미나 '내집 마련' 할 수 있다 file Scott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