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f2997d0-ccc8-4d18-bac7-622b7ddfa5bc.jpg

 

석가탄신일 휴일이던 지난 5월 22일 충남 태안에 사는 초등학생 권모(12)군은 마당에서 다급하게 부르는 엄마의 목소리를 듣고 달려갔다. 마당에는 할아버지(76)가 쓰러져 있었다. 엄마가 119에 신고하는 사이 권군은 의식 없이 쓰러진 할아버지를 살폈다. 코 끝에 손을 대어보니 호흡이 없었다. 전날 학교에서 심폐소생술을 배운 걸 되살려 깍지를 끼고 할아버지 가슴에 압박을 시작했다.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했다. 서산의료원으로 이송된 할아버지는 닥터헬기를 타고 인천 길병원으로 옮겨졌다. 할아버지를 담당했던 양혁준 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권군이 심폐소생술을 한 덕분에 권할아버지는 병원 이송 뒤 8일만에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경남 창원의 마산여고에 재학 중인 손지은(18) 양은 가족과 함께 창원시 의창구의 한 온천을 찾았다. 탕 안에서 갑자기 쓰러진 60대 여성이 쓰러졌다. 주변에서 이 여성을 탈의실로 옮겨 팔ㆍ다리를 주물렀다. 손양은 저대로 두면 안될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제가 심폐소생술 할게요"라며 나섰다. 학교에서 심폐소생술을 배웠고, 평소 캠페인 등을 보고 연습을 해 자신 있었다. 그는 119대원이 올 때까지 가슴 압박을 쉬지 않고 계속했고, 덕분에 여성은 무사히 목숨을 건졌다. 손양은 “심폐소생술로 사람 살린 미담 기사를 보면 ‘그러다 가슴뼈 부러지면 책임져야 한다’는 댓글이 달리곤 하는데, 그 순간엔 살리고 봐야겠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f7b5978d-0c3e-4087-bd7c-fddf7a304cc6.jpg

 

심폐소생술로 사람 생명을 구해낸 마산여고 손지은(18) 학생이 21일 ‘2018 응급의료 두근두근 콘서트’ 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았다. [손지은 학생 제공]

 

권 군과 손지은 양은 21일 응급의료 유공자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았다. 복지부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2018 응급의료 두근두근 콘서트’ 열고 두 사람을 비롯한 27명에게 장관상을 수여했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지만 지역별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의무기록을 추적 조사한 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2만9262명으로 2006년(1만9480건) 대비 50%가량 늘었다. 2015년까지 줄곧 증가하다 최근 2년째 감소 추세다. 남자가 약 65%로 여자의 2배에 달한다.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은 질병(70%)이다. 심근경색·심부전·부정맥 등 심장 기능 부전이 주요인이다. 절반 이상의 환자는 집에 있다가 급성심장정지가 발병했다.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8.7%, 퇴원할 때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만큼 뇌기능이 회복된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나타났다. 20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생존율의 지역간 격차는 2배로 벌어졌다. 2006년엔 생존율 최대ㆍ최소 지역의 격차가 4.2%p였지만 지난해는 8.6%p다. 지난해 생존율이 가장 높은 서울(12.7%)서 급성심장정지를 일으킨 환자 100명 중 약 13명이 목숨을 건졌다. 반면 경북(4.1%)은 100명 중 4명 밖에 살지 못했다. 

 

급성심장정지로 누군가 쓰러졌을 때 이를 목격한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비율이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5.8%이다. 생존율이 최하위인 경북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10%로 나타났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장은 “지역 인구 분포, 심폐소생술 시행률, 응급의료체계 수준 등 구조적ㆍ전반적인 차이가 지역별 생존율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고고렌트카 웹사이트 방문하기
렌트카 필요하신 분
전화: 213-500-5243
카카오톡: city170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33 탄자니아 여객선 전복 사망자 136명으로 늘어 file Nugurado 345
132 인도네시아 덮친 강진·쓰나미, "사망자 수천명까지 늘어날 수도" file Nugurado 345
131 BTS, 뉴욕서 북미투어 피날레 … 4만명 한국어 떼창·파도타기 file Nugurado 346
130 가주주민 80%, 당과 상관없이 ‘이민자들 미국에 도움’ file 친구야친구 346
129 ‘화난’ 캐버노 “나는 결백…거짓 혐의가 가족과 내 명성 짓밟아” file Nugurado 347
128 북부 캘리포니아서 규모 5.6 지진… 피해 보고 없어 file Nugurado 347
127 캐버노 '성폭력피해자' 의회서 당시 상황 상세히 증언 file Nugurado 347
126 '딸기 공포' 뉴질랜드로 확산…과일상자서 바늘 발견 file Nugurado 348
125 “北 휴대전화 600만대…중고생도 방탄소년단(BTS) 동영상 봐” file Nugurado 348
124 드라마 시청한 고속버스 기사…승객들 '공포의 120분' 니이모를찾아서 349
123 초고령 일본, 70세 넘는 인구 20% 돌파 file Nugurado 349
122 ‘최고 소득세율 37%’감세효과 내년 보고 때 적용 file Nugurado 349
121 이민자가본 미국 총기난사 (텍사스 & 오하이오) El Paso TX & Dayton Ohio MASS SHOOTING Scott 349
» 마당에 쓰러진 할아버지 심폐소생술로 살린 초등학생 file Nugurado 350
119 '성관계 촬영' 정준영 측 "카톡 대화 위법수집…증거능력 없다" file Nugurado 350
118 "노인 문제, 노인이 해결한다"…'노노 케어'로 일석이조 / 연합뉴스TV 티끌모아파산 350
117 건강 기능식품에 빠진 대한민국 file Nugurado 350
116 또 무차별 총격…29명 사상 좌빨씹는정상인 350
115 "썩어가는 미라, 그 '저주'를 풀어라" l file Nugurado 350
114 반이민 여파 한인 시민권 취득 늘어 Nugurado 350